• Title/Summary/Keyword: 무호흡-저호흡 지수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체위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비앙와위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5 이상과 5 미만인 집단간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Group I in Which Non-Supine Apnea-Hypopnea Index ≥5 and Group II in Which Non-Supine Apnea-Hypopnea Index<5 in Patients with Positional Sleep Apnea)

  • 박원일;정혜원;주준범;조주은;김종양
    • 수면정신생리
    • /
    • 제20권1호
    • /
    • pp.31-34
    • /
    • 2013
  • 목 적: 본 연구는 비앙와시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정상화되지 않은 광의의 체위성 수면 무호흡 환자군과 정상화되는 협의의 체위성 수면 무호흡 환자군의 임상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11년 5월부터 2012년 7월까지 간이 수면검사에서 체위성 수면무호흡으로 진단된 9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을 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I군은 비앙와위 수면에서 무호흡-저호흡지수가 5 이상인 광의의 체위성 환자군, II군은 비앙와위 수면에서 무호흡-저호흡지수가 5 미만인 협의의 체위성 환자군이었다. 두 군간의 간이 수면검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92명의 환자 중에서 I군은 11명(12%)이었고 II군은 81명(88%)이었다. 심한 무호흡-저호흡지수 집단 내에서 I군이 70%를 차지하고 있었고, 경도, 중등도 무호흡-저호흡지수 집단 내에서 I군이 차지하는 비율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심한 체질량지수 집단 내에서 I군이 54.5%를 차지하였고, 경도, 중등도 체질량지수 집단 내에서의 I 군이 차지하는 비율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무호흡-저호흡지수, 앙와시 무호흡-저호흡지수, 비앙와시 무호흡-저호흡지수, 코골이 시간 비율에서 I군이 II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결 론: 체위성 수면 무호흡 환자에서 심한 무호흡-저호흡지수와 심한 체질량지수는 비앙와시 무호흡-저호흡지수가 5 미만인 환자보다 5 이상인 환자에서 더 흔하다.

야간수면다원검사를 이용한 자세성 및 비자세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Positional and Non-Positional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by Nocturnal Polysomnography)

  • 박민우;조정환;박원규;남진우;윤종일;정진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371-37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세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군과 비자세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의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그 원인 요소를 알아보는데 있다. 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중 수면다원검사 결과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된 (무호흡-저호흡 지수 5이상) 환자 47명을 Cartwright 등의 분류에 따라 37명의 자세성 수면무호흡증 환자 (앙와위에서의 수면무호흡-저호흡 지수가 측와위에서의 수면무호흡-저호흡 지수의 2배 이상)와 10명의 비자세성 수면무호흡증 환자 (앙와위에서의 수면무호흡-저호흡 지수가 측와위에서의 수면무호흡-저호흡 지수의 2배 미만)로 분류하여 각 군간의 수면다원검사 지수들을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주간졸리움 지수, 전체 수면무호흡-저호흡 지수, 전체 각성 지수, 코골이 시간에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비자세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에서 자세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군보다 높은 REM 수면에서의 수면무호흡-저호흡 지수 및 각성지수와 낮은 REM 수면 평균혈중산소포화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자세성 수면무호흡환자가 자세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보다 구인두 기도에서의 더 높은 협착도를 갖고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여 준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야간뇨 유병률 및 관련인자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Nocturia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강현희;이종민;이상학;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21권1호
    • /
    • pp.14-20
    • /
    • 2014
  • 목 적: 본 연구는 수면 무호흡증이 의심되어 수면 클리닉을 내원한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야간뇨의 유병률 및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수면무호흡증이 의심이 되어 수면 클리닉을 방문한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소견 및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배뇨 증상은 국제전립선증상점수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야간뇨은 밤 동안에 2회 이상 배뇨를 하기 위해 깨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은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5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전체 161명의 분석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6.7{\pm}14.1$세였다. 이 중 27명은 단순 코골이 환자였으며 134명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로 진단 되었다. 야간뇨는 53명의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 8명의 단순 코골이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분석 대상환자에서 야간뇨의 유병률은 37.9%,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뇨의 유병률은 39.6%였으나,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유무에 따른 야간뇨 발생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야간뇨를 호소한 환자가 야간뇨가 없는 환자보다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01). 야간뇨를 동반한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는 야간뇨를 호소하지 않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 비하여 각성 지수가 더 높았고, 혈중 산소 포화도는 더 낮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 나이와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야간뇨의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분석 되었으며, 나이에 따른 야간뇨의 위험도는 1.4, 무호흡-저호흡 지수에 따른 위험도는 1.02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뇨의 빈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뇨의 동반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인자는 나이와 무호흡-저호흡 지수였다.

구호흡 어린이에서 수면호흡장애와 상기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Upper Airway and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with Mouth Breathing)

  • 김도영;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8-47
    • /
    • 2019
  • 구호흡을 야기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상기도의 폐쇄이다. 구호흡은 수면호흡장애의 병인론적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어린이에서 수면호흡장애는 성장장애와 행동학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구호흡 어린이에서 수면호흡장애와 상기도와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함에 있다. 초진 설문지에서 구호흡이 있다고 응답한 7 - 9세의 20명 남자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다. 편도평가, 구호흡 및 수면호흡장애와 관련된 설문지, 측모두부 방사선사진, 그리고 휴대용 간이수면검사를 시행하였다. 수면호흡장애에 대한 평가로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AHI), 산소불포화 지수(oxygen desaturation index, ODI)와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통해 측정한 상기도 폭경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상기도 부위 중 후구개 거리와 후설 거리는 무호흡-저호흡 지수와 산소불포화 지수가 커질수록 좁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 = 0.002, p = 0.001). 또한, 편도의 크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지만, 아데노이드 비대율의 경우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비정상군이 정상군에 비해 아데노이드가 비대하였다(p = 0.008). 이 연구결과를 통해 구호흡이 상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는 수면호흡장애까지 연관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측 연수 경색에 의해 발생한 중추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자동-적응형 양압기를 사용하여 치료한 경험 (Case of Treatment Using Adaptive Servo-Ventilation in a Patient with Central Sleep Apnea after a Lateral Medullary Infarction)

  • 김대진;조재욱;김현우;최정수;문수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78-283
    • /
    • 2020
  • 중추성 수면 무호흡은 수면 중 상기도 저항이 없을 때 흉부와 복부의 호흡 노력 없이 10초 이상의 호흡부전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본 증례에서 뇌자기공명영상 확산 강조 영상검사를 통해 외측 연수 경색의 진단을 받은 환자가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중추성 수면 무호흡 진단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호흡부전과 중추성 수면 무호흡이 관찰되었다. 호흡부전과 중추성 수면 무호흡에 대한 일차 치료는 CPAP을 사용하였다. CPAP을 사용한 후 수면다원검사와 이전의 수면다원검사를 비교한 결과 무호흡-저호흡 지수(42.5/hr→82.8/hr)와 각성 지수(21.7/hr→40.8/hr)는 악화되었다. 이에 이차 치료로 ASV를 사용하여 적정압력검사를 시행하였다. 이전의 수면다원검사와 비교한 결과 무호흡-저호흡 지수(42.5/hr→8.6/hr)가 상당히 호전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ASV는 중추성 수면 무호흡과 호흡부전에 대한 좋은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

천식 환아의 폐기능과 수면무 호흡의 연관성: 예비연구 (Relationship between Pulmonary Function and Apnea-Hypopnea Index in Asthmatic Children: The Preliminary Study)

  • 강승걸;이헌정;이승환;유영;정지태;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6권2호
    • /
    • pp.74-78
    • /
    • 2009
  • 목 적: 천식에서 수면무호흡증이 흔하다고 알려져 왔으나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이용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성격은 천식 환아들에서 수면 중 무호흡-저호흡지수와 폐기능과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방 법: 천식으로 진단받은 19명의 남아와 12명의 여아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연령은 평균 8.2세였다. 야간 수면다원검사와 폐기능검사가 대상자들에게 시행되었다. 결 과: 31명의 천식 환아들 중에 21명(67.7%)이 소아의 수면무호흡증의 진단기준을 만족하였고, 평균 무호흡-저호흡지수는 시간당 1.7회였다. 무호흡-저호흡지수가 높을수록 폐기능이 저하되는 소견을 보였다($FEV_1$/FVC ratio: p=0.002, $FEV_1$%pred: p=0.047).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는 소아 천식 환아들에서 수면무호흡증의 빈도가 매우 높을 가능성이 있으며 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와 폐기능의 정도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그러나, 향후 대조군과 천식군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 PDF

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와 안정시 에너지 대사 및 혈중 Leptin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the Severity of Sleep Apnea Syndrome to the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Leptin)

  • 이관호;신경철;안재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6호
    • /
    • pp.836-845
    • /
    • 1999
  • 연구배경 :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대부분 비만이 동반되고 비만은 수면 무호흡증 발병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체중을 줄임으로써 무호흡 횟수 및 심부정맥의 감소와 동맥혈 산소포화가 향상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체중조절을 중요한 치료방법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비만에 대한 다양한 치료방법이 시도되었으나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저자들은 체내에너지 대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안정시 에너지대사의 변화를 관찰하고 수면다원검사에서 측정한 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와 안정시 에너지소모량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무호흡의 중증도가 안정시 에너지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수면 무호흡증에서 혈중 leptin 농도를 측정하여 수면 무호흡의 중증도와 leptin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수면 중 무호흡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신체질량지수가 $25\;kg/m^2$ 이상인 39례와 비슷한 비만도를 보이며 수면무호흡이 없었던 45례를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고 안정시 에너지소모량은 ventilated hood system을 이용하여 indirect calorimetry로 측정하였다. 수면무호흡증과 대조군에서 혈중 leptin 농도는 human leptin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수면무호흡증은 대조군보다 안정시 에너지소모량의 예측치와 측정치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안정시 에너지 소모량 백분율은 차이가 없었다. 안정시 에너지소모량은 수면무호흡증의 중증도와 관계 있는 무호흡지수, 무호흡 저호흡지수 및 최저 동맥혈 산소포화도 등과도 상관관계는 없었다. 수면무호흡증에서 혈중 leptin 농도는 무호흡지수, 무호흡 저호흡지수 및 최저 동맥혈 산소포화도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안정시 에너지소모량과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수면무호흡증에서 안정시 에너지대사가 감소되어 있지 않았으며 수면무호흡증에서 leptin은 안정시 에너지소모에 관여하여 지방을 조절하기보다는 식이를 조절함으로써 체지방을 조절할 것으로 생각한다. 수면무호흡증에서 무호흡의 정도가 심할수록 혈중 leptin 농도가 높았으며 이는 수면무호흡증에 동반된 비만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수면무호흡증에서 leptin 농도와 무호흡의 중증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변형 Mallampati 지수 및 편도 지수와 무호흡-저호흡지수의 지수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fied Mallampati Grade, Tonsillar Grade and Apnea-Hypopnea Index)

  • 안병훈;최종원;박연호;송인혁;남영진;송달원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2호
    • /
    • pp.84-88
    • /
    • 2004
  • 목 적: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병력청취, 이학적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수면다원검사로 진단할 수 있는데 이를 임상적으로 검사할 때에는 편도의 비대와 좁아진 구인두의 관찰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심한 정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변형 Mallampati 지수(MMG)와 편도지수(TG)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MMG와 TG는 심한정도에 따라 각각 4군 및 5군으로 나뉜다. 2002년 3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으로 수면다원검사와 이비인후과적 검진을 받은 94례를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은 무호흡-저호흡지수(AHI)에 따라 비교군(n=24)과 수면무호흡군(n=70)으로 나누었다. 결 과:변형 Mallampati 지수(MMG)와 편도지수(TG)가 높을수록 높은 AHI 값을 가지며 TG와 MMG 모두 AHI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 론:MMG와 TG는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데 신뢰할만한 예측인자이며 치료방법을 결정하는데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다.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여자 환자에서 렘수면 의존성 무호흡과 비의존성 무호흡의 호흡의 비교 (Comparison of REM Sleep-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with Sleep Stage Non-Dependent One in Women Patients)

  • 박태준;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1호
    • /
    • pp.25-32
    • /
    • 2008
  • 렘수면 의존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REMOSA)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S)에 대한 연구에 비해 지난 10여 년 동안 활발한 편이 아니었으며, 그 중요성 역시 간과되어 왔다. REM-OSA가 남자에서보다 여자에서 좀 더 흔히 일어난다고 보고한 연구들은 있었으나, 아직까지 여자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여자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여 렘수면 의존성 무호흡증군(REM-OSA)을 렘수면 의존성이 없는 무호흡증군(SND-OSA)과 비교 연구하여 이 질환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0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수면의학센터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을 받은(AHI>5 ; AHI:apneahypopnea index) 여자 환자 53명중 비교 연구를 위해 경도(52와 AHI-NR<15(AHI-R : AHI during REM sleep, AHI-NR : AHI during non-REM sleep)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기준을 설정하였고, 렘수면에 의존하지 않는 무호흡증환자(SND-OSA)군과 제반 변인들에 관해 비교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산술적인 진단을 적용한 환자군과 육안판독으로 진단한 환자군도 비교하였다. 결 과 : 총 44명 중 산술적인 진단기준을 통해 REMOSA로 진단된 환자는 28명(63.6%), 육안 판독으로 진단된 환자는 24명(54.5%)이었다. 산술적 진단기준에 따른 REM-OSA군과 SND-OSA군 비교에서 두 군간에 저호흡지수, 무호흡-저호흡지수, 비렘수면 무호흡-저호흡지수, 총 수면시간, 총각성시간, 수면효율, 1단계 수면 분율, 2단계 수면 분율, 렘수면 단계 분율, REM 잠복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진단에 관여하는 변인인 무호흡-저호흡지수 비율(AHI-R/AHI-NR)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렘수면 단계 분율(B=0.537, p=0.002)이었으며, REM-OSA는 중증도가 경할수록(${\chi}^2=13.117$, p<0.001), 렘수면 단계 분율이 클수록(${\chi}^2=13.325$, p=0.001) 더 흔하게 진단되었다. 그리고, 산술적인 진단기준으로 REM-OSA를 진단한 결과와 육안 판독으로 진단한 결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57). 결론 : 이 연구에서 살펴본 바로는 REM-OSA 환자군과 SND-OSA 환자군 간에 야간 수면다원검사로 산출한 수면 변인과 수면 구조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여자 환자군을 대상으로 REM-OSA를 국내외 최초로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수면무호흡증과 상기도저항 증후군에서 Nasal Airflow의 압력측정 및 상기도 압력변화에 대한 연구 (The Nasal Airflow Pressure Monitoring and the Measurement of Airway Pressure Chang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nd Upper Airway Resistance Syndrome)

  • 김후원;홍승봉
    • 수면정신생리
    • /
    • 제7권1호
    • /
    • pp.27-33
    • /
    • 2000
  • 수면 중 나타나는 호흡장애를 좀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비강 공기압 측정기의 민감도를 온도감지 센서와 비교하기 위해 30명의 수면무호흡 증후군 환자와 6명의 상기도 저항증후군 환자에서 저호흡-무호흡 지수와 각성지수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상기도 저항 증후군에서 각성을 일으키는 상기도 압력변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온도감지 센서에서 발견되지 않은 저호흡-무호흡과 관련된 각성에서 상기도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비강 공기압 측정기가 기존의 온도감지 센서보다 훨씬 더 민감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p<0.05). 비강 공기압 측정기로 검사하여 저호흡-무호흡지수가 평균 41%가 증가되었고 호흡장애가 심하지 않은 경증의 수면무호흡 증후군이나 상기도 저항 증후군에서 더 많이 증가하였다. 비강 공기압 측정기로 검사한 저호흡-무호흡지수를 비교하면 상기도 저항 증후군이 수면무호흡 증후군의 가장 경미한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도 저항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각성에서 상기도의 압력 변화는 일정한 범위에서 나타나지 않았고 다양한 압력 분포를 보였으며 수면 중 호흡장애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압력변화의 폭이 더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비강 공기압 측정기가 기존의 온도감지 센서보다 더 민감하지만 아직까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일부 남아 있어서 온도 감지 센서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증의 수면무호흡 증후군이나 상기도 저항 증후군을 진단하는 데에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상기도 저항 증후군의 진단에 기존에는 상기도 압력 측정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나 비강 공기압 측정기를 이용하면 불편한 상기도 압력 측정은 필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