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형식학습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7초

사회복지사의 일터에서 나타난 무형식학습 사례연구 -제주지역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The Case Study on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for Social Workers -Based on Social Welfare Centers in Jeju-)

  • 김정희;고수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1호
    • /
    • pp.87-111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일터에서 나타나는 무형식학습 방법을 분석하고,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 차원에서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무형식학습 촉진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제주지역 소재 종합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20명을 대상으로 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일터에서 일상적인 무형식학습 방법은 '상사의 피드백, 지인접촉, 회의참여, 자료 검토' 등이었다. 업무숙련 과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무형식학습은 '상사의 피드백과 지인접촉'으로 인적자원과의 소통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보수교육과 같은 제도적인 형식학습 지원뿐 아니라 개인학습 지원, 비공식모임, 멘토링, 슈퍼비전, 동료와의 상호작용 등 무형식적 활동을 촉진하는 업무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 PDF

건설기술인력의 일터학습 참여가 인적자원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Workplace Learning on Human Resource Performance of Construction Engineer)

  • 심용보;장철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31-4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술인력의 일터학습 참여 실태와 더불어 일터학습의 하위유형인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이 각각 건설기술인력의 인적자원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5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6차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 근로자용 설문자료에서 건설기술인력 306명의 응답치를 선택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건설기술인력의 일터학습(형식학습, 무형식학습) 참여는 10,069명 전체 근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특히 무형식 학습의 참여는 더욱 낮은 수준이었다.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형식학습의 참여는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만 정(+)의 영향을, 직무능력의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무형식학습은 직무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형식학습에 비해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 학습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혜영;전혜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3-148
    • /
    • 2019
  • 시대적 변화에 따른 경력성공의 관점이 변화하고 있지만 다수의 연구들은 창업과 취업을 분리하여 연구되어 왔다. 또한 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개인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졌으며 전 생애에 걸친 학습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학습의 형태는 기존의 지식을 전달하는 형태에서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교실 수업의 형태는 팀활동과 미디어 활용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교실 밖 수업에서는 자율적인 동아리 활동이나 커뮤니티의 참여 등을 통해 역량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개인의 경력은 인생에 걸친 학습과 일에 관련된 경험 및 행동과 연관된 태도로부터 발생한다. 이러한 경력을 이끌어가는 태도는 새로운 환경속에서 즉각적인 요구를 받아들이는 적응학습과 새로운 행동 및 지식을 유발하는 생성학습, 그리고 상호작용 패턴 인식을 통해 새로운 시도를 하는 전환학습을 지속적으로 일으킨다. 또한 이러한 무형식 학습들은 취업과 연계 될 뿐만 아니라 창업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자기주도성과 가치지향성을 척도로 하는 프론티언 경력태도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확인함으로서 기존의 취업역량과 연결시켜왔던 연구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여 학습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학습의 효과를 확인하여 변화된 교육형태의 중요성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더해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하는 능력인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와 팀 학습을 지향하는 팀학습 선호도를 조절효과로 보아 분석함으로서 스마트미디어활용 학습과 팀학습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교육 현장의 특성을 함께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교육과 경력 환경의 변화의 중심에 서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구성주의 관점에서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무형식 학습 특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nformal Learning Characteristics of Sports Center Leaders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 김승용;리징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1-8
    • /
    • 2019
  • 본 연구는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의 일터 학습(work place learning)과 관련하여 구성주의 관점 및 무형식 학습의 특성에 대해 이론적인 접근을 통한 고찰을 하였다. 이에 무형식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스포츠센터 지도자는 그 성장과정과 학습을 촉진 시키는 과정에서 경험과 실천적 측면에서의 일터 학습을 통한 전문성 신장이 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무형식 학습은 중요한 학습적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센터 지도 현장에서의 지도자는 일반적인 기업의 사무직 근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터 학습에서 형식적인 학습의 기회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무형식 학습의 유형 및 학습 향상에 대한 방안의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부분은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서 교육적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개인적, 환경적, 제도적, 조직적 측면에서 직장 내 학습 환경의 구축이 이루어진다면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의 전문성 신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대학생의 무형식학습이 구직능력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팀 학습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on Employment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eam-based Learning)

  • 가혜영;전혜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3호
    • /
    • pp.121-132
    • /
    • 2020
  • 대학생은 학교 내에서 배운 이론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한 가지 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우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학교생활을 토대로 경력 개발의 방향은 과거의 취업 중심의 형태에서 벗어나 전 생애에 걸쳐 취업과 창업을 선택하기 위한 업의 전환을 고려하는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다. 교육의 방향 또한 기존의 지식을 전달받고 암기하는 형식 학습에서 보다 자율적이면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무형식학습과 팀 기반 학습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무형식학습 활동이 구직능력과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취업역량에만 연결시켜왔던 연구에 창업을 더함으로써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기업 및 교육 현장의 팀워크가 중요해짐에 따라 팀 기반학습 만족도에 따라 무형식학습 활동이 구직능력과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보이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무형식학습은 구직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창업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직능력은 대학생의 무형식학습과 창업의도를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팀 기반 학습의 만족도는 대학생의 무형식학습에 따른 구직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구직능력과 창업의도 사이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대학 내 구직능력과 창업의도를 높이기 위해 무형식학습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만족도 높은 팀 기반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인센티브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f Moderating Effect of Incen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Informal Learning of Office Workers: A Chinese Case)

  • 지유첸;백지연;조현정;이지연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3호
    • /
    • pp.173-192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무형식 학습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 사이의 인센티브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로는 첫째,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무형식 학습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둘째,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회사의 인센티브(물질적 인센티브, 비물질적 인센티브)는 조절효과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ICT를 잘 다루는 능력과 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구인하였는데, ICT를 잘 다루는 능력은 직무수행을 통한 지식획득, 자기개발 능력 함양, 타인과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가졌고, 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도 직무수행을 통한 지식획득, 자기개발 능력 함양, 타인과의 학습과 정(+)의 관계가 가졌다.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물질적 인센티브와 비물질적 인센티브를 투입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는데, 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과 직무수행을 통한 지식획득 사이에만 물질적 인센티브와 비물질적 인센티브가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그 외의 관계에서는 인센티브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중국 사무직 직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무형식 학습의 관계에서 인센티브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중국 기업의 사무직 직원 채용 및 교육 설계, 회사 인센티브의 보상 방식의 설계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의 평생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ifelong Learning,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Later Life)

  • 이지선;김정주;유현옥;서환환
    • 한국노년학
    • /
    • 제36권4호
    • /
    • pp.1059-1074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의 평생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분석자료로 제4차(2012) 고령화연구패널(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 KLoSA) 기본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항 우울제를 복용하지 않는 만65세 이상 노인 4,09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비형식교육 활동 및 무형식학습 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비형식교육 활동 및 무형식학습 활동은 우울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우울은 삶의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비형식교육 활동 및 무형식학습 활동은 우울을 감소시켜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형식교육보다 무형식학습 활동의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무형식 학습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 김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195-202
    • /
    • 2017
  • 영업사원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성과 등을 통한 영업사원의 만족이나 커뮤니케이션 증대 등을 통한 영업 방식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IT 영업사원의 무형식 학습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 간에 대하여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개 회사를 선정하여 159명의 IT 영업사원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모형 (SE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IT 영업사원의 무형식 학습은 긍정심리자본과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도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으로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무형식 학습과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긍정심리학으로 기반으로 한 무형식 학습을 개발하고, 이를 반영하여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을 강화할 수 있는 필요가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및 경력 몰입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otean Career Attitude, Career Commitment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Focusing on Workers in Cultural Contents Industry)

  • 이형우;김만수;김정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25-432
    • /
    • 2021
  •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riscoe, Hall과 DeMuth[21]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측정도구와 Choi[23]의 무형식 학습 활동 측정도구 및 Blau[33]의 경력 몰입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 된 총 295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한 8부를 제외하고 총 287부를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유효 자료율: 68.2%). 연구 결과, 첫째,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는 경력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및 경력몰입의 증대를 위한 이론적 논의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와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Corporate Support in Learning on Individual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Organizational Learning)

  • 김지영;장원섭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133-156
    • /
    • 2010
  • 이 논문은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와 조직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업에서 학습지원이 개인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기업에서의 학습지원과 개인의 학습참여가 조직학습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과 연세대학교가 공동으로 실시한 '대졸 청년층 직장생활 적응능력 향상 연구'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서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에서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의 지원여부는 개인의 형식학습 참여와 공식적 관계학습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업의 학습지원과 개인의 학습참여는 조직학습의 각 요소(수용력, 조직기억, 학습능력, 환경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