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작위 대조군 실험

Search Result 27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ith ICT-based Convergence Study for the Elderly (노인 대상 ICT 기반 융합연구: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고찰)

  • Lee, Hey-Sig;Park, Hae-Ye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3
    • /
    • pp.85-93
    • /
    • 2020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broad studies on ICT-based convergence studies in the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effects of ICT-based interventions. Eight studies that me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from 326 studies identified by three databases and hand-search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st commonly used ICT were the three internet, followed by two tablets and mobile phones, one twoway videoconferencing, one Kinect, one robot, and one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These results could be used for ICT-based convergence studies in Korea, and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higher quality studies such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eview of Intention-to-Treat Analysis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에서 치료의향분석 (Intention-to-treat analysis)에 대한 고찰)

  • Kim, Junghun Aj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9 no.2
    • /
    • pp.27-38
    • /
    • 2020
  • Introduction : This review aims to introduce an intention-to-treat analysis(ITT) method and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rigorous utilization of this method to researchers in Korea. Discussion : ITT analysis includes all data as results in randomized control trials (RCT). Thereby the result of RCT is high validated to adapt in the real-world so that the result should be expected at clinical practice. Therefore, many RCT quality assessment tools include the question of the utilization of ITT analysis in individual trials. However, many researchers omit to report ITT, not utilize ITT or use ITT incorrectly. Conclusion : Through this review, more Korean researchers may understand and utilize ITT which is expec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RCT papers.

영국의 중의학: 의사, 의사가 아닌 시술자, 중국인 시술자

  • Stollberg, Gunnar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 /
    • v.6 no.1
    • /
    • pp.14-15
    • /
    • 2003
  • 중의학은 서양의 의료 다원주의의 한 부분이 되었다. 특히 침과 같이 서양의 개념과는 분명히 다른 의료 기법에 있어서는 두드러진다. 그밖에 뜸, 안마, 기공, 중약 및 복합 처방들도 있다. 서양에서 전문직업인화는 보건의료 관련분야에서 중심적인 인력양성 방법이 되었다. 이는 대학이 기반을 다진 중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19세기에는 법인들이 전문직업인 모임으로 바뀌어 가면서 개인적 환경을 변화시키고 직업의 체계를 개발하였다. 변호사, 교사, 사제, 의사가 그 예이다. 의료에 있어서 학교교육을 통해 수련된 의사들이 조산사나 안마사들을 지배하게 되었는데 이런 경향은 1950-60년대에 극에 달한다. 그러다가 이들의 지배는 대중매체, 환자, 다른 주변 의료 보조인력들에 의해 도전을 받는다. 이와 비슷한 양상을 이단적인 의료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전문직업인의 우세와 시점이 비슷한 생물의학의 우월적 지배는 많은 다양한 의료에 의해 도전을 받는다. 그러나 생물의학의 우월함의 약세가 시술자들의 전문직업인화 까지를 포함하지는 않았다. 실제로 침술과 같은 치료술들을 전문직업인인 의사나 의사가 아닌 시술자들이 함께 쓰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직능간의 분쟁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이단적 개념을 기존 의료계로 통합하는 것이 전문직업인들인 의사들의 노력으로 이해되었다. 이 견해는 두 가지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데, 첫째 의사들을 단일한 속성으로 보고 있다는 것인데, 실제로 현대의학을 배우고 가르치는 나라들 사이에도 매우 다양한 차이가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둘째로 의료인이 아닌 시술자들도 다양한 분야로 통합되었는데, 통합은 어쩌면 하급의 전문인들의 노력의 결과로 설명되어야 하는 것이 더 알맞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도 전문직업인의 조직구조를 가져야 만 하고, 그렇지 않으면 파편으로 남을 것이다. 전문직업인주의는 언제나 과학과 연계하고 있는데, 독일 정부와 직업인 조직은 의료과학 집단에게 이단적 시술들의 임상효과를 검증하게 하였다. 이것은 이단 의료계에 우호적인 단체나 적대적인 단체 모두에게 적용되었다. 매우 강한 힘을 가진 냉소적인 조직 가운데 하나는 National Committee of SHI-Physicians and Sickness Funds(Bundesausschuss der Arzte und Krankenkassen).2 인데, 2001년에, 이 단체에서 출판한 자료에는 침의 효용성은 침을 시술하는 사람에 달린 것 일뿐 시술자의 수련이나 침 시술의 배경 개념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침은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을 통해 효과를 검증받지 못한 다른 치료법들의 범주에 머물러 있다.(cf. Bundesausschuss 2001: 8). 1990년대,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은 생물의학이 아닌 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알맞지 않고 비윤리적이라고 강한 비판을 받았다. 한편 1995년에 WHO는 침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이 실험기법을 추천하며, 이어 2001년에,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edical Acupuncture and Related Techniques(ICMART)는 침연구와 시술을 위한 헌장(Acupuncture Charter Berlin an Evidence Based Medicine (EBM)3 for acupuncture)을 채택 공표한다. 독일 보험 회사들도 침의 효과와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규모 실험을 시작했다. 100,000 명이 넘는 환자들이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을 통해 평가되고 있는데 이 실험은 병원이나 일차의료기관의 외래에서 진행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이 분야의 유력한 Edzard Ernst가 위의 개념과 비슷한 구도를 설정 공표하는데 보완의학 분야의 많은 다른 전문가들의 견해를 무릎 쓰고, 그는 증거기반 의학에 대한 그의 신념을 표방한다.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이 보환의학 분야의 시술을 검증하기 위한 알맞은 방법이 아니라고 끝없이 주장하지만 우리는 거의 모든 치료법을 포괄하는 분야에 이들 실험을 발견하였으니, 이는 보완의학도 엄정한 방법으로 검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Ernst et al. 2001: xiii). 적어도 독일에서 진행중인 효과 검증 연구가 향후 아시아 의학의 기반 마련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영국에서는 이에 대한 정치적 수렴이 전문 직업인화에 달려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나는 아시아에서 유래한 의료의 서양에서 어떻게 사회학적 관찰의 대상으로 분류되고 정의되는지 소개하고자 한다.

The Effect of Intervention o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of Patients with Dementia in Korea :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국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의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Jung, Jae-Hu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9 no.5
    • /
    • pp.91-10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abou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intervention for patient with dementia. We searched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10 to June 2021 in 5 databases. A total 1,104 studies were found and included 27 studies in final analysis. Methodological quality was assessment with the Cochrane's RoB(risk of bias) tool.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was the most used as the assessment tool for identifying the cognitive function. Cognitive function intervention were exercise, art, cognitive stimulation, reminiscence, music, multimodal cognitive rehabilitation, virtual reality, horticultural,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intentional snoezelen, beauty, cooking, korean traditional familiarity program. Most of the intervention except exercise 2, virtual reality 1, beauty 1 wer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This study provided a clinical evidence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intervention for cognitive function intervention. In the future, various intervention stud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dementia should be conducted by improving the quality of research methods.

The Effect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on Depressive Symptom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증상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Jung, Jae-Hu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10
    • /
    • pp.39-4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 review abou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on depressive symptom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 searched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11 to July 2021 in 3 databases. A total 1,455 studies were found and included 11 studies in final analysis. Methodological quality was assessment with the Cochrane's RoB(risk of bias) tool.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was the most used as the assessment tool for identifying the depressive symptom. Intervention were yoga, psychosocial intervention, cognitive training, health education, multi-component intervention, game training, aerobic/pulmonary physiotherapy, art therapy, music reminiscence activity, memory specificity training,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and SWTW(sleep well, think well) program. Among the intervention programs, yoga, multi-component intervention and game training were effective in improving depressive symptom. This study provided a clinical evidence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intervention on depressive symptom in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Effects of Healing Beat on autonomic balance, heart rate and anxie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ealing Beat 적용이 자율신경균형, 심박동수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무작위대조군)

  • Bae, Ik-Ly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2
    • /
    • pp.765-77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ling Beat on autonomic balance, heart rate, and anxiety in healthy adults exposed to stressors. Data were collected from 64 healthy volunteers who volunteered after responded to a recruitment announcement at D City University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X2-test, the t-test, and repeated measures of ANOVA. Results showed that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were homogeneous.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obtained for autonomic balance (F = 6.151, p <.001), heart rate (F = 5.455, p <.001), and anxiety (t = -7.633, p <.001). These results indicate Healing Beat is effective at relieving anxiety in stressful situations, and that Healing Beat can be used to relieve stress in many clinical situations or daily life when individuals are exposed to various stressors.

Effects of a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on Cognitive,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컴퓨터 인지 훈련 프로그램이 경도 치매노인의 인지, 우울, 생활만족도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Kim, Se-Yun;Choi, Yoo I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4
    • /
    • pp.311-31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CCT) on cognitive,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The participants were 32 older adults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who reside in nursing hospital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16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16 for a control group. A CCT was performed for a day/week for 8 weeks in an experimental group. The CoTras-G was used for CCT. The MMSE-K, SGDS-K, ELS and BI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same wa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CCT. The difference of the effects between before and after a CCT conduction were identified by paired t-test. Moreover, the Mann-Whitney U-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variances between groups. Only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when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after CC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C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CT can be used as effective cognitive training program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The Effects of Horticulture Activity Caring Program on Stress, Depression, Blood Glucose, Lipids for Major Company White-Collar Work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에게 적용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우울, 혈당, 혈중 지질 등에 미치는 효과: 무작위 대조군 연구)

  • Cha, Hyun-su;Lee, S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0
    • /
    • pp.231-242
    • /
    • 201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variables of Horticulture Activity Caring Program for major company white-collar workers. Fifty three White-collar Workers participated in study. They were assigned 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random order. Random order is used Excel 2010 program RAND function of Microsoft. During the eight-week trial,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Horticulture Activity Caring Program weekly for 90 minute per session. The control group wasn't treated. Measurements of variables (stress, depression,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HDL-C, and LDL-C) were performed at weeks 0 and 8 for all participant. Changes in variables were calculated from baseline to trial comple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4. SPSS 21.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 Horticulture Activity Car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depression (z=-4.57, p< .000). Conclusion of the study suggest the Horticulture Activity Caring Program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depression. We expect that the Horticulture Activity Caring Program will become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of mental health promotion for the white collar workers.

Effectiveness of Sensory-Feedback Ankle Training on Motor Functions in Hemiparetic Patients (시지각을 이용한 발의 감각되먹임 적용이 편마비 환자의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 Seo, Dong-Kwon;Lee, Dong-Yeop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595-59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으로 인한 만성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발에 시지각 자극을 적용하여 균형과 보행에 관한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개월 이상 된 편마비 환자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무작위로 실험군(EG) 10명과 대조군(CG) 10명으로 구분하였다. 두 군 모두 기본적인 물리치료를 적용하였고 실험군은 정적균형도구인 Tetrax Multiple System을 이용하여 발목에 감각되먹임 시지각 자극을 매회 30분, 4주간 주 3회 실시하였다. 운동 중재 전과 후의 운동기능에 해당하는 균형(TUG), 보행(DGI)을 측적하여 본 연구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군에서 정적 균형, TUG, 그리고 동적 균형지수(DGI) 지수는 중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p<.05), 실험, 대조군간 전후의 변화율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대조군에서는 DGI 만 중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순수하게 유산소 운동만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대조군과의 차이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편마비 환자에게 흥미를 촉진하고 운동 기능 회복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감각 되먹임이 동반된 시지각 자극을 적용하여 균형 및 보행기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었고, 차후 연구는 장기간의 추적 관찰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고 발목 뿐만 아니라 다른 관절에서의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Effects of Virtual Reality Based Video game and Rehabilitation Exercise on the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ronic Stroke Patients (가상현실기반 비디오게임과 재활운동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 /
    • v.8 no.2
    • /
    • pp.201-207
    • /
    • 2013
  • 연구목적: 닌텐도 위를 이용한 가상현실기반 비디오게임 프로그램을 만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여 균형능력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으로서 적용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만성기 뇌졸중 환자를 무작위로 가상현실기반 비디오게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n=7)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n=10)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에게 30분의 Bobath therapy와 15분간의 FES 치료를 기본적으로 실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실험군은 가상현실기반 비디오게임 프로그램을 1일 30분이내, 주 5회, 3주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자전거 운동과 보행훈련으로 30분간 시행하였다. 실험 전 후 눈뜨고 외발서기(OLST; open leg standing test), Timed Up and Go(TUG) 검사, 10m 걷기 검사,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를 측정하였다. 실험 전과 실험 후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측정값의 변화량에 대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에서는 FIM의 유의한 증가와 TUG, 10m 걷기 검사의 유의한 감소를(p<.05) 보였다. 대조군에서는 OLST의 증가와 TUG, 10m walking test의 감소가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오직 FIM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p<.05). 2) 실험 전 후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측정값들의 평균차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험 전 후 OLST, TUG, 10m walking test 차이의 평균은 컸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상현실기반 비디오게임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동적균형능력 및 일상생활동작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