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월경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5초

Swyer 증후군: 증례 보고 (Swyer Syndrome: A Case Report)

  • 최형기;박소훈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1181-1184
    • /
    • 2023
  • Swyer 증후군은 생식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희귀 유전질환으로 원발성 무월경의 드문 원인이다. 이 증후군은 46, XY 핵형을 가지나 표현형은 여성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번 증례는 원발성 무월경을 주소로 내원한 16세 여성으로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자궁과 양측 난소가 관찰되지 않으며 양쪽 사타구니 부위에서 위축된 고환으로 보이는 석회화 결절이 관찰되었다. 염색체 연구에서 46, XY로 Swyer 증후군으로 확진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원발성 무월경의 드문 원인으로 Swyer 증후군을 보고하고자 한다.

자궁내막증과 무월경 불임환자에서 $LH{\beta}$ 유전자의 돌연변이 분석 (The Analysis of the $LH{\beta}$ Gene Mutation in Infertil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Amenorrhea Women)

  • 김남근;이유진;남윤성;이상희;정기화;고정재;이숙환;차광열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1호
    • /
    • pp.107-110
    • /
    • 200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궁내막증과 무월경 불임환자들을 대상으로 $LH{\beta}$ exon 2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탐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그 대상으로 22명의 자궁내막증 환자와 12명의 무월경 환자 그리고, 54명의 건강한 비임신 여성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돌연변이 탐색은 PCR-RFLP(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polymorphism)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결과: 그 결과 자궁내막증과 무월경증 환자에서 그 변이의 비율이 각각 18.2%, 16.7% 그리고, 대조군에서 역시 16.7%의 빈도를 나타냈다. 결론: 따라서, 자궁내막증과 무월경증 환자는 $LH{\beta}$ exon 2 돌연변이와는 서로 관련이 없거나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에 따른 맛 선호도 및 식품섭취 변화 (Food Cravings, Appetite, and Taste Palatability in Women with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정범석;김창윤;이철;장남수;김지명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314-321
    • /
    • 2002
  • 월경전기 증상에 따른 맛 선호도와 식품섭취 변화를 알아보고자 정규간호사 1,301명을 설문조사한 후 분석가증한 626명의 자료를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 월경전기 증상이 없는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 맛에 대한 선호도 변화, 식사량 변화, 특정 음식에 대한 선호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며 다음과 같다. 월경전기에 맛 선호도 변화정도가 세 집단간에 다르게 나타났다. 월경전 불쾌지분장애 집단의 경우 월경전기에 단맛, 짠맛, 매운맛, 신맛 4가지 맛에 대한 선호도가 모두 증가하였고, 세 집단 모두 단맛을 가장 많이 찾았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과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에서는 매운 맛의 선호도도 증가하였다. 식사량은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과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 모두 무증상 집단에 비해 늘어났다. 월경전/평소의 음식 섭취량 변화는 물, 스포츠 음료 및 쥬스, 우유 등 음료수를 제외한 모든 음식에서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의 월경전기의 섭취량이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월경전기에 맵거나 단 음식을 유난히 많이 먹게 되며, 월경전기 증상을 경험하는 월경전 불쾌지분장애 집단이나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 모두에서 매운 음식을 가장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비만치료가 월경주기 이상에 미치는 영향: 증례보고 (Effects of the Obesity Therapy with Korean Herbal Medicine on Menstrual Cycle Disorder: Case Series)

  • 이지현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0-56
    • /
    • 2018
  • 속발성 무월경 또는 희발월경 증상을 보이는 비만 환자들에서 먼저 체중감량을 목표로 한방 비만치료를 진행하면서 월경주기의 경과를 관찰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46XX에서 원발성 무월경과 성선 결여를 동반한 뮬러관 이상 1예 (A Case of 46XX, Primary Amenorrhea, Absent Gonads and Lack of Mullerian Ducts)

  • 이봉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8권2호
    • /
    • pp.169-171
    • /
    • 2001
  • Objective: To study the etiology of primary amenorrhea in 19-aged woman. Materials and Methods: Case report. Results: I found that there were not gonads and organ of mullerian ducts origin on diagnostic laparoscopy. She was normal 46XX on chromosomal study and normal external genitalia except short vaginal canal. Conclusion: It is very rare that absent gonads and lack of mullerian ducts with 46XX female and primary amenorrhea.

  • PDF

월경전 불쾌기분장애가 식이 섭취량 및 체구성 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on the Changes of Energy Intake and Body Composition)

  • 장은재;김동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0-19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그룹과 무증상 그룹으로 나누어 여성 24명을 대상으로4주 동안 식이 섭취량 및 체구성성분이 월경주기에 따라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에 본 결과를 요약하였다. 월경주기에 따른 식이섭취량은 PMDD 그룹과 NPS 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와 생리기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1), 그룹 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탄수화물 섭취량은 PMDD 그룹과 NPS 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와 생리기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단백질 섭취량은 PMDD 그룹과 NPS 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1),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방 섭취량은 PMDD그룹과 NPS그룹에 상관없이 주기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룹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월경주기에 따른 체중은 PMDD그룹과 NPS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와 생리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01), 그룹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체수분은 PMDD 그룹과 NPS 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와 생리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그룹 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지방량은 PMDD그룹과 NPS 그룹에 상관없이 난포기보다 황체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그룹 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의 식이섭취량, 혈당 및 체구성성분은 월경주기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월경주기에 작용하는 변인과를 관련시켜 월경전증후군의 치료 또는 관리방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이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리스페리돈을 복용한 여성 환자에서 유발된 무월경의 치료 (The Resolution of Amenorrhea in Female Patients Taking Risperidone)

  • 이분희;김용구;한창수;고영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10권2호
    • /
    • pp.141-146
    • /
    • 2003
  • Objective:To find out the optimal assessment that can relieve amenorrhea associated with risperidone. Methods:Sixteen female outpatients who have taken risperidone for more than 3 months reported voluntarily amenorrhea during Nov 2001 to May 2002. Since the reports of the amenorrhea, the resolution of amenorrhea has been prospectively followed during the next six months. The dosage of risperidone was reduced or discontinued in nine of sixteen patients, while risperidone was switched to olanzapine or quetiapine in other 7 patients according to the clinician's decision. Results:Fourteen of 16 patients showed higher levels of prolactin than normal level. Five patients of the risperidone-reduction group recovered from the amenorrhea while all subjects of the drug-switch group recovered. The resolved patients of the former group recovered from amenorrhea in the dosage below 3mg per day of risperidone. Two patients of the risperidone-reduction group were dropped out during the reduction. Conclusion:These findings suggest that risperidone-induced amenorrhea may be alleviated by reducing dosage to less 3mg per day(including discontinuation) or by switching to other antipsychotic drugs. Whether we would choose which method depends on patient's clinical status, diagnosis, and dose of medication and so 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