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심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ssessment of Close-to-nature Techniques for River Channel Restoration in the Musim River (무심천에 적용한 친자연공법의 조사 및 영향 평가)

  • Yeon, Gyu-Bang;Cho, Yong-Soo;Yeon, In-Su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52-456
    • /
    • 2009
  • 무심천에 대한 모니터링은 '무심천 살리기'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하천종합조사사업으로써 저수량, 홍수량, 생태계 및 하천공법 등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모니터링은 5년간에 걸친 사업으로 2007년 5월부터 시작하여 2009년 현재 2차년도 사업을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무심천에 적용된 하천공법에 대한 조사 및 분석에 국한하였다. 여기서 2002년부터 자연형 하천정화사업에서 적용했던 공법과 이로 인한 수리인자의 변화를 관찰하고, 저수로 호안을 포함한 각종 하천환경 시설물의 수리적 대응도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무심천의 조사구간은 미호천 합류부로부터 청원군과의 경계인 지북동 경계점 까지이며, 조사 및 분석한 하천연장은 무심천 본류 12.0 km이다.

  • PDF

Management after Restoration of Close-to-nature Techniques for River (in Musim River) (친자연공법의 조성후 자연형하천 관리방안(무심천을 중심으로))

  • Yeon, Gyu-Bang;Cho, Yong-Soo;Yeon, In-Sung;Maeng, Seung-Jin;Jun, Ky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6-120
    • /
    • 2011
  • 무심천에는 2002년부터 자연형 하천정비사업에 착수하면서 저수로, 저수로 하안, 고수부지 등 하도내에 여러 자연형 하천 공법과 함께 시설들을 설치하였다. 본 모니터링 조사사업은 '무심천 살리기'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하천종합조사사업으로써 무심천의 수리/수환경 변화와 생태계의 변화를 조사를 통해 생태 수환경 수리특성 등 생태복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필요한 공법 등 향후 추진될 무심천 하천정비 및 관리에 반영하기 위하여 저수량, 홍수량, 생태계 및 하천공법 등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전문가, 시민참여 그리고 공무원이 함께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심천을 친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실시한 친자연형공법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얻은 수리/공학적 그리고 생태적 성과물을 자연형하천정비사업에 피드백시키는 자연형 하천관리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무심천의 친자연형하천관리를 위하여 하천의 3대기능과 관련한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평가를 하고 자연형 하천공법 등급을 I-V로 구분하여 하천관리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평 저수시 무심천 본류와 지류에 대한 유량측정을 실시하고, 하천유지유량을 산정하였다. 저수/고수호안, 하상, 둔치에 대한 조사분석을 실시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여 무심천을 점차 자연형하천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생태계의 적응관리로 하천식생을 유지하기 위한 관리를 실시하고, 유해식물과 외래식물을 제거하고, 하도내 직경이 10(m) 이상되는 버드나무 수목에 밑둥치기를 실시하여 치수기능의 저해를 방지하였다.

  • PDF

무심 연삭의 동시 연삭 및 복합 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

  • ;TUSKIS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32-32
    • /
    • 2004
  •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기계부품의 소형화, 고속화가 요구되는 세계적인 추세에서 정밀 가공기술은 기계 및 전자 부품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원통형상을 가지는 부품의 가공에서 무심 연삭(Centerless Grinding) 공정은 높은 생산성과 정확한 치수 형성의 능력이 있어서 중요한 생산공정으로 발전되어 왔다. 예컨대 각종 Pin, Compressor의 Crankshaft, 소형 축, 연료분사기 등은 무심 연삭 공정을 통하여 높은 정밀도를 얻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최근 생산 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고효율 연삭 공정을 위한 Shaft류의 외경과 단면의 복합공정 연삭 방법을 기술하였다.(중략)

  • PDF

콘크리트 충진 베드를 적용한 초정밀 무심 연삭기의 구조 특성 해석

  • 김석일;조재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318-318
    • /
    • 2004
  • 원통 연삭기(cylindrical grinding machine)는 원통형 공작물을 센터나 척으로 지지하면서 연삭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작업이 어렵지만, 무심 연삭기(centerless grinding machine)는 원통형 공작물을 받침판으로 지지하면서 연삭 숫돌(grinding wheel)과 조정 숫돌(regulating wheel)로 연삭 공정과 축방향 이송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특히 고정밀 부품을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고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무심 연삭기는 구름 베어링, 축, 피스톤 핀 등과 같은 고정밀 기계류 부품들을 대량 연삭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중략)

  • PDF

A Bibliographical Research on 'Musim' Presented by Baegun Hwasang (백운화상의 '무심(無心)'에 관한 서지적 연구)

  • Kim, S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6 no.4
    • /
    • pp.119-146
    • /
    • 2012
  •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Musim' presented by Baegun Hwasang was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a bibliograph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asonable to translate 'Musim' into Korean to mean (1) 'free from cares', (2) 'there is noting called a heart', and (3) 'no anxietie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praises. Second, Musim by Baegun means 'calm mind without any trembles in ordinary times', 'unload any worries', and 'the spirit of awakening'. Such concepts of Musim agree with the praises of 'Awakening by seeing through a person's own heart' presented by Dalma Josa, and 'Unloading any worries' presented by Buddha.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Musim is the mental state of 'being free from cares which seek and hold', and Baegun Hwasang presents his experiential awakening 'by keeping his mind calm without any trembles in ordinary times, unloading any worries, and freeing himself from cares'. Third, it is confirmed that Musim by Baegun when compared with the praises presented by 'Gwageo 7 Buls' and 'Seocheon 6 Josas' in Jikji, firmly holds the ideas of Buddha's 'Unloading any worries' and Seocheon Josa's 'Neutral perspective based on double negations'. Therefore, Baegun Hwasang's 'Musimseon' which especially emphasizes 'Musim' is the method of meditation which most clearly inherited the nature of Dalma Seonjong or Yukjo Hyeneung, and Imjejong's meditation.

Historical Geography of Mu-Sim River and Nam-Suk Bridge in Chongju City (청주 무심천과 남석교에 관한 역사지리적 고찰)

  • Yeh, Ky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9 no.4
    • /
    • pp.437-460
    • /
    • 2003
  • It is recorded that the orignal Nam-Suk Bridge is constructed at the first year of Oh-Bong(B.C. 57). But I believe that it can be back to the 19 year of Jin-Hung King(AD. 558) by discovered bibliographies. The Nam-Suk Bridge is improved and remodelled from past to the late of Zosun dynasty by the development of walled city of Chongju. By the late of Gojong Empire, the Nam-Suk Bridge has stone post and monument of Nam-Suk Bridge. Because the alternations of Mu-Sim River channel, heavy floods, extension of built, up area and Japanese unconcern, the stone post and monument of Nam-Suk Bridge is lost approximately by 1910s and Nam-Suk Bridge is completely buried by the early 1930s. The Mu-Sim Hiver has negative aspects from past to the Japanese rule but has increasingly the positive aspect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We must reconstruct these buried cultural resources to highlight the cultural identity of Chongju City.

  • PDF

Analysis of the Therm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for Musim Stream (청주시 무심천 주변의 열 환경 특성 분석)

  • Park, Jin-Ki;Park, Jung-Haw;Na, S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16-1020
    • /
    • 2010
  • 본 연구는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무심천 주변을 대상으로 하천이 도시 주변 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원격탐사(Remote Sensing; RS)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열 환경 특성 분석 순서는 먼저 Landsat 5 TM 위성영상의 열적외 밴드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표면 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LST)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추출된 LST를 이용하여 무심천을 중심으로 주변의 공업단지와 주거지, 산림 지역의 지표면 온도 분포를 비교 분석하여 하천이 주변의 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였다. 또한 공간적 특성 분석을 위해 등온선을 작성하여 하천 주변 열 환경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온도분포에 따른 열 이동의 크기와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열 분포의 공간분포는 공업지>주거지>하천>산림 순으로 나타나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열 분포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페룰가공용 다이아몬드 드레싱 장치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천영재;이은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66-266
    • /
    • 2004
  • 광통신 커넥터 핵심 부품인 페룰(Ferrule)은 광통신의 주요한 커넥터 부품으로 사용되며 슬리브내에서 페룰을 서로 맞대어 광섬유론 정렬하는데 사용이 된다. 광섬유의 맞대기가 정확하고 광학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페룰의 외경과 표면의 초정밀 가공이 주요한 품질 특성이 된다. 페룰은 고경도 난삭재의 소구경 세라믹 재질이며 이의 가공을 위해서는 다이아몬드 연삭숫돌을 이용한 무심연삭(centerless grinding) 장치를 사용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