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섬마을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Storytelling Method of Muesom Byeolli Literature Museum to Enhance the Placeness (장소성 강화를 위한 무섬별리문학관 공간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 Lee, Kyungsuk;Kwon, Gichang
    • 지역과문화
    • /
    • v.6 no.1
    • /
    • pp.29-5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ll stories about the space of the Museom village as the Museom Byeolli Literature Museum,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local literature museum and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the Museom Village. For this,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Museom Village and examined its value and meaning. Based on this theoretical review and the analysis of the subject of the study, we constructedthe Byeolli Literature Museum and made it possible for visitors to feel placeness with the story related to Jihun Joe. For this, the museum consists of a space for lovers, a space for thought, a space for consideration, and a space for healing. The space is telling the story about love, village, dining table, amusement and has maximized the space of the village which is literature contents and the background of literature work. The museum is going to be a complex cultural space where nature, culture, and literature are combined to enhance the image of the region and raise brand value.

A Study on the Landforms Near of Mooseom Village, Naeseongcheon (내성천 무섬마을 인근의 하천 지형 특성에 대한 연구)

  • Kim, Jong Yeon;Shin, Won Jeong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6 no.3
    • /
    • pp.1-17
    • /
    • 2019
  • Naeseongcheon is Korea's representative sand stream, and it is one of the regions where the dynamic changes of various river topography developed in the sand bed can be observed. Most of drainage area near of the river channel are formed with Daebo granite, and the granite weathering zone is developed at the surface of hill. Due to the massive input of sediment flux, braided channel reaches are found some of the area.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alluvial layer is very thin in some reaches. In addition, bedrock or weathered materials, including the Tors are exposed at the channel beds.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flood, a considerable amount of sediment was introduced, causing the massive sediment to be close to 1m thick. In addition, despite the short distance, large changes in the particle size and sorting of the sediment were observed. Vegetation, on the other hand,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overall channel bed topography, a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In small floods or low water levels, vegetation's protection role of the surface is predominates, but in large flood conditions, herbaceous loss at the surface of the point bars, accelerating the erosion of surface.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Bed Changes on Hahoi Region in the Nakdong River by Using the KU-RLMS Model (KU-RLMS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회지구 지형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Nam-Joo;Hwang, Seung-Yo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02-1406
    • /
    • 2007
  • 낙동강에 위치한 안동의 하회마을, 내성천에 위치한 예천의 회룡포와 영주의 무섬마을 등은 마을 앞에 위치한 깨끗한 백사장으로 널리 알려진 관광명소이다. 하회마을의 점사주의 경우 낙동강 상류에 안동 및 임하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수량이 조절됨에 따라 토사수리학적 특성이 상당히 변화되었으며, 식생이 발생하는 등 옛 모습을 상실해 가고 있는 지역이다. 이 연구는 낙동강의 중상류에 위치한 하회지구에 평면 이차원 하상변동 및 수질예측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을 적용하여 하회마을 앞의 점사주에 영향을 미치는 토사수리학적 특성 변화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수치모형 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하상토 특성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지형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다목적댐 건설 이후 하회구간의 하천 지형 변화의 특징으로 저수로 쪽의 하상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동상 수리모형 실험결과를 사용하여 유사이동모형에서 사용할 유사량 공식을 선정하였다. 안동다목적댐과 임하다목적댐의 방류량, 수공구조물 설치 여부 등을 고려하여 수치모의조건을 결정하였으며, 각 조건에 대한 지형변화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of Development Priority Using Regional Assets (지역자산을 활용한 개발우선순위 분석)

  • Choi, Min-Ju;Lee, Sa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6
    • /
    • pp.359-367
    • /
    • 2019
  • As a strategy for strengthening local competitiveness, efficient use of regional asset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e key to regional identity and competitiveness is local ass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riority region for development by evaluating local assets. The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sis, Big Data Trend 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To assess the potential of local assets, the preference of assets, historical value, cluster of resources, wide-area transport accessibility, and population density were set as analysis indicators and itemized weights were applied using AHP to reflect the importance of each item. As a result of analyzing Yeongju city in Gyeongsangbuk-do, eight major points such as Buseoksa Temple, Sosu Seowon, Huibangsa Temple, Punggi Hot Spring Resort, Punggi Station,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Yeongju east region and Museom Village were derived.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Bed Changes on Hahoi Region in the Nakdong River by Using the HEC-6 Model (HEC-6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회지구 하상변동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Nam-Joo;Hwang, Seung-Yo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65-1669
    • /
    • 2007
  • 경상북도 지역에서 낙동강에 위치한 안동의 하회마을, 내성천에 위치한 예천의 회룡포와 영주의 무섬마을 등은 마을 앞에 위치한 깨끗한 백사장으로 널리 알려진 관광명소이다. 하회마을의 점사주의 경우 낙동강 상류에 안동 및 임하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수량이 조절됨에 따라 토사수리학적 특성이 상당히 변화되었으며, 식생이 발생하는 등 옛 모습을 상실해 가고 있는 지역이다. 이 연구는 낙동강의 중상류 구간인 안동조정지댐 직하류부터 하회마을 직하류에 위치한 광덕교 지점까지의 하도구간에 일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HEC6 모형을 적용하여 하회마을 앞의 점사주에 영향을 미치는 토사수리학적 특성 변화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수치모형 적용구간의 하상변동을 예측하기 위해 적절한 일차원 준정상 상태 하상변동모형으로 HEC-6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모형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하상토 특성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지형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다목적댐 건설 이후 하회구간의 하천 지형 변화의 특징으로 저수로 쪽의 하상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모형의 적용영역 내에 위치한 각 수위표 지점의 수리 수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HEC-6 모형의 보정은 고정상 및 이동상 수리모형 실험결과를 사용하여, 고정상 보정과 이동상 보정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이동상 보정 결과 Ackers and White 공식이 다른 공식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하천망 유사이동 수치모형인 HEC-6 모형을 사용하여 장기 하상변동을 예측하였으며, 댐 건설이 하류 하천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ppm)인 시료에 적합한 여과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사 입경분포 분석방법으로는 BW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국내 외적으로 하천 유사량 산정과 관련된 많은 경험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의 충적하천에 기초하여 개발되어진 유사량 공식들을 우리나라 하천에 무분별하게 적용하는 것은 위험스러우며, 유사량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이 유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측을 통한 유사량 값을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과 비교 분석하여우리나라 하천에 맞는 유사특성을 알아보고, 기타 총유사량산정 공식을 이용하여 실측한 유사량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