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선 이동로봇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실내 위치 인식 기술

  • Park, Jong-Jin;Cheon, Chang-Hui;Choe, Gyu-Sik
    • ICROS
    • /
    • v.16 no.1
    • /
    • pp.35-43
    • /
    • 2010
  • 본 연구에선는 먼저 무선 센서 네트워크와의 연동물을 통해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로봇의 인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 중 구조가 간단하고 성능이 비교적 정확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위치 인식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동형 로봇을 위한 무선전력전달용 파워매트

  • Choe, Su-Yong;Lee, Seong-U;Park, Chang-Byeong;Lee, U-Yeong;Im, Chun-Tae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36-3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정된 공간에서 배터리 용량에 제약 없이 이동형 로봇이 동작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로봇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전력전달용 파워매트를 제안하였다. 파워매트는 단선의 급전케이블을 사용하여 케이블끼리 겹치지 않고 넓은 면적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집전코일은 이동로봇의 바닥에 부착하여 파워매트의 모든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제안된 무선전력전달용 파워매트와 집전장치를 제작하였고,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 PDF

Line Detection in the Image of a Wireless Mobile Robot using an Efficient Preprocessing and Improved Hough Transform (효율적인 전처리와 개선된 하프변환을 이용한 무선 이동로봇 영상에서 직선검출)

  • Cho, Bo-Ho;Jung, Sung-Hwa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4 no.6
    • /
    • pp.719-729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research on the fast and accurate method of line detection in the image of a wireless mobile robot (WMR).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ocessing time to detect l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tted image from the WMR was analyzed, and the efficient preprocessing method among the existing preprocessing methods was selected. And for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to detect lines, the selection method of local maximum value at the Hough array (HA) which has the result of Hough transform was improved by designing a mask and applying it to HA.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acquired images from the WMR, and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ed the existing methods in terms of processing time and line detection.

A study on the autonomous mobile robot using wireless networks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자율이동로봇에 관한연구)

  • Yoo, Min-Suck;Kim, Nam-Uook;Um, Tae-Min;Choi, Eun-Jin;Na, Yoo-Chung;Hong, Sun-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1-132
    • /
    • 2011
  • 현 시대는 로봇의 시대라 할 만큼 다채로운 로봇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인간의 기능들을 본 떠 만든 로봇 암(Robot arm: manipulator)과 워킹로봇(Walking robot: biped robot, quadruped robot, popping robot, etc.)물체인식 및 물체 추적 로봇(Tracking robot with image processing -. Domo robot, MIT.)이나 곤충과 동물 등의 생체 로봇에 대한 개발 또한 진행하고 있다. 지능형 이동로봇에서 가장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기술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기술과 지표면을 걷는 워킹로봇이 아닌 개활지나 밀폐된 공간에서 주행이 자유롭고 속도 및 주변 반응에 대해서 즉시 반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 개발이용이한 바퀴를 이용한 2축 이동로봇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이 되는 곧 이면 어디서든 원격제어를 통하여 이동로봇을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 및 속도제어 위치제어를 할 수 있고 GPS로 로봇의 위치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자료를 수집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 감지 및 자율주행 하는 등 여러 분야에 응용 할 수 있는 로봇을 연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emote Surveillance System with Mobile Robot capable of Interactive Wireless Communication (대화식 무선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로봇을 이용한 원격 탐색/감시 시스템의 개발)

  • 조성제;권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27-229
    • /
    • 1999
  • 이동로봇에 통신 기술을 결합하여 응용하려는 시도는 Tele-Robotics라는 학문의 한 분야로 이미 국내외적으로 정착되고 있다. 초기에 Tele-Robotics.Tele-Operation 기술은 극한작업을 위해서만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로 그 응용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식 무선통신 기능을 가진 이동로봇을 제작하고 그와 통신할 수 있는 호스트 시스템을 구성하여 이동 로봇의 원격 제어, 원거리에서의 지형 탐색, 데이터 수집 기능 등을 구현함으로써 본격적인 원격 탐색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Interaction between Autonomous Mobile Robots (자율이동로봇 상호간의 무선통신시스템)

  • Won, Young-Jin;Ryou Hee-Sah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T
    • /
    • v.36T no.2
    • /
    • pp.14-20
    • /
    • 1999
  • In this paper, we discuss about implemen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a distributed autonomous robotic system. In order to achieve cooperative behavior among mobile robots, it is required to perform communication. Based on this requirements, we examined to the appl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ed by mobile robots. This paper describes a conceptual and experimental framework which provides a distributed control architecture for the study of interactions between multiple mobile robots.

  • PDF

The Research about Teleoperation and Manipulation of A Mobile Robot (이동로봇의 원격제어 및 조작에 관한 연구)

  • Kim, Hoy-Sub;Hong, Hyun-Ju;Ro, Young-Shick;Kang, Hee-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5.07a
    • /
    • pp.598-600
    • /
    • 2005
  • 본 논문은 무선 LAN기반에서의 이동로봇에 Manipulator를 장착하고 안정된 원격 제어를 수행하였다. 원격제어는 웹 카메라 및 레이져 센서를 통해 이동로봇 주변 환경을 인식할 수 있으며,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이동로봇 및 Manipulator를 제어한다. 무선 랜 기반 원격제어 시스템은 환경조건에 따라 통신지연이 불규칙하고 통신두절의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간 화상 전송에 대해 이론적이고 체제적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조작자가 이동로봇을 좀 더 안정적이고 쉽게 조작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힘 반영 조이스틱에 이동 로봇 주위의 장애물 정보를 반영하였다. 또한 Manipulator의 원격조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보다 안정되게 물체를 파지 및 이동시킬 수 있다.

  • PDF

Distance Estimation Method Using Relatively Information of Multi-Robots (다수 로봇의 상대적인 정보를 이용한 거리 추정 방법)

  • Tak, Myung Hwan;Choi, Seung Yub;Joo, Young 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323-1324
    • /
    • 2015
  • 최근, 다수의 이동 로봇으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 기반 군집 로봇 시스템을 제한적인 환경을 벗어나 다양하고 동적인 환경에서 운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다수 로봇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실내 환경에 기반 시설 없이 로봇에 장착된 센서들에 의해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로봇간의 상대적인 정보를 통해 다수 이동 로봇의 거리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먼저, 다수 이동 로봇의 거리를 추정하기 위해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RSSI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 이동 로봇의 거리를 추정한다. 그 다음, 추정된 거리와 추측 항법(Dead Reckoning)을 융합하여 이동 중인 로봇의 거리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 도구를 이용하여 응용 가능성을 증명한다.

  • PDF

Image Discrimination of a Wireless Mobile Robot using Binary Image Complexity (이진 영상 복잡도를 이용한 무선 이동 로봇의 영상 식별)

  • Cho, Bo-Ho;Jung, S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484-48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조명 조건 하에 노출되어 있는 무선 이동 로봇으로부터 전송 받은 영상에서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과 그렇지 않은 영상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열악한 조명 조건하에서 획득된 영상은 많은 잡음을 포함하고 있고, 충분한 주변 정보를 제공해 줄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선 이동 로봇으로부터 전송 받은 영상을 전처리하여 획득한 이진 영상의 복잡도를 이용하여 전송받은 영상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실험에는 무선 이동 로봇으로부터 획득한 305개의 실험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실험 결과, 약 97%의 식별율을 나타내었다.

한국이동통신의 기술개발 현황

  • 방찬점
    • ICROS
    • /
    • v.1 no.1
    • /
    • pp.66-73
    • /
    • 1995
  • 이 글에서는 한국이동통신의 연구개발분야 중에서 차세대서비스로 등장할 주요분야들, 즉 PCS, 무선테이터, advanced paging system, 무선멀티미디어, 저궤도위성통신 등의 기술개발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