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선 센서 노드

Search Result 1,648,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cceleration-based Wireless Sensor Nodes Embedding Output-only Modal Analysis (모드해석 기법이 내장된 가속도기반 무선센서노드 개발)

  • Park, Jae-Hyung;Kim, Jeong-Tae;Ryu, Yeon-Sun;Yun, Chung-Ba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10-1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모드해석 기법이 내장된 가속도기반 무선센서노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첫째, 가속도 데이터를 취득하고 분석할 수 있는 가속도기반 무선센서노드를 설계하였다. 둘째, 무선센서노드를 이용한 구조건전성모니터링에 적합한 모드해석 기법으로 주파수영역분해법을 선정하였다. 셋째, 무선센서노드에서 모드해석을 독자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분산 무선센서 네트워크기반 모드해석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무선센서노드에 내장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무선센서노드를 PSC 거더모형에 설치하고 기존 구조건전성모니터링 시스템과의 성능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 PDF

Multi-Scale Wireless Sensor Node for Global and Loc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전역적-국부적 구조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다기능 무선센서노드)

  • Lee, So-Young;Ho, Duc-Duy;Park, Jae-Hyung;Kim, Jeong-Tae;Na, Won-B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662-66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전역적-국부적 구조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센서노드로서 가속도 및 임피던스 응답신호의 계측이 가능한 다기능 무선센서노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가속도 및 임피던스 응답의 계측이 가능한 다기능 무선센서노드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둘째, 다기능 무선센서노드의 성능검증을 위하여 트러스교 모형을 대상으로 진동실험을 수행하였다. 셋째, 다기능 무선센서노드로부터 취득된 가속도 및 임피던스 응답을 이용하여 트러스 구조물의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을 통해 다기능 무선센서노드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opology Management of Slotted-Ring method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Slotted Ring 토폴로지 관리기법 연구)

  • Lee, Taewon;Kim, Cho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87-188
    • /
    • 2009
  • 최근 무선 센서 노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는 기술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제한적인 컴퓨팅 자원을 가진 소형의 센서 노드들로 구성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이슈중 하나는 모든 노드가 게이트웨이인 싱크 노드를 통해 정보수집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기존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싱크 노드와 센서 노드들간의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한 싱크 노드가 다운되면 통신경로가 상실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선 슬롯 링 방식을 제안한다. 무슨 슬롯 링 방식은 기존의 트리형 혹은 클러스터형과 달리 센서 노드로 링형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한 노드를 통해 데이터를 싱크노드로 전송하는 통신 기법을 제안한다.

The Pumping Node Architecture to Solve the Traffic Congestion Problem due to the Crowds of Mobile Nod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고정 노드와 이동 노드가 상존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동 노드 몰림 현상으로 인한 폭주 현상 해결을 위한 펌핑 노드 구조)

  • Lee, Dong-Kyu;Kim, Byung-Chul;Park, Sung-Ho;Kang, Soon-Ju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4 no.8B
    • /
    • pp.777-785
    • /
    • 2009
  • In recent wireless sensor networks, stationary nodes and mobile nodes co-exist to provide a diverse service. However, because there are multiple mobile nodes located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there is a potential for the instability due to the frequent network reconfiguration and the traffic caused by densely concentration of mobile nodes while mobile nodes are switching loca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the pumping node architecture to solve this traffic congestion problem due to the crowds of mobile nodes. The pumping node can be reduced heavy traffic by pumping through the backbone network caused by the densely concentration of the mobile nodes. As a result, the architecture reduces the traffic in the sensor network with high reliabilit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ime Synchronization Protocol for Distributed Manifold Nod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분산 다중노드를 위한 시간동기화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 Kim, Ki-Hyeon;Kim, Hie-Cheol;Hong, Won-K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50-55
    • /
    • 2006
  • 저전력 연산능력과 무선통신 기능을 포함한 경량의 센서노드들로 구성된 무선 센서네트워크는 자연 환경의 모니터링에서 군사적인 목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창출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저가 무선 노드를 배치해야 하는 센서네트워크의 특성상 안정성이 높은 고가의 부품을 사용할 수 없어, 이에 대한 보완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무선 노드들 간의 시간동기화는 가용 무선 대역폭이 적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TDMA 스케줄링등의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반기술로서 네트워크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동기화 기법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센서노드의 특성을 파악하고 시간 동기화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요인을 분석하여, 넓은 지역에 산발적으로 분포되는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간동기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Design and Network Implementation of Sensor Nod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센서 노드 설계 및 네트워크 구현)

  • Min, Hyoung-Seok;Le, Sang-Bin;An, Sun-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d
    • /
    • pp.195-198
    • /
    • 2007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관심 지역에 많은 에너지 자율적인 마이크로 센서들로 분포되어 구성된다. 각각의 노드들은 에너지 공급에 제한을 가지며 싱크 노드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발생 시킨다. 이러한 네트워크에서의 기본 동작은 기지국(base station)으로 데이터를 취합하고 전송하는 것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응용분야 중에서 환경 감시를 위한 센서 노드의 유선 설비는 기반 시설이 수반 되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번거로우며 많은 비용이 들기에 설치 측면과 비용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도입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해 보았으며, 네트워크 구성에 사용된 센서 노드는 저비용, 저전력에 근거해 자체 제작한 로온도, 습도, 조도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 하였으며, 베이스 노드와 호스트간은 시리얼 통신 및 USB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Moving Target Localization using Wavelet based Wireless Sensor Node Collaborative Signal Processing (웨이블릿 기반의 무선 센서 노드 협력 신호처리를 이용한 이동 표적 위치 추정)

  • Cha, Dae-Hyun;Lee, Tae-Young;Hong, Jin-Keun;Han, Kun-Hui;Hwang, Chan-Si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953-956
    • /
    • 2009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동하는 표적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는 센서 노드의 에너지가 제한 되어 있어 센서 노드 상호간의 협력적인 신호처리 기법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동 표적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각 센서 노드에서 이동 표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해 수신신호강도, 잡음제거, 압축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형태이다. 이런 기존의 기법은 애드 호크 방법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는 적용이 어렵고, 각 센서 노드에서 신호처리 및 통신에 의한 에너지 소모가 크기 때문에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생존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협력적 신호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센서노드에서의 에너지 효율적 특징추출을 수행하고 각 센서 노드간의 특징 전송을 통해 표적의 위치를 추정한다.

  • PDF

ASIT for Efficient energy management of Sensor nod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의 효율적 에너지 관리를 위한 ASIT)

  • Lee, Jong-Seung;Doo, Kyoung-Min;Lee, K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69-372
    • /
    • 2008
  • 무선 센서 네트워크(WSN)는 소규모, 저비용, 저전력 지능형의 센서 노드로 구성되고, 원격 환경 감시와 군사작전 및 재난 상황 등에 응용 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노드의 에너지 공급은 독립된 소형배터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노드에서의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최대 쟁점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노드의 제한된 배터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ASIT(Advanced Sensing Interval Time)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ASIT란 입력된 센싱 값의 변화와 센서 노드의 에너지 잔여량에 따라 센싱 주기를 제어 관리하는 방법으로 이에 대한 모델링을 수립하고, 실제 노드 관리 결과와 모델링 된 결과의 오차를 관찰하여 적중율을 향상하는 기법을 제안한 것이다. 제안된 ASIT의 알고리즘으로부터 센서 노드의 수명을 향상 시켜 궁극적으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전체의 망 접속의 신뢰성과 노드 관리 수명을 연장시키며, 망의 토폴로지 구성의 측면에서는 전체적인 영역의 커버리지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한된 배터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걸과를 얻게 된다.

  • PDF

Hybrid Monitoring using Wireless Sensor Nodes of Steel Plate-Girder Railroad Bridges (무선센서노드를 이용한 강판형 철도교량의 하이브리드 모니터링)

  • Hong, Dong-Soo;Park, Jae-Hyung;Kim, Jeong-T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110-11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무선센서노드을 이용하여 강판형 철도교량의 전형적인 손상유형인 거더부의 휨강성 저하와 지점부의 볼트풀림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모니터링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첫째, 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가속도 및 임피던스기반 무선센서노드를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둘째, 가속도 및 임피던스 신호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손상모니터링이 가능한 기법들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가속도 및 임피던스기반 무선센서노드를 모형 강판형 철도교에 설치하고, 일련의 손상 시나리오에 따른 하이브리드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무선센서노드 및 모니터링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in Tunnel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터널 내 환경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Joo, Yang-Ick;Kim, Jae-Wa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10
    • /
    • pp.1196-1203
    • /
    • 2013
  • In general, the cost of transceiver for wireless network configuration is more expensive than that for wired network. However, in cas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in a tunnel, the cost can be minimized by adopting low rate tranceiver because the amount of the exchanged data for tunnel monitoring is very small. When the obtained data from sensor node is sent directly to the corresponding command node,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routing problem of the data transfer. However in this case, sensor nodes are required to be implemented with high power transmitter and experience high energy consumption. To tackle this problem, relay nodes can be used to transfer the data of tunnel monitoring, and suitable routing protocols for selecting optimum path are need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uting algorithm and a self-configuration protocol fo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in tu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