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선 랜

Search Result 1,05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Investigation on the Operation of Wireless LANs in Korea (국내 무선랜 운영실태 조사)

  • Park, J.A.;Park, S.K.;Cho, P.D.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2 s.86
    • /
    • pp.127-13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2003년 9월,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한 국내 무선랜 운영현황의 주요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무선랜 AP의 비컨 신호의 복조를 통하여 일반 무선랜 이용자에게 운영 채널번호, 수신 신호세기, WEP 설정유무 등의 주변 무선랜 AP 정보를 제공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이하 ‘무선랜 가이더’라 함)를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서울 도심지역에서 무선랜의 운영현황을 무선랜 가이더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심지역의 무선랜 운영실태를 조사하였다. 특히, 주변 무선랜 AP의 운영 파악에 유용한 무선랜 가이더는 정보통신부 및 초고속 무선랜 포럼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무료로 배포될 예정으로 있다.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무선랜 침해사고 예방대책 연구)

  • 신동훈;신동명;고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466-468
    • /
    • 2004
  • 무선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유.무선 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축 및 서비스의 보급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중에서 무선랜 서비스는 기존 유선 네트워크와의 호환성과 무선이 갖는 확장성으로 인해 많은 곳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무선랜 제품은 802.1x, WPA 보안 표준을 구현한 제품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표준화가 완료된 802.11i 호환 제품들도 많이 보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무선랜 통신의 고속화와 보안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유선구간에서 제공되던 많은 서비스들이 무선환경에서도 비교적 안전하게 서비스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무선랜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업과 기관에서 무선랜 설치를 망설이는 주요 이유 중의 하나는 무선랜의 보안치약성에 대한 우려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물론 무선랜 구축을 위한 추가적인 비용 문제도 있지만, 특히 무선이 유선에 비해 보안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NIST, DoD 산하 ITRC 및 캐나다의 CSE 등에서는 무선랜 환경에서의 보안취약성 및 모범 사례들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에서 무선랜 보안 운영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무선랜 서비스 형태 및 구축방식에 따른 보안대책을 공표 하였으며,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안전 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국외 무선랜 보안 대책을 소개하고, 무선랜 환경에서의 침해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국내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 및 방향을 제시한다.

  • PDF

국내 무선랜(WiFi) 보안 운영 현황 및 정책 방향

  • Baek, Jong-Hyun;Park, Soon-Tai
    • Review of KIISC
    • /
    • v.21 no.1
    • /
    • pp.44-50
    • /
    • 2011
  • 최근 폭발적인 스마트폰 이용 확산 및 다양한 태블릿 PC의 출시 등으로 언제 어디서나 저렴한 가격의 무선인터넷 이용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무선랜(WiFi)이 가격이나 속도 측면에서 이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무선랜 기술은 2000년대 초반부터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나 스마트폰이 출시된 2009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보급이 확산되었다. 무선랜은 급격하게 증가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부하 분산 등을 위해 이통사를 중심으로 경쟁적으로 설치되고 있으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와이파이 존이 확산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랜 보급 확산에 따라 이에 대한 역기능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구글의 스트리트뷰 서비스 관련한 개인정보 유출 문제나 무선랜 해킹 등이 최근 이슈가 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이용의 편리성과 동시에 무선랜 환경에 대한 보안 문제 해결도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무선랜 기술, 국내 무선랜 환경 및 보안 운영 현황, 무선랜 보안 관련 정부정책 방향 및 대응방안 등을 제시한다.

해외안테나 / 통신사업자 무선랜 통한 통신 서비스 사업에 박차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10 s.101
    • /
    • pp.38-39
    • /
    • 2001
  • 무선랜의 장점은 무엇보다 말 그대로의 선이 사라진다는 점에 많은 이들에게 매력이 있다. 즉 사무실이나 공장등 제한된 공간안에서 사용하는 랜을 무선화 한다는 것이다. 무선랜 장비는 일종의 기지국 구실을 하는 무선접속장치와 컴퓨터에 꽂는 무선랜 카드 등 두가지로 나눌수 있다. 무선 접속장치는 기존의 유선망과 유선으로 연결돼 있으며, 한대 당 실내의 경우 30-50m, 실외는 200m내에서 13-20명이 동시에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수 있다. 이러한 무선랜 시대를 개화 시켜준 것은 무엇보다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무선랜 시장의 성공에 고무된 통신사업자들의 시장진출에서 기인한다.

  • PDF

Study on Security Reinforcement Method by Wireless Security Status Survey and Analysis (무선랜 보안 실태 조사 및 분석을 통한 보안 강화 방안 연구)

  • Jung Hyun-Chul;Lee Hee-J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857-860
    • /
    • 2006
  • 최근 기업의 무선랜 인프라 도입이 본격화 되고 가정내 유 무선 공유기의 보급으로 인하여 무선랜의 사용이 대중화 되고 있다. 하지만 급속한 대중화 과정에서 무선랜 사용자 및 운영자의 보안의식 부족으로 각종 무선랜 해킹 위협에 노출 되어 있다. 또한 현재의 무선랜 보안 현황이 제대로 파악 되어있지 못해 어떤 부분에 대한 보안이 시급한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고에서는 무선랜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를 이용한 무선랜 보안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여러 지역의 무선랜 보안 현황을 통계치 기반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재 무선랜 환경에서 가장 중요하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그 해결을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echnologies for Next Generation Wireless LAN Security (차세대 무선랜 보안 기술 동향)

  • Kim, S.H.;Lee, S.;Kwon, H.C.;An, G.I.;Cho, H.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1
    • /
    • pp.100-109
    • /
    • 2013
  •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의 무선랜 접속을 통해 편리하게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때 무선 구간 도청의 위험성 정도만 인지하는 수준이지만, 편리하다는 그 이면에는 불특정 다수에 의한 도청 위험성뿐만 아니라, 무선랜은 타 무선 네트워크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고 손쉬운 공격 도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무력화가 가능하다는 큰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무선랜 보안성 강화를 위해, IEEE 등 관련 표준화 기구에서는 무선랜 보안과 셀룰러 망 연동, 로밍, 무선 메시 네트워크 등 다양한 활용을 염두에 둔 보안 규격을 정의하였으며, 표준 영역에서 다루지 않는 무선랜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장비에 대한 시장의 요구도 분명하다. 본고에서는 2012년 최신 무선랜 표준에서의 보안 기술과 Gbps급 차세대 무선랜 환경에서의 보안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과 이를 탐지하고 방어하는 무선랜 침해방지 기술에 대하여 논한다.

  • PDF

A Study on Security Threats and Countermeasure for WLAN Environment (무선랜 이용 환경별 보안위협 및 대응방안)

  • Park, Soon-Tai;Won, Yong-Geun;Baek,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350-1353
    • /
    • 2010
  • 최근, 스마트폰 등 무선랜 이용가능 단말기의 출시와 저렴한 무선 AP(Access Point) 보급 확대로 무선랜 이용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그동안 국내 무선인터넷 환경은 이동통신사가 구축한 고비용 폐쇄적 3G 네트워크의 데이터 통신 위주로 이루어졌으며, 무선랜 이용은 일부 기업환경 및 호텔/식당 등의 고객용 무선랜, 개인용 무선랜 등으로 한정되어 사용되었다. 하지만 '10년 스마트폰의 폭발적인 확산으로 무선랜을 통해 빠르고 저렴하게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정, 공공시설 등에서 무선랜 구축/활용이 매우 증가하고 있다. 논문은 무선랜에 대한 물리적, 기술적, 관리적 보안위협을 살펴보고 구축, 관리, 이용 주체별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IEEE 802.11 무선 랜의 성능 특성

  • Choe, Seon-U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6
    • /
    • pp.50-57
    • /
    • 2007
  • 오늘날 인프라 무선 랜은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중요한 인터넷 접속 기술이다. 따라서, IEEE 802.11 MAC의 성능분석은 지난 몇 년간 무선 랜 연구의 중요한 테마 중의 하나였다. 본고에서는 프로토콜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의존성의 중요성에 주목하며,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랜이 갖는 성능 특성에 관하여 알아본다. 먼저, 무선 노드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무선 랜 시스템의 처리율이 감소한다는 IEEE 802.11 MAC DCF 분석 결과를 설명한다. 여기에 MAC 계층과 다른 계층 사이의 상호 작용에 주목하여, 무선 랜의 성능이 어떤 특성을 갖는지 알아본다. 물리 계층에 존재하는 무선 노드들 사이의 불평등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로 인하여 노드들 간의 혼잡 수준이 떨어지고 경쟁 기반의 DCF 처리율이 혼잡 상태에서도 서서히 감소하게 되는 것을 설명한다. 또한,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서 TCP를 사용하는 경우의 무선 랜 성능에 관하여 알아본다. TCP는 실제로 무선 채널의 경쟁에 참여하는 노드를 $2{\sim}3$개 정도로 제한하는 효과가 있어서, TCP를 사용하는 무선 랜의 성능은 무선 노드의 개수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것을 설명한다.

Study on intruder detection method using a wireless Lan AP (무선랜 AP를 이용한 무선랜 침입자 탐지 방법 연구)

  • 신동훈;김동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295-297
    • /
    • 2004
  • 현대 사회는 무선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에 상관없이 어디서든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무선은 유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안에 취약하여 정보보호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유선 네트워크는 침투를 위해서 물리적으로 침투위치를 확보해야만 공격을 수행할 수 있었으나, 무선의 경우에는 전파도달 거리내의 아무 곳에서나 공격을 시도할 수 있어 무선랜을 통한 많은 공격시도가 현실화되고 있다. 또한 공격자가 공공장소, 대학교, 카페 등의 개방된 곳에서 자신이 습득한 다른 사용자의 ID를 사용하여 공중 무선랜 서비스에 접속하여 어느 특정 기관을 공격, 해킹 할 경우에 공격 근원지와 공격자에 대한 추적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무선랜이 갖는 취약성을 보완하고 안전한 무선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무선랜 장비인 AP를 이용하여 침입자를 탐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제시된 방법은 현재 사용되어지고 있는 무선랜 환경에 추가적인 장비의 도입을 하지 않고, AP의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 AP와 무선 센서를 기반으로 하여 좀 더 정밀하고, 정확하게 침입자를 탐지하는 기술을 보강할 예정이다.

  • PDF

무선랜 환경에서의 PKI 구축

  • 이종후;서인석;윤혁중;류재철
    • Review of KIISC
    • /
    • v.13 no.1
    • /
    • pp.77-91
    • /
    • 2003
  • 무선랜에서의 보안문제는 크게 두가지 측면에서 지적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승인된 사용자에게만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에 관한 보안이며, 다른 하나는 스니퍼 등을 이용해 무선랜을 통해 전송되는 내용 자체를 몰래 보는 도청 행위를 방어할 수 있는 보안이다. 특히 유선 네트워크와 달리 무선랜에서는 AP(Access Point)만 설치되어 있는 곳이면 누구나 쉽게 AP를 통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랜에서 보다 중요성이 강조되는 보안문제는 접속에 관한 보안, 즉 사용자 인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랜 표준인 IEEE802.11b에서의 인증은 사용자 인증이 아닌 디바이스 인증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며, 이 또한 매우 취약하다. 이에 따라 IEEE802.1x가 강력한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개발되었다. IEEE802.1x에서는 EAP-TLS, LEAP, PEAP 등의 다양한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메커니즘은 모두 공개키 암호기술을 이용하고 있어 무선랜 환경에서의 PKI 구축이 요구된다. 본 고에서는 무선랜에서의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에 대해서 알아보고, 유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특성을 갖는 무선랜 환경에서 PKI 구축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