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기 화합물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6초

그래프팅 방법을 이용한 유-무기 혼성막의 제조 및 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rganic/Inorganic Hybrid Membranes Using Organo-silane via Grafting Methods)

  • 오석일;강태욱;문정우;김홍곤;이종협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60-162
    • /
    • 2004
  • 기계적, 열적 강도가 우수한 무기막과 다양한 기능성을 가질 수 있는 유기막의 결합에 관하여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무기막은 높은 열적, 기계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지체로써 큰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고분자를 비롯한 유기막은 그 다양성과 응용성에 있어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지체로써 물성이 뛰어난 세라믹막의 표면에 다양한 유기 기능기를 가지는 실란화합물을 그래프팅 방법을 통하여 도입하여 유-무기 혼성막을 제조하고 표면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중략)

  • PDF

가뭄과 홍수의 연간 변동성이 토양 수분 및 질소 나이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xtreme annual weather variability on soil moisture and nitrogen age)

  • 우동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70-70
    • /
    • 2021
  • 강수의 변동성 중 특히 가뭄과 홍수의 급격한 연간 변화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근래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가뭄이 발생한 이후 홍수가 발생하거나 그와 반대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날씨 편달(weather whiplash)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토양에 매설되어 수분을 저감하는 배수시설로 인하여 토양 수분 변동 및 무기질소 손실에 지배적은 영향을 준다. 이러한 질소 손실은 부영양화를 일으켜 생태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토양 무기질소는 토양에서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강우 변동성에 의해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특정하고 분석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이번 연구에서는 생태수문모형과 생물지질모형을 결함한 3차원 모델인 Dhara를 이용하여 토양 배수시설에서 유출되는 무기 질소의 농도 및 나이를 분석하였다. 여기서 나이란 화합물이 발생 하여 다른 형태로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집중적으로 관리되는 경작지에 Dhara 모형을 적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 수분과 질소의 나이를 분석한 결과 반응 화합물인 질소의 경우 토양 수분(비반응 화합물)과 비교하여 이전의 강우상태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가뭄이후 홍수가 발생할 때 배수시설에서 발생하는 질소의 유출이 그 반대 기상 환경인 홍수 이후 가뭄이 발생할 때 보다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배수 흐름의 경우 질소의 거동과 반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질소유출 저감하여 강 및 바다에서 부영양화를 감소하기 위해 강수의 변동성과 연계하여 분석한다면 새로운 질소유출 저감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친환경 무독성 난연도료 개발연구 (Development of Environmental-friendly Nontoxic Flame Retardant Paint)

  • 도영웅;하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54-135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EU의 6대 유해물질(Pb, Hg, Cd, $C^{+6}$, PBB/PBDE) 규제와 국내 환경부의 환경유해물질 규제법규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무독성 난연 도료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도료는 VOC(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이 적어 친환경적이며, 할로겐계를 탈피하여 인체안전성 확보됨과 동시에 검정기술기준(KOFEIS 0201)에 적합한 수용성 유 무기계 복합화합물이다. 유 무기계 난연 복합화합물 제조를 위하여 $Mg(OH)_2$, $Sb_{2}O_{3}$, 붕산아연 등의 난연성 화합물을 사용하였으며 각 화합물의 최적배합 비율은 1: 2: 2였다. 최종적으로 난연 복합화합물을 바인더(마이셀 2%) 및 용제(물)와 1: 0.5: 0.5로 배합하여 난연도료를 제조하여 그 난연 성능을 테스트하였다.

항균, 항진균 및 항바이러스 액티브 패키징의 최근 연구 동향 (Recent Research Trends in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viral Active Packaging)

  • 박시연;지하니;최지은;임슬기;장윤지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25
    • /
    • 2023
  • 본 연구는 식품의 저장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식품 포장재로 활용되는 항미생물 활성 액티브 패키징의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최근 5년간 발표된 항미생물 활성 필름 및 코팅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에서 활용한 고분자 소재와 항미생물 소재를 정리하였다.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한 플라스틱 오염 문제가 격화되면서 식품 포장재의 고분자 소재로는 바이오 기반의 분해성 소재가 주목받고 있으며, 분해성 소재에 항미생물 화합물을 혼입하여 기능적 특성을 부가한 액티브 필름 및 코팅 제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었다. 항균 액티브 패키징 개발에 주요하게 활용된 소재는 정유, 추출물 등의 유기 화합물, TiO2, ZnO, AgNPs 등의 무기 화합물과 박테리오파지 및 엔도라이신 등의 생물 소재로 관찰되었다. 또한 주요하게 사용된 항진균 소재는 정유 등의 천연 화합물, 무기산(염) 및 유기산(염)을 포함하는 합성 유기계 화합물과 금속 및 나노입자 등의 무기화합물로 분류되었다. 한편, 항바이러스 소재로는 GTE, GSE 및 AITC 등의 유기 화합물 관련 연구만이 주로 관찰되었다. 동향 분석 결과, 항균 및 항진균 액티브 패키징의 효능 평가는 활발하게 수행되어 왔으나, 이들의 물리 화학적 특성 개선 연구가 미흡하여 산업화로 이어지는 것에 한계가 있어,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분해성 항바이러스 액티브 패키징에 대한 산업체에서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항바이러스 소재 발굴 및 패키징 적용을 위한 활발한 노력이 요구된다.

고에너지 고밀도 고리탄화수소 화합물의 구조에 따른 물성 연구 (Study on Properties of High Energetic and High Dense Cyclic Hydrocarbons by the Structure)

  • 조준현;권태수;정덕진;오창호;박대인;한정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1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63-466
    • /
    • 2008
  • 액체 추진기관을 적용하는 무기체계는 용도가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며, 운용목적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가진 액체연료의 수요도 많아지고 있다. norbornane 또는 dicyclopentane 구조를 포함한 고리탄화수소 화합물은 고밀도 고에너지 특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유도무기체계에 적용되고 있으며, 현재도 많은 분야에서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물질의 설계 및 이를 대상으로 합성한 다양한 고리형 탄화수소화합물의 물성을 분석하여 그 구조에 따라 밀도와 발열량등 이화학 특성이 어떤 경향을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 PDF

유·무기 혼성 메조포러스 물질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능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with Organic-Inorganic Hybrid Mesoporous Materials)

  • 정한모;라영수;안진희;조아영;최미연;김석만;문남구;윤영호
    • 공업화학
    • /
    • 제16권5호
    • /
    • pp.719-723
    • /
    • 2005
  •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혹은 1,2-bis(triethyoxysilyl)ethane (BTSE)과 여러 종류의 organosilane들을 공중합하여 유 무기 혼성 메조포러스 물질들을 제조하고, 이들이 공기 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들을 흡착 제거하는 능력을, TEOS 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친수성 무기 메조포러스물질인 SBA-15와 비교 평가하였다. 유기 구조의 도입에 의한 소수성의 증대는 메조포러스 물질이 VOC를 흡착 제거하는데 긍정적 효과를 줌을 관찰하였다. 특히 BTSE와 phenyl triethoxysilane을 중량비 90:10으로 공중합한 유 무기 혼성 메조포러스 물질의 VOC 제거 능력은 우수하였다. 또, 물속에 분산된 기름 성분을 흡착 제거하는데 유 무기 혼성 메조포러스 물질들을 유용하게 응용할 수 있음도 정성적으로 관찰하였다.

공유결합을 이용한 무기질 섬유와 제올라이트의 결합 (Binding of Zeolites to Inorganic Fiber using Covalent Linkers)

  • 송경근;유윤종;김홍수;하 광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3호
    • /
    • pp.254-258
    • /
    • 2006
  •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허니콤 흡착제의 제조 성분인 무기질 섬유에 흡착력이 뛰어난 제올라이트를 화학 결합시켰다. 무기질 섬유를 염산, 황산 또는 플루오르화 수소산 등으로 처리하여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제올라이트의 접합 능력을 향상시켰다. 무기질 섬유와 제올라이트의 표면에 매달은 클로로프로필, 아미노프로필 또는 에폭시기 등을 서로 반응시켜 두 물질을 화학 결합시켰으며, 연결 화합물로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결합상태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BET 표면적 분석을 통하여 제올라이트 접합량을 유추하였다. 폴리에틸렌이민을 사용하면 제올라이트를 무기질 섬유에 많이 결합시킬 수 있었다.

상수관망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의 성분분석 (The Component Analysis of Foreign Substance Occurred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 최민아;김도환;배철호;이두진;최두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614-623
    • /
    • 2014
  • 지방상수도에서 이물질에 의한 수질민원은 수돗물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고 음용률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민원 대상지역의 이물질 수집 및 시료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실시하여 이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과 원소성분을 검출함으로서 이물질 발생의 원인을 밝히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수관로 내부의 이물질로 인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수질민원을 해소하고 수돗물에 대한 신뢰성 향상 및 양질의 수돗물 공급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민원지역에서 포집된 이물질은 관로의 내부부식 및 노후화로 인한 부식생성물의 무기화합물뿐만 아니라 탄소(C) 및 산소(O)성분을 다량 함유한 유기화합물도 포함하고 있었다. 이물질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저감을 위해 객관적인 대상지역의 관상태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당(糖), 아미노산(酸) 및 무기질소화합물(無機窒素化合物)이 인삼갈변촉진(人蔘褐變促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ugars, Amino acids and Inorganic Nitrogenous Compounds on the Acceleration of Browning in Ginseng)

  • 도재호;김상달;오훈일;홍순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3호
    • /
    • pp.161-165
    • /
    • 1982
  • 홍삼갈변(紅蔘褐變)의 적합(適合)한 촉진방법(促進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인삼(人蔘)에 당(糖), amino산(酸) 및 무기질소화합물(無機窒素化合物)을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당류중(糖類中)에서는 maltose와 glucose가 가장 강(强)한 갈변축진작용(褐變促進作用)을 나타내었다. amino산(酸)은 basic amino acid인 lysine, histidine, arginine이 가장 크게 촉진(促進)했으며 당(糖)과 amino산(酸)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는 glucose와 glutamic acid 혼합처리구(混合處理區)가 가장 크게 촉진(促進)되었다. Glucose농도별(濃度別) 처리시(處理時)의 갈변촉진효과(褐變促進?果)는 glucose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갈변(褐變)이 촉진(促進)되었으며 무기질소화합물중(無機窒素化合物中)에서는 $urea>(NH_4)_2HCO_3>CH_3COONH_4$등의 순(順)으로 갈변(褐變)이 촉진(促進)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