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관질문기법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eview On Current Issues Of The Unrelated Randomized Response Technique

  • Choi, Kyung-H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3 no.1
    • /
    • pp.79-86
    • /
    • 2002
  • Recently, it is shown that the unrelated quest ion randomized response models proposed by Moors (1971), Folsom et al.(1973), Greenberg et al.(1971) are in capable of protecting the privacy of the respondent. Thus, in this paper, we review recent days research tendency. Also modification model of Mahmood et al.(1998) is proposed, and we show th at this model is more efficient than Greenberg et al.(1969). Furthermore we treat the privacy protection based on Lanke's (1975) risk of suspicion measure.

  • PDF

Implementation of Qualitative Unrelated Question Model for Obtaining Sensitive Information at Internet Survey

  • Park, Hee-Chang;Myung, Ho-Mi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3 no.2
    • /
    • pp.341-354
    • /
    • 2002
  • This paper is planned to use randomized response technique which is an indirect response technique on internet as a way of obtaining much more precise information, not revealing secrets of responsors, considering that respondents are generally reluctant to answer in a survey to get sensitive information targeting employees, customers, etc.

  • PDF

Implementation of Qualitative Unrelated Question Model for Obtaining Sensitive Information at On-Line Survey

  • Park, Hee-Chang;Myung, Ho-Min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6a
    • /
    • pp.107-118
    • /
    • 2002
  • This paper is planned to use randomized response technique which is an indirect response technique on internet as a way of obtaining much more precise information, not revealing secrets of responsors, considering that respondents are generally reluctant to answer in a survey to get sensitive information targeting employees, customers, etc.

  • PDF

확률화응답에 대한 대수선형모형

  • 최경호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3
    • /
    • pp.725-734
    • /
    • 1997
  • 많은 사회과학 조사에서 분할표 형태로 얻어진 범주형 자료에는 오분류(misclassification)로 인한 오차가 내재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질적속성 추정을 위한 확률화응답은 이러한 오분류 문제의 한 특수한 경우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래서 확률화응답을 통한 범주형자료는 혼합된 분할표(mixed-up contingency table)로 여길 수 있는 바,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해 대수선형모형(log-linear model)을 설정하고 Chen과 Fienberg(1976)의 Iterative scaling procedure(ISP)에 의하여 얻어진 최우추정량의 극한을 이용하였다. 이 결과 Warner(1965) 형태의 대칭기법에 대해서는 Singh(1976)에 의하여 제안된 최우추정량과 같아지게 됨을 보임으로써 Warner에 의해서 제시된 추정량이 최우추정량으로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해 보고, 무관질문기법에 대해서는 Greenberg, et al.(1969)에 의해서 제안된 추정량이 추정의 관점에서 최우추정량으로 적절하지 않음을 알아 보았다.

  • PDF

Study to the randomized response model (확률응답모형에 관한 연구)

  • 이영진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4 no.2
    • /
    • pp.179-193
    • /
    • 1991
  • In this paper, we introduce various methods of PR techniques initiated by S. Warner in 1960's and examine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for them. One of the main subjects of this paper is to represent Warner model, Unrelated Question Model, and Multi-Proportion Model in linear model. The other subject is to study the inference of PR model by using the Bayesian Approach.

  • PDF

Revalidation of the Complex Trial Protocol using participant-oriented countermeasures (설문 기반 대응방안을 사용한 복합시행 프로토콜의 재평가)

  • Kim, Hyemin;Song, Inuk;Chang, Eunhee;Kim, Hyun Taek
    • Korean Journal of Forensic Psychology
    • /
    • v.11 no.1
    • /
    • pp.89-115
    • /
    • 2020
  • Traditional deception detection methods had examined the difference of one's autonomic physiological responses through asking crime-related and crime-unrelated questions. There has been a continuing controversy regarding the accuracy and validity of the test, and thus, many researchers were motivated to explore and develop alternative efficient methods of detection in which one of them is known as P300-based Complex Trial Protocol (CTP). The P300-based CTP detects deception through comparing the P300 amplitudes between probe and irrelevant stimuli and is known as a counterstrategy of countermeasures. However, many previous studies have used countermeasures created from Rosenfeld et al.'s work (2008). The present study initially conducted a survey asking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 countermeasure use to acquire participant-oriented countermeasures for the main experiment. Then, the study aimed to evaluate whether the CTP can accurately detect deception even in the use of survey-based countermeasures. We firstly selected a set of participant-oriented countermeasures through survey questions. Then, a total of 50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nocent, guilty, and countermeasures) and performed the CTP. Those assigned to the countermeasures group covertly performed mental countermeasures during the CTP. The results of P300 amplitude analysis revealed that the guilty group's P300 amplitude of probe stimuli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irrelevant stimuli. Countermeasures group also had a significantly larger P300 amplitude for probe stimuli compared to irrelevant stimuli, even in the use of countermeasures. The results of bootstrapped amplitude difference (BAD) showed a detection accuracy rate of 81.25%, 82.35%, 82.35% for the innocent, guilty, and countermeasures groups, respectivel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CTP can obtain a high detection rate in participant-oriented countermeasures and suggest the potential use of the CTP in the field.

  • PDF

Making a Linguistic Connection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Conservation Science and Ceramic History: The Case of 『Analytical Report of the Royal Kiln Complex at Gwangju in Gyeonggi Province』 (융합적 연구를 위한 도자기 보존과학과 도자사학 언어의 접목: 『경기도 광주관요 종합분석 보고서』를 중심으로)

  • Moon, Jiho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6 no.6
    • /
    • pp.578-590
    • /
    • 2020
  • During the 1960-1970s, a group of ceramic conservation scientists and ceramic historians in South Korea came together and established their own disciplines. While the two disciplines share the same ceramics as the subjects of their research, there has been littl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s their research outputs are articulated in remarkably different languages.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e following questions by using a case study that focuses on the research on white porcelains centered on the project of Gyeonggi Museum and a series of studies conducted by one of the museum's project research team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and differences between the explanation styles of the two disciplines that share the same research subjects of ceramics? Second, why ha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disciplines become difficult? Third, if there can be a trading zone wherein the two disciplines would be able to communicate again, what would be its epistemic conditions? The focus of this paper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data and ordinary language, which the two disciplines have shared from their incep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I first argue that, as the analytical techniques of conservation science have become more developed, conservation science's data have gradually lost its relevance in ceramic history, in spite of a shared common language between them; Second, I argue that by recovering the import of shared language again, the scientific data can be placed in a different practical context, providing novel interpretations that are relevant and often consequential to ceramic history.

The Advancement of Underwriting Skill by Selective Risk Acceptance (보험Risk 세분화를 통한 언더라이팅 기법 선진화 방안)

  • Lee, Cha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 /
    • v.24
    • /
    • pp.49-78
    • /
    • 2005
  • Ⅰ. 연구(硏究) 배경(背景) 및 목적(目的) o 우리나라 보험시장의 세대가입율은 86%로 보험시장 성숙기에 진입하였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전업채널에서 방카슈랑스의 도입, 온라인전문보험사의 출현, TM 영업의 성장세 等멀티채널로 진행되고 있음 o LTC(장기간병), CI(치명적질환), 실손의료보험 등(等)선 진형 건강상품의 잇따른 출시로 보험리스크 관리측면에서 언더라이팅의 대비가 절실한 시점임 o 상품과 마케팅 等언더라이팅 측면에서 매우 밀접한 영역의 변화에 발맞추어 언더라이팅의 인수기법의 선진화가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하에서 위험을 적절히 분류하고 평가하는 선진적 언더라이팅 기법 구축이 필수 적임 o 궁극적으로 고객의 다양한 보장니드 충족과 상품, 마케팅, 언더라이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보험사의 종합이익 극대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Ⅱ. 선진보험시장(先進保險市場)Risk 세분화사례(細分化事例) 1. 환경적위험(環境的危險)에 따른 보험료(保險料) 차등(差等) (1) 위험직업 보험료 할증 o 미국, 유럽등(等) 대부분의 선진시장에서는 가입당시 피보험자의 직업위험도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 적용중(中)임 o 가입하는 보장급부에 따라 직업 분류방법 및 할증방식도 상이하며 일반사망과 재해사망,납입면제, DI에 대해서 별도의 방법을 사용함 o 할증적용은 표준위험율의 일정배수를 적용하여 할증 보험료를 산출하거나, 가입금액당 일정한 추가보험료를 적용하고 있음 - 광부의 경우 재해사망 가입시 표준위험율의 300% 적용하며, 일반사망 가입시 $1,000당 $2.95 할증보험료 부가 (2) 위험취미 보험료 할증 o 취미와 관련 사고의 지속적 다발로 취미활동도 위험요소로 인식되어 보험료를 차등 적용중(中)임 o 할증보험료는 보험가입금액당 일정비율로 부가(가입 금액과 무관)하며, 신종레포츠 등(等)일부 위험취미는 통계의 부족으로 언더라이터가 할증율 결정하여 적용함 - 패러글라이딩 년(年)$26{\sim}50$회(回) 취미생활의 경우 가입금액 $1,000당 재해사망 $2, DI보험 8$ 할증보험료 부가 o 보험료 할증과는 별도로 위험취미에 대한 부담보를 적용함. 위험취미 활동으로 인한 보험사고 발생시 사망을 포함한 모든 급부에 대한 보장을 부(不)담보로 인수함. (3) 위험지역 거주/ 여행 보험료 할증 o 피보험자가 거주하고 있는 특정국가의 임시 혹은 영구적 거주시 기후위험, 거주지역의 위생과 의료수준, 여행위험, 전쟁과 폭동위험 등(等)을 고려하여 평가 o 일반사망, 재해사망 등(等)보장급부별로 할증보험료 부가 또는 거절 o 할증보험료는 보험全기간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 - 러시아의 경우 가입금액 $1,000당 일반사망은 2$의 할증보험료 부가, 재해사망은 거절 (4) 기타 위험도에 대한 보험료 차등 o 비행관련 위험은 세가지로 분류(항공운송기, 개인비행, 군사비행), 청약서, 추가질문서, 진단서, 비행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할증보험료를 부가함 - 농약살포비행기조종사의 경우 가입금액 $1,000당 일반사망 6$의 할증보험료 부가, 재해사망은 거절 o 미국, 일본등(等)서는 교통사고나 교통위반 관련 기록을 활용하여 무(無)사고운전자에 대해 보험료 할인(우량체 위험요소로 활용) 2. 신체적위험도(身體的危險度)에 따른 보험료차등(保險料差等) (1) 표준미달체 보험료 할증 1) 총위험지수 500(초과위험지수 400)까지 인수 o 300이하는 25점단위, 300점 초과는 50점 단위로 13단계로 구분하여 할증보험료를 적용중(中)임 2) 삭감법과 할증법을 동시 적용 o 보험금 삭감부분만큼 할증보험료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어 청약자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수 있으며 고(高)위험 피보험자에게 유용함 3) 특정암에 대한 기왕력자에 대해 단기(Temporary)할증 적용 o 질병성향에 따라 가입후 $1{\sim}5$년간 할증보험료를 부가하고 보험료 할증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표준체보험료를 부가함 4) 할증보험료 반환옵션(Return of the extra premium)의 적용 o 보험계약이 유지중(中)이며, 일정기간 생존시 할증보험료가 반환됨 (2) 표준미달체 급부증액(Enhanced annuity) o 영국에서는 표준미달체를 대상으로 연금급부를 증가시킨 증액형 연금(Enhanced annuity) 상품을 개발 판매중(中)임 o 흡연, 직업, 병력 등(等)다양한 신체적, 환경적 위험도에 따라 표준체에 비해 증액연금을 차등 지급함 (3) 우량 피보험체 가격 세분화 o 미국시장에서는 $8{\sim}14$개 의적, 비(非)의적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기준에 따라 표준체를 최대 8개 Class로 분류하여 할인보험료를 차등 적용 - 기왕력, 혈압, 가족력, 흡연, BMI, 콜레스테롤, 운전, 위험취미, 거주지, 비행력, 음주/마약 등(等) o 할인율은 회사, Class, 가입기준에 따라 상이(최대75%)하며, 가입연령은 최저 $16{\sim}20$세, 최대 $65{\sim}75$세, 최저보험금액은 10만달러(HIV검사가 필요한 최저 금액) o 일본시장에서는 $3{\sim}4$개 위험요소에 따라 $3{\sim}4$개 Class로 분류 우량체 할인중(中)임 o 유럽시장에서는 영국 등(等)일부시장에서만 비(非)흡연할인 또는 우량체할인 적용 Ⅲ. 국내보험시장(國內保險市場) 현황(現況)및 문제점(問題點) 1. 환경적위험도(環境的危險度)에 따른 가입한도제한(加入限度制限) (1) 위험직업 보험가입 제한 o 업계공동의 직업별 표준위험등급에 따라 각 보험사 자체적으로 위험등급별 가입한도를 설정 운영중(中)임. 비(非)위험직과의 형평성, 고(高)위험직업 보장 한계, 수익구조 불안정화 등(等)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 - 광부의 경우 위험1급 적용으로 사망 최대 1억(億), 입원 1일(日) 2만원까지 제한 o 금융감독원이 2002년(年)7월(月)위험등급별 위험지수를 참조 위험율로 인가하였으나, 비위험직은 70%, 위험직은 200% 수준으로 산정되어 현실적 적용이 어려움 (2) 위험취미 보험가입 제한 o 해당취미의 직업종사자에 준(準)하여 직업위험등급을 적용하여 가입 한도를 제한하고 있음. 추가질문서를 활용하여 자격증 유무, 동호회 가입등(等)에 대한 세부정보를 입수하지 않음 - 패러글라이딩의 경우 위험2급을 적용, 사망보장 최대 2 억(億)까지 제한 (3) 거주지역/ 해외여행 보험가입 제한 o 각(各)보험사별로 지역적 특성상 사고재해 다발 지역에 대해 보험가입을 제한하고 있음 - 강원, 충청 일부지역 상해보험 가입불가 - 전북, 태백 일부지역 입원급여금 1일(日)2만원이내 o 해외여행을 포함한 해외체류에 대해서는 일정한 가입 요건을 정하여 운영중(中)이며, 가입한도 설정 보험가입을 제한하거나 재해집중보장 상품에 대해 거절함 - 러시아의 경우 단기체류는 위험1급 및 상해보험 가입 불가, 장기 체류는 거절처리함 2. 신체적위험도(身體的危險度)에 따른 인수차별화(引受差別化) (1) 표준미달체 인수방법 o 체증성, 항상성 위험에 대한 초과위험지수를 보험금삭감법으로 전환 사망보험에 적용(최대 5년(年))하여 5년(年)이후 보험 Risk노출 심각 o 보험료 할증은 일부 회사에서 주(主)보험 중심으로 사용중(中)이며, 총위험지수 300(8단계)까지 인수 - 주(主)보험 할증시 특약은 가입 불가하며, 암 기왕력자는 대부분 거절 o 신체부위 39가지, 질병 5가지에 대해 부담보 적용(입원, 수술 등(等)생존급부에 부담보) (2) 비(非)흡연/ 우량체 보험료 할인 o 1999년(年)최초 도입 이래 $3{\sim}4$개의 위험요소로 1개 Class 운영중(中)임 S생보사의 경우 비(非)흡연우량체, 비(非)흡연표준체의 2개 Class 운영 o 보험료 할인율은 회사, 상품에 따라 상이하며 최대 22%(영업보험료기준)임. 흡연여부는 뇨스틱을 활용 코티닌테스트를 실시함 o 우량체 판매는 신계약의 $2{\sim}15%$수준(회사의 정책에 따라 상이) Ⅳ. 언더라이팅 기법(技法) 선진화(先進化) 방안(方案) 1. 직업위험도별 보험료 차등 적용 o 생 손보 직업위험등급 일원화와 연계하여 3개등급으로 위험지수개편, 비위험직 기준으로 보험요율 차별적용 2. 위험취미에 대한 부담보 적용 o 해당취미를 원인으로 보험사고(사망포함) 발생시 부담보 제도 도입 3. 표준미달체 인수기법 선진화를 통한 인수범위 대폭 확대 o 보험료 할증법 적용 확대를 통한 Risk 헷지로 총위험지수 $300{\rightarrow}500$으로 확대(거절건 최소화) 4. 보험료 할증법 보험금 삭감 병행 적용 o 삭감기간을 적용한 보험료 할증방식 개발, 고객에게 선택권 제공 5. 기한부 보험료할증 부가 o 위암, 갑상선암 등(等)특정암의 성향에 따라 위험도가 높은 가입초기에 평준할증보험료를 적용하여 인수 6. 보험료 할증법 부가특약 확대 적용, 부담보 병행 사용 o 정기특약 등(等)사망관련 특약에 할증법 확대, 생존급부 특약은 부담보 7. 표준체 고객 세분화 확대 o 콜레스테롤, HDL 등(等)위험평가요소 확대를 통한 Class 세분화 Ⅴ. 기대효과(期待效果) 1. 고(高)위험직종사자, 위험취미자, 표준미달체에 대한 보험가입 문호개방 2. 보험계약자간 형평성 제고 및 다양한 고객의 보장니드에 부응 3. 상품판매 확대 및 Risk헷지를 통한 수입보험료 증대 및 사차익 개선 4. 본격적인 가격경쟁에 대비한 보험사 체질 개선 5. 회사 이미지 제고 및 진단 거부감 해소, 포트폴리오 약화 방지 Ⅵ. 결론(結論) o 종래의 소극적이고 일률적인 인수기법에서 탈피하여 피보험자를 다양한 측면에서 위험평가하여 적정 보험료 부가와 합리적 가입조건을 제시하는 적절한 위험평가 수단을 도입하고, o 언더라이팅 인수기법의 선진화와 함께 언더라이팅 인력의 전문화, 정보입수 및 시스템 인프라의 구축 등이 병행함으로써, o 보험사의 사차손익 관리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보험시장 개방 및 급변하는 보험환경에 대비한 한국 생보언더라이팅 경쟁력 강화 및 언더라이터의 글로벌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