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몸통근육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플렉시-바 운동이 과체중 및 비만 여대생의 신체조성과 몸통근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lexi-bar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trunk muscle strength in overweight and obesity female college students)

  • 엄기매;왕중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543-655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렉시-바 운동이 과체중 및 비만 여대생의 신체조성과 몸통근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과체중 및 비만인 여대생으로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나누어 실험군에 플렉시-바 운동을 5주간 주3회 일일 30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운동 전 후와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신체조성과 몸통근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실험군의 체지방량, 체지방률, 신체근육량, 양쪽 팔 근육량, 몸통근육량, 기초대사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5). 몸통근력의 변화에서도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몸통근력이 증가되었다(p<.01). 본 연구를 통해 플렉시-바 운동이 과체중 및 비만여대생의 신체조성과 몸통근력 개선에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몸통 안정화 방법에 따른 몸통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Trunk Stabilization Maneuver on Surfac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runk Muscle)

  • 김현희;정신호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9-196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of deep and superficial trunk muscles during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and without stabilization maneuvers. Methods: The relative muscle activity ratios and local muscle activities of 25 healthy males were measured using the 8 channel surface EMG system (Myosystem 1400A, Noraxon Inc., U.S.A). The surface EMG activities were tested during performing abdominal hollowing maneuver (AHM), abdominal bracing maneuver (ABM) and no stabilization maneuver (NSM) in random order. Data were analyzed using $1{\times}3$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During bridging exercises, the EMG activity ratio of transverse abdominis/internal oblique abdominis relative to rectus abdominis was significantly lower in NSM than in AHM and ABM. During bridging and kneeling exercises, the EMG activity ratio of multifidus relative to erector spina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HM than in NSM. Conclusion: The AHM can be clinically used by the physical therapist to activate selectively the trunk muscles when designing selective training programs for patients.

요통환자의 체간근 활성도 및 통증과 Bodyblade 훈련의 융합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dyblade Training of Convergency Relation of Trunk Muscles Activity and Pai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박치복;정은호;이호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23-13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요통 환자의 근육 활성도 및 몸통 통증 에 대한 bodyblade 훈련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30 명의 피험자 샘플을 모집하여 실시하였다. Bodyblade 훈련 그룹 (n = 10)은 6주 동안 주 3 회 bodyblade 훈련을 실시하였고, 요추 안정화 훈련 그룹 (n = 10)은 6 주 동안 주 3 회 요추 안정화 훈련을 실시하였다. 대조군 그룹 (n = 10)은 다른 어떤 훈련도 실시하지 않았다. 몸통 근육 활성도의 평가를 위해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였고 통증 평가를 위해 VAS를 측정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몸통 근육의 활성도와 통증변화에 있어 측정 시점과 상호작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bodyblade 훈련은 만성요통환자의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 될 수 있을 거라 기대된다.

융합형 초음파 영상을 통한 세 가지 교각운동에 따른 몸통근육의 두께 비교 (Comparison of Trunk Muscles Thickness in Three Different Bridge Exercises by Ultrasound Fusion Imaging)

  • 강지현;심재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23-130
    • /
    • 2015
  • 본 연구는 융합형 초음파 영상(ultrasound fusion imaging)을 이용하여 세 가지 교각운동(bridge exercise) 방법에 따른 몸통근육의 두께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건강한 성인 남녀 32명을 대상으로 교각 운동을 실시하는 동안 배속빗근(internal oblique), 배바깥빗근(external oblique), 배가로근(transverse abdominis) 그리고 뭇갈래근(multifidus)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교각운동 방법에 따라 배속빗근, 배가로근, 뭇갈래근에서 유의한 두께변화를 보였다. 배가로근과 뭇갈래근은 exercise C(sling)에서 두께가 가장 증가하였고, exercise B(gym ball)와 exercise A(fixed support surface) 순으로 증가하였다. 배속빗근은 치료용 볼을 이용한 교각운동 시 두께가 가장 증가하였고, 슬링과 고정된 지지면 순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슬링에서의 교각운동이 몸통 근육 두께증가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최근까지, 몸통근육을 활성화 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슬링에서의 교각운동이 많이 제안 되었지만, 융합형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찰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임상에서 다양한 교각운동의 처방과 적용 시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백팩 착용 유무 및 형태에 따른 건강한 성인의 몸통과 하지의 근 활성도 비교분석의 융합연구 (Convergence of Comparison of Muscle Activities of Healthy Adults' trunk and Lower Extremities according to wearing/not-wearing and forms of backpack)

  • 김경훈;장상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25-23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백팩 착용 유무 및 형태에 따른 몸통 하지 근 활성도 변인들의 차이점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6명의 건강한 성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백팩의 무게 10%로 부하된 상태에서, 백팩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 일반적인 백팩을 착용한 상태, 모멘트 팔을 감소시키도록 고안된 백팩을 착용한 상태에서 몸통과 하지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배빗근육, 넙다리네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의 근 활성도 분석을 위해 무선근전도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모멘트 팔을 감소시키도록 고안된 백팩을 착용한 상태에서 배빗근육, 넙다리네갈래근 그리고 장딴지근의 보행 구간에서 RVC에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백팩을 주로 사용하는 성인들에게 가방끈 조절을 적용하는 방법은 몸통과 다리근육의 활성에 긍정적인 측면을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추후 가방의 디자인과 착용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가방융합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다리 움직임을 동반한 복부 드로우-인 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배가로근 두께와 몸통 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bdominal Draw-in Maneuver with Leg Movements on Transversus Abdominis Thickness and Trunk Control in Stroke Patients)

  • 강정일;문영준;정대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87-294
    • /
    • 2020
  • 다리 움직임이 몸통 주위 근육에 효과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근거를 바탕으로 다리 움직임을 동반한 복부 드로우-인 방법이 뇌졸중 환자들의 배가로근 두께와 몸통 조절 능력에 변화를 알아보고, 효율적인 복부 드로우-인 기법에 있어서 임상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18명을 표본 추출하여, 기존의 복부 드로우-인 기법을 적용한 집단을 실험군I(n=9)로, 다리 움직임을 동반한 복부 드로우-인 기법을 적용한 집단은 실험군II(n=9)로 무작위 배치한 후 사전 검사로 초음파를 활용하여 마비측 배가로근의 두께를 측정하였고, 몸통 조절 능력은 몸통 손상 정도 평가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4주 간, 주 4일, 1일 1회, 30분씩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사후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재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내 배가로근 두께 변화 비교에서는 두 집단 모두 복부 드로우-인 동작 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몸통 조절 능력에서도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그러나 두 집단 간 배가로근 두께와 몸통 조절 능력 변화 비교에서는 몸통 조절 능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따라서 집단 간 배가로근의 두께는 차이가 없었지만, 다리의 움직임을 통해 자동 반사적인 골반 움직임이 나타나 복부 주위의 근육들에게도 효율적인 수축 반응이 나타나 더 효과적으로 몸통 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네발기기자세에서 어깨관절과 엉덩관절의 각도 변화에 따른 근 두께 변화 (The change of muscle thickness in accordance with angle of shoulder joint and hip joint at the Quadrupedal position)

  • 한종만;김금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34-939
    • /
    • 2014
  • 본 논문은 네발기기 자세에서 사지의 각도 변화에 따른 몸통 근육들의 두께를 알아보고 근육활성의 차이를 비교하여 네발기기에서 행하는 척추 안정화를 위한 효과적인 자세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건강한 대학생 29명으로 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배가로근과 배속빗근,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을 측정하였다. 근육의 두께측정 및 디지털 영상분석을 위한 초음파 영상 수집은 초음파 영상장치(Mylav25gold, Esaote, Italy)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왼쪽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 배가로근 간 두께 변화와 오른쪽 배가로근의 두께 변화에 각도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근육활성의 정도와 몸통 근육들을 활성화하기 위해 네발기기자세에서의 운동이 각도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인다는 것을 나타낸다.

교근에서 발생한 근육내 혈관종 2예 (Intramuscular Cavernous Hemangioma of the Masseter Muscle in Child and Adolescent)

  • 이재운;조완석;김승범;이동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30
    • /
    • 2015
  • 근육내 혈관종은 주로 몸통과 사지에 발생하며, 두경부 영역에서의 발생은 드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자들은 교근에서 발생한 2예의 근육내 혈관종을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임상의사들은 특별한 원인 없이 진행되는 이하선 부위의 종창을 주소로 내원하였을 때, 교근에서 발생한 근육내 혈관종의 가능성도 염두 해두어야 한다.

  • PDF

배드민턴 스트로크 동작에 따른 근활성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Badminton Stroke Movements)

  • 김휘태;김기홍;김병관;정환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519-524
    • /
    • 2023
  • 이 연구는 경기상황과 유사한 점프 동작이 포함된 배드민턴 기술 동작 시 근육의 활성도의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효율적인 기술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남자 배드민턴 선수 7명을 대상으로 하여 스매시, 드롭, 클리어 기술을 무선배정으로 실시하였으며, 3가지 기술 동작 시행 중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근전도는 RMS로 산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매싱 동작의 근활성도는 부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드롭 동작에서 상지 근육 중 PM의 활성도는 BC, ECR보다 낮았으며, FCR의 활성도는 EC보다 낮았다. ECR의 활성도는 PM, FCR보다 높았다. 몸통 근육 중 ES의 활성도는 RF, GM보다 낮았다. 하지 근육 중 RF의 활성도는 ES, BF보다 높았다. 클리어 동작에서 상지 근육 중 TC의 활성도는 FCR보다 높았다. 몸통 근육 중 ES의 활성도는 BF보다 낮았다. 하지 근육 중 RF의 활성도는 BF보다 높았으며, BF의 활성도는 RF, GM보다 낮았다. GM의 활성도는 BF보다 높았다. 배드민턴 기술에 따른 근활성도는 FCR에서 스매시와 드롭 동작이 클리어 동작보다 높았으며, RA에서 클리어가 스매시, 드롭 동작보다 높았다. 종합하면, 배드민턴 경기 중 근육활동은 기술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노쪽손목굽힘근은 스매시와 드롭, 배곧은근은 클리어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