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목욕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3초

중환자실에서 클로르헥시딘 목욕이 다제내성균 획득과 의료관련감염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aily Chlorhexidine Bathing on the Acquisition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and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in an Intensive Care Unit)

  • 이주연;정재심;김민영;박실화;황영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38-46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daily 2% chlorhexidine gluconate (CHG) bathing on the acquisition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MDRO) and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Methods: The study was a randomized controlled group posttest only design, involving 91 patients in MICU at a tertiary hospital (47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4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2% CHG bathing was performed daily according to bathing protocol to the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raditional bath was performed every three days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Fisher's exact test and x2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MDRO were found in 6 pati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 15 patients of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16). HAI occurred in 2 pati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 7 patients of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84).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daily bathing with CHG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incidence of MDRO acquisi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daily bathing with CHG will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the incidence of MDRO acquisition.

노인이 경험한 항목별 일상생활수행능력(ADLs)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Subjective Health Status by degrees Conduct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 황성호;황지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68-273
    • /
    • 2019
  •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만 65세 이상의 건강한 재택 노인을 대상으로 항목별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즉 건강불안감의 정도를 알아보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에게 일상생활수행능력(ADLs)에 따른 1-5점까지 주관적 건강상태(건강불안감)를 설문하고, 항목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정도에 따라 4개의 집단(매우 어려움, 어려움, 쉬움, 매우 쉬움)으로 나누어 Jonckheere-Terpstra검정과 선형회귀선을 활용하여 순위추세를 비교하였다. Jonckheere-Terpstra검정에서 "화장실 이용하기", "목욕하기", "물건 사러가기" 항목에 어려움을 호소할수록 주관적 건강상태의 불안감이 상응하는 순위차이를 보였고, 선형회귀선 상에서 "화장실 이용하기"의 기울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재택 거주 노인의 경우 "화장실 이용하기", "목욕하기", "물건 사러가기"가 어려울수록 건강불안의 증가 즉,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빠지므로 이에 적절한 다각적인 사회복서비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2% 클로르헥시딘 침상목욕이 중환자실의 의료관련감염과 다제내성균 감염 발생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 of 2% Chlorhexidine Bathing on the Incidence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 and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in Adult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서지수;송라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14-429
    • /
    • 2021
  • Purpose: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nalyzed the effects of 2% chlorhexidine bathing on the incidence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 (HAI) and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MDRO)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PubMed, CINAHL, Cochrane library, and RISS database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and 12 randomized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3.0 was us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using the odds ratio (OR) and a 95% confidence interval (CI).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c infection and intervention types. Results: In general, 2% chlorhexidine bath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idence of HAI (OR, 0.59; 95% CI, 0.40~0.86) and MDRO (OR, 0.52; 95% CI, 0.34~0.79). Subgroup analyses show 2% chlorhexidine bathing is effective in bloodstream infections (OR, 0.51; 95% CI, 0.39~0.66) but not for urinary tract infections,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fections, and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s. Moreover, 2% chlorhexidine bathing alone or its combination with other intervention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idence of HAI and MDRO (OR, 0.59; 95% CI, 0.38~0.92). Conclusion: This meta-analysis reveals that 2% chlorhexidine bathing significantly reduces the incidence of HAI and MDRO in intensive care units. The effect of 2% chlorhexidine bathing on pediatric patients or patients at general wards should be further assessed as a cost-effective intervention for infection control.

존 버닝햄 그림책 『셜리야, 물가에 가지 마!』, 『셜리야, 목욕은 이제 그만!』 의 상상적 함의: Bakhtin의 카니발 개념을 이용한 해석 (Imaginative Implication of John Burningham Picturebooks 『Come Away from The Water, Shirley』 and 『Time to Get Out of The Bath, Shirley』 : An Interpretation using Bakhtin's Conception of Carnival)

  • 정유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551-55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존 버닝햄의 그림책 2권(『셜리야, 물가에 가지 마!』, 『셜리야, 목욕은 이제 그만!』)을 Bakhtin의 대화주의 이론 중 카니발의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존 버닝햄의 그림책에서는 주인공 '셜리'의 일탈에 대한 무의식적인 소망이 기상천외한 상상세계에서의 모험으로 전환되어 웃음이 곁들여진 축제와 같은 사건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림책을 통해서 유아들은 현실에서 금지된 행동을 상상세계에서의 사건으로 전환 시켜 간접적으로 체험하면서 만족한다. 이러한 간접 경험은 유아가 현실에서의 불만을 자연스럽게 해소하면서 자기만의 독창적인 내적 발달을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가정이나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에게 다양한 그림책을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그들의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도 또한 시사하고 있다.

수건 접는 로봇의 효율적 설계 및 개발 (The Efficient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Towel Folding Robot)

  • 정웅열;김지훈;이준원;조기훈;박해철;이영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93-195
    • /
    • 2017
  • 목욕탕, 호텔과 같이 다량의 수건이 사용되는 곳은 빠르게 수건을 개기 위해서 수건을 접는 로봇을 사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수건을 접는 로봇은 사람이 수건을 일일이 일정한 형태대로 정렬을 해주어야 하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건 접는 로봇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으며, 임의로 투입된 수건을 자동으로 정렬하는 로봇을 개발하였다. 특히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수직운동과 컨베이어 벨트의 수평운동을 이용한 수건 접기 방식을 통해 로봇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영상처리 과정을 통해 수건의 각 꼭짓점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트래킹 하여 모든 수건 접기 과정을 자동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강체가 아닌 유동성을 가진 수건을 정렬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므로 향후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 물체들을 정렬하는데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고령자용 목욕의자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분석 (User Analysis for Shower Chair Design)

  • 정광태;송복희;신동진;전경진;원병희;홍재수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3-100
    • /
    • 2010
  • In this study, user survey and som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older adults' characteristics and needs for shower chair design. Firstly, the category and design components of shower chair were analyzed through product analysis. Secondly, older adults' needs for shower chair were identified through user interview and observation. Thirdly, experiment to measure older adults' motion, EMG, and body pressure while using shower chair was carried out and then older adults' characteristics for the use of shower chair were identified. Finally, the direction of design for shower chair was proposed to improve older adults' satisfaction.

가스온수기 일산화탄소 중독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rbon Monoxide Intoxication of Gas Water Heater)

  • 이장우;최충석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24-12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가스온수기 사용 중에 발생하는 배기가스중의 일산화탄소 중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자부주의, 설치불량 및 안전장치의 결함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통해 사고예방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것이다. 가스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목욕탕 또는 환기가 잘되지 아니하는 곳에 설치하지 않으며, 사용자는 창문 등으로 반드시 열어 사용하도록 한다. 열교환기 등의 부식이나 막힘 등에 대한 점검을 누락되지 않도록 하며, 전문 업체에 등록된 자가 시공하도록 한다. 안전 점검시 안전장치의 이상 유무 등을 점검한다. 즉, 가스온수기는 환기가 불량한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내에 체류하는 경우에 일산화탄소중독에 의한 사고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예방대책에서 제시한 부분은 중독 사고를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PDF

위수탁 검사의뢰 국산 및 수입화장품의 비교고찰 (A Comparison Review of Domestic and Imported Cosmetics on Quality Test in Korea Market)

  • 황영숙;최채만;정삼주;박애숙;김현정;김정헌;정권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31-339
    • /
    • 2014
  • 2010년 1월에서 2012년 12월까지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에 품질검사가 의뢰된 화장품 9,879건에 대해, 국산과 수입화장품에 대한 집계자료를 바탕으로 제조국가별, 연도별, 적용부위별로 검사의뢰 유형을 비교하여 품질 및 안전성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전체 화장품 중 국산은 645건(6.5%), 수입산은 9,234건(93.5%)이며, 제조국가별로는 프랑스 4,342건(44.0%), 독일 1,637건(16.6%), 미국 1,476건(14.9%), 한국 645건(6.5%), 이태리 557건(5.6%), 기타 1,222건(12.4%)이었다. 또한 연도별 위수탁 화장품 검사의뢰건수는 2010년 3,784건, 2011년 3,394건, 2012년 2,701건으로 나타나 일반 화장품은 감소하고 기능성 화장품이나 염모제에 대한 품질 검사가 증가되었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제품 5,470건(55.4%), 색조 1,908건(19.3%), 손발관리 1,026건(10.4%), 두발관리 616건(6.2%), 목욕용이 361건(3.7%), 기타 498건(5.0%)이며 국산화장품의 유형별 분포는 기초 > 두발관리 > 색조 > 손발관리 > 목욕용 순이나 수입화장품에서는 기초 > 색조 > 손발관리 > 두발관리 > 목욕용 제품의 순서로 나타났다. 국제적 품질관리기준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국내 소비자들의 경향부터 직간접적으로 파악하는 일이 필요하다. 위수탁검사의뢰된 국산 및 수입화장품의 제품 유형과 인체 적용 부위별 비율 등을 비교 활용하여 미래지향적인 화장품 안전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 조사 및 원단위 분석 (End-use analysis of household water by metering)

  • 김화수;이두진;김주환;김정현;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69-87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전국 140여개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된 가정용수의 각 용도별 사용량 자료를 바탕으로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을 도출함으로써 상, 하수도시설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원단위를 제시하고, 또한 용도별 사용특성분석, 영향인자 평가 등을 통하여 가정용수의 변동특성을 이해하고 향후 사용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정용수의 총사용량 기준 원단위는 $165.8{\ell}pcd$였으며, 각 용도별 사용량은 세면용수 $15.4{\ell}pcd$(10%), 욕조용수 $24.7{\ell}pcd$(16%), 싱크대용수 $29.7{\ell}pcd$(19%), 세탁기용수 $30.8{\ell}pcd$(20%), 변기용수 $38.5{\ell}pcd$(25%), 기타용수 $13.5{\ell}pcd$(9%)로 나타났다. 가정용수 중에서 변기용수의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베란다, 정원용수 등이 포함된 기타용수의 경우 사용빈도가 일정하지 않고 사용량의 편차도 심하여 변동계수와 표준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을 미국, 영국 가정과 비교한 결과, 기타용수와 실외용수를 제외하고는 미국의 실내용수 사용량과 비율이 우리나라와 매우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가정에서 물사용에 기초한 생활양식이 미국과 유사하게 변화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 결과이다. 또한 1985년에 서울에서 조사된 용도별 사용량과 금번결과를 비교한 결과, 목욕, 변기, 세탁, 취사용수의 총량은 $23{\ell}$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세면과 욕조용수를 합산한 목욕용수가 $27{\ell}$에서 $40{\ell}$로 크게 늘어났고, 세탁용수도 $17{\ell}$나 늘어났다. 생활양식이 서구화되면서 가정에서의 목욕, 사워문화가 점차 확산되고 대용량 세탁기의 보급이 늘어난 것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 원단위 분석 (End-use Analysis of Household Water by Metering)

  • 김화수;이두진;김주환;정관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B호
    • /
    • pp.595-60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전국 140여개 가구를 대상으로 실측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을 도출함으로써 상 하수도시설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원단위를 제시하고, 용도별 사용특성분석, 영향인자 평가 등을 통하여 가정용수의 변동특성을 이해하고 향후 사용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전국 140가구를 대상으로 약 3여년간 실측한 결과, 가정용수의 총사용량은 165.8 lpcd였으며, 각 용도별 사용량은 세면용수 15.4 lpcd(10%), 욕조용수 24.7 lpcd(16%), 싱크대용수 29.7 lpcd(19%), 세탁기용수 30.8 lpcd(20%), 변기용수 38.5 lpcd(25%), 기타용수 13.5 lpcd(9%)순으로 나타났다. 가정용수 중에서 변기용수의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베란다, 정원용수 등이 포함된 기타용수의 경우 사용빈도가 일정하지 않고 사용량의 편차도 심하여 변동계수와 표준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가정용수의 용도별 사용량을 미국, 영국 가정과 비교한 결과, 기타용수와 실외용수를 제외하고는 미국의 실내용수 사용량과 비율이 우리나라와 매우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가정에서 물사용에 기초한 생활양식이 미국과 유사하게 변화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 결과이다. 또한 1985년에 서울에서 조사된 용도별 사용량과 금번결과를 비교한 결과, 목욕, 변기, 세탁, 취사용수의 총량은 23 l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세면과 욕조용수를 합산한 목욕용수가 27 l에서 40 l로 크게 늘어났고, 세탁용수도 17 l나 늘어났다. 생활양식이 서구화되면서 가정에서의 목욕, 사워문화가 점차 확산되고 대용량 세탁기의 보급이 늘어난 것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