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목욕/샤워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signing a Universally Accessible Shower Booth to Enhance Bathing Safety for Elderly and Patients with Mobility Impairments (노인 및 거동 불편 환자들의 안전한 목욕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샤워 부스 개발)

  • Jung-Hyun Kim;Jin-Hyun Kim;Jun-Ho Pyo;Jae-H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984-985
    • /
    • 2023
  • 노인 및 거동 불편 환자들이 목욕 중 낙상 사고 등을 당하는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 65세 이상 1인 가구 197만 가구는(22년 기준) 가족의 돌봄 없이 혼자 생활하고 있어, 이들이 목욕 중에 사고를 당하는 경우, 빠른 구호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독거노인의 증가와 낙상 사고의 위험성에 초점을 맞추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라도 혼자서 목욕이 가능한, 모든 사용자로부터 접근성을 높인 샤워 부스를 개발 및 연구한다. 요양보호사 두 명과 인터뷰를 하여 실제 상황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안전을 1순위로 고려하고, 사용 편의성 및 청결을 유지하는 방안을 고려한다.

Duck's Science - 오리사육시 복지 개선을 위한 샤워시설 및 트러프 설치의 효과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81
    • /
    • pp.54-60
    • /
    • 2010
  • 2006년 기준으로 1천8백만 수수의 육용오리가 사육되고 있는 영국에서는 오리 사육시 복지적인 측면에서의 생산 시스템에 대하여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다. 자연에서 물과 오리의 상관관계에도 불구하고, 오리가 몸을 담그거나 헤엄칠 수 있는 등 활동에 필요한 물을 제공해야한다는 어떠한 법적 규제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어떤 경우에는 오리들이 머리를 물에 담글 수 있게 트러프(홈통형 물통)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니플 급수기를 통해서만 물에 접근할 수 있기도 하다. 유럽평의회는 오리들이 머리를 담그고 깃털을 적실 수 있는 형태로 물을 제공할 것을 권장한다. 우리는 이번 연구에서 오리의 복지가 자연 및 물의 접근 허용 점위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오리의 몸과 깃털 상태를 기록하는 한편, 물 제공에 따른 복지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3자기 행동 평가를 하였다. 오리들은 욕조(작은 연못), 트러프, 샤워시설, 니플급수기, 5주령까지 니플 급수기만 제공하고 이후 욕조를 이용하는 등의 5가지 방법으로 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는 1)한 시설에서 오리가 보내는 시간, 2)욕조가 주어졌을 때 오리들의 보상행동, 3) 오리들이 가장 선호하는 시설을 기록하여 오리의 행동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오리들이 머리를 담그고 깃털을 정리할 수 있는 물을 제공하지 않으면 오리들이 코나 깃털을 깨끗이 유지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중요한 것은 욕조, 트러프, 샤워기를 통해 물을 제공해 주었을 때 물에서 목욕(bathing)을 하며 보낸 시간은 모두 동일하였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니플 급수기에서 목욕행동(bathing movement)을 한 시간은 아주 짧았으며, 니플 급수기 만으로 사육되었던 오리군의 욕조시설을 제공하였을 때는 '보상 반등행동'을 보였다. 트러프나 샤워시설이 제공되었던 그룹에서는 보상행동을 보이지 않아 이러한 시설들이 욕조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오리들에게 선택권이 주어졌을 때 오리들은 욕조에서 헤엄을 치고, 샤워시설에서 물을 마시고 장난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시설들이 제공되었을 때 오리들은 니플 급수기에서 거의 시간을 보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육용 오리의 사육 환경의 복지 개선을 위해 트러프나 샤워 시설로 실제 욕조(작은 연못) 만큼 긍정적인 효과를 얻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Preferential Bathing/Showering for Different Age Groups and Effects of Partial Immersion Bath on Human Body (연령별 목욕 선호도 및 부분 침수욕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Park K.R.;Jeong W.W.;Rhee K.;Chun K.J.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5.06a
    • /
    • pp.919-922
    • /
    • 2005
  • Generally, we take a bath to obtain a clean body as well as a good health. Human body generates various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by stimulations of therapeutic effect of heat and hydraulic pressures. Accordingly, we can obtain not only relaxations but also effects of hydrotherapy. The survey of bathing/showering behaviors and therapeutic effect of heat reactions present elementary data for development of a bathing/showering system. However, there are few existing data for bathing/showering behaviors and effects. Consequently, surveys were performed to know patterns of bathing and showering, and relations between physiological changes and water temperature were examined by partial bathing on human body in this study.

  • PDF

A Study on Behavior Pattern and Physiological Changes during Bathing and Showering (목욕 및 샤워시 행동패턴 및 생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

  • Jeong W.W.;Rhee K.;Park K.R.;Chun K.J.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5.10a
    • /
    • pp.256-259
    • /
    • 2005
  • Analysis of behavior pattern and thermal response during bathing and showering provides important fundamental data when developing an automatic bathing/showering system. The behavior pattern and physiological changes during bathing/showering were measured und analyzed for the aged male group. We recorded the volunteers showering at front, back, left and right view using four CCTV cameras in order to study the behavior pattern during showering. The photographic data were analyzed by counting the frequencies of body contact and identifying zones where hands could reach. In order to study the thermal response, we measured the blood pressure (B.P), heart rate (H.R), body temperature (B.T.), breathing rate (B.R) for th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and the locations of immersion for the young and old age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ies of body contacts were varied for different body sections. Also there were some body sections where hands could not be reached because of reduced pliability and muscular strength of the aged group. But we observed rather uniform body contact frequencies when a towel was used. In partial immersion bath experiments, we observed the changes of B.P. H.R and B.T in the case of young and old age groups, and the changes were more significant in the young age group.

  • PDF

Design Development of Shower system for Bathroom through Design Support Program based upon Academic-Industrial Collaboration (산학협동 디자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욕실공간 샤워시스템 개발연구)

  • 김국선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3
    • /
    • pp.149-156
    • /
    • 2002
  • Through academic-industrial collaboration program, special knowledge and human resources in the university are utilized in the society and it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rporation to the activation and acceler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and finally to the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of national industry in international level. This study is based upon design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body-shower product for bath room, and expected to be us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material for establishment of order-based education system which conforms to the job site needs that may be analysed from feedback of product results and for practical learning.

  • PDF

An American/Korean Older Consumers' Perceptions of Universally Designed Bathing Fixtures (유니버셜 디자인 된 욕실설비에 대한 미국/한국 노인소비자 견해)

  • Shin, Kyoung-Joo;White, Betty-Jo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1 no.2
    • /
    • pp.149-163
    • /
    • 2000
  • 노인소비자들은 나이와 함께 기능적인 능력이 감퇴하면서 주택내의 환경이 그들의 한계와 장애를 보완해 줄 수 있게 좀 더 지원적이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노인그룹을 포함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독립적이고, 안전하며, 편리한 생활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유니버셜 디자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으로 개발 된 혁신적인 욕실용품들, 즉 높이가 조절되어 앉거나 서서 사용하는 장점 등을 갖춘 세면대와 높이조절이 되는 이동식 샤워기가 장착된 걸어서 들어가며, 접이식 의자가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 욕조에 대한 소비자 의견의 검토이다. 피험자는 미국에 사는 미국노인과 한국노인(50세이상-79세까지)으로 합계 58명이었다. 실험장소는 미국서부소도시 대학의 유니버셜 디자인 연구실로, 이 대학의 협력으로 이곳에 장착된 신개발 설비를 이용하였다. 실험시기는 1997년 5월부터 11월 사이(봄, 가을)로 소비자 의견조사는 3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1단계 설문조사에서는 피험자 거주주택의 욕실환경, 피험자의 목욕방법, 건강과 안전, 새로운 욕실설비에 대한 소비자 의견 등이 조사되었다. 2단계는 실제로 선정 된 욕실설비의 사용실험으로 피험자가 옷입은 상태에서 목욕을 가정하여 선택된 설비의 사용동작을 하면서(비디오 촬영) 조사자의 조사표에 의한 질문에 답하였다. 3단게는 2단계의 사용실험 후 유니버셜 디자인 된 욕실설비의 가정 내 도입의사 등의 조사를 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3단계의 소비자 의견조사 및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미국거주 미국노인과 한국노인의 비교에서 한국노인의 평균 신장이 3cm정도 작았고, 2개이상의 욕실을 가진 비율과 학벌, 독신거주비율은 미국노인이 다소 높았고, 욕조 소유율은 한국노인이 높았다. 2) 새로운 욕실 설비에 대한 소비자 의견은 미국과 한국노인 모두 유니버셜 디자인된 새 설비의 장점을 인정하였다. 욕조와 세면조가 매력적이라 평하였고 샤워조작기가 색상구분으로 도운물과 찬물인지가 편하며, 접이식 의자가 유용하며, 문 달린 욕조의 안전 손잡이와 욕조가장자리를 잡고 안전하게 출입한다고 했다. 그러나 욕조길이와 높이에서 두 나라간에 차가 있어 앞으로 치수에 대한 것이 연구과제로 지적되었다. 3) 욕실 설비 개발 시 유니버셜 디자인 용품에 요구되는 목표는 안전하게 쓸 수 있고, 가령에 따른 신체장애요소가 커버되어 스스로 사용가능하고, 사용상 번거로움이 없어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지않는 것이어야 하겠다. 4) 선택된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설비는 표준치수의 현 욕조위치에 장착이 가능하여 앞으로 현 주택에의 교체가 가능하였다. 5) 선택된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설비는 인체치수와 문화가 다른 두 나라 노인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앞으로의 국제적 보급이 기대되었다.

  • PDF

Preference of Stroke Patients for Bathroom Environment in Residential Space (뇌졸중 환자가 선호하는 주거공간의 욕실 환경 특성)

  • Lee, Kyoung-Min;Kim, Yu-Seon;Yoon, Su-Jeong;Hong, Ki-Hoon;Lee, Chun-Yeop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4 no.2
    • /
    • pp.31-40
    • /
    • 201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bathroom environment for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7 who have experience in rehabilitation therapy at hospitals in Busan.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February 24th to March 13th, 2014. Results : First, the subjects demand for improvement that non-slip tile and safety handle on bathtub. Second, they preferred the sliding door, sliding door handle, shower booth of convenient facility, non-slip tile, built-in cabinet, L-shaped safety handle, natural ventilating window, floor heating, easier bathtub to enter, bathtub with handle, tilted sink, water temperature index, toilet with safety handle, and bath chair. Conclusion :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bathroom environment for safety and ease in u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