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청소년 자녀간 갈등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olescent'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 노윤옥;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6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녀가 부부갈등에 대해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그것이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중학교 남, 여 학생 480명을 대상으로 자녀가 지각한 부부 갈등 척도(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척도(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일원변량 분석, Duncan검증 Pearson 상관계수 둥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지각하는 부부갈등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은 수준으로 대처효율성은 다른 차원에 비해 높게 지각하고 내용은 낮게 지각하였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부갈등을 높게 지각하였고, 부모의 학력이 낮고, 생활수준이 중하류 이하일 경우 부부갈등을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은 전반적으로 개방형 의사소통이 많이 이루어졌고 어머니와 더 개방적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는 첫째와 가장 개방형 의사소통이 많이 이루어졌고 중간 서열의 자녀와는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부의 연령이 적을수록, 자녀가 생활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부모와 개방형 의사소통이 이루어졌고 모연령이 적을수록, 부직업이 전문직일수록, 핵가족일수록 아버지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확대가족일수록 아버지와 문제형 의사소통이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자녀가 부부갈등을 낮게 인식할수록 부모와 개방형 의사소통이 많이 이루어졌고, 부부갈등을 높게 인식할수록 부모와 문제형 의사소통이 많이 이루어졌다. 부부갈등의 하위요인에서는 어머니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모든 영역에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아버지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에서는 '내용'과 '지기비난' 영역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부모와의 문제형 의사소통은 모든 영역에서 상관관계를 가지는데 특히 '빈도'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모-자녀간 갈등과 남녀 청소년의 개체화간의 관계 (Maternal Parenting, Mother-adolescent Conflict, and Individuation of Adolescents)

  • 황영은;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3-154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mother-adolescent conflict, and adolescent individuation with a sample of 271 high school students (156 boys and 115 girls) living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Maternal monitoring, reasoning and affect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connectedness and separateness, two subscales of adolescent individuation, and maternal over-expectation, intrusiveness, physical abuse and neglect were negatively related to connectedness and separateness. Mother-adolescent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connectedness and separateness. Maternal monitoring, reasoning and affection were negatively related to mother-adolescent conflict, and maternal over-expectation, intrusiveness, and physical abuse and neglect were positively related to mother-adolescent conflict. Mother-adolescent conflict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adolescent individuation.

  • PDF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모-자녀간 갈등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Maternal Parenting, Mother-Adolescent Conflict, and Adolescent Self-Esteem)

  • 윤지은;최미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5호
    • /
    • pp.237-251
    • /
    • 2004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mother-adolescent conflict, and middle adolescents' self-esteem with a sample of 271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in 2nd year at high school in Seoul, and their mothers. Data was analysed using correlations and regression analyses. Maternal affection, monitoring and reasoning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and maternal physical abuse and neglect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adolescent self-esteem. Maternal over-expectation and intrusiveness were not related with adolescent self-esteem in boys, but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adolescent self-esteem in girls. In both adolescents' and mothers' report, mother-adolescent conflict was related negatively with adolescent self-esteem. In mothers' report, mother-adolescent conflict was not related with adolescent self-esteem in boys, bu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adolescent self-esteem in girls. In adolescents' report, maternal affection, monitoring and reasoning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mother-adolescent conflict, which maternal over-expectation, intrusiveness, neglect, and physical abuse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mother-adolescent conflict. In mothers' report, maternal affection, monitoring and reasoning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mother-adolescent conflict. Mediating roles of mother-adolescent conflict in relation of maternal parenting and adolescent self-esteem were examined. In adolescents' report, mother-adolescent conflict perceived by male adolescents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maternal monitoring, reasoning and physical abuse, representatively, and adolescent self-esteem. And mother-adolescent conflict perceived by female adolescents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maternal parenting with the expectation of maternal affection and adolescent self-esteem. In mothers' report, mother-adolescent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only played mediating role between maternal monitoring and adolescent self-esteem. So, mediating roles of mother-adolescent conflict were more emphasized in the adolescents' report than in the mothers' report. Therefore, the fact that maternal parenting except affection affects the adolescent self-esteem indirectly through mother-adolescent conflict can be found. Implying that maternal affection is crucial in implying positive self-esteem of adolescents.

청소년 자녀와 부모간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과 실제 상황적 수행평가 개발 및 적용 - 부모자녀의 실제대화 UCC동영상을 활용한 대화분석을 토대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and Practical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to Promote Communication Between Teenagers Children and Their Parents: focusing on conversation analysis of real conversation in UCC video projects)

  • 유혜정;조병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39-160
    • /
    • 2011
  •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와 부모가 함께 한 실제 상황의 의사소통 훈련이 실생활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화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이들의 대화구조와 과정을 밝히고 의사소통 문제점과 이를 개선한 사례를 제시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 '가족의 의사소통' 단원에 적용할 수 있는 4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 및 UCC제작을 활용한 실제 상황적 수행평가를 개발하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실제 가정생활에서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훈련을 수행과제로 제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수업 중 학습활동을 통한 훈련만 제시하며, 수업 및 사전, 사후 수행과제를 동일하게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1학년으로 실험집단은 4학급 149명, 비교집단은 4학급 147명의 총 8학급 296명과 그의 부모이다. 실생활에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능력과 관계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과 사후의 설문지와 부모자녀간 실제대화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연구 결과에서 부모님과 함께 의사소통 훈련을 실천하여 실제 상황적 수행평가를 수행한 실험집단이 학습상황에서 훈련한 비교집단보다 부/모에 대한 대화시간이 늘었고, 기능적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관계 만족도가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대화분석한 결과, 부모자녀의 의사소통 걸림돌 사용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줄고, 긍정적 요소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증가하여 실험집단의 의사소통 개선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히, 무패법(갈등해결법)을 통한 의사소통 문제 해결 사례는 실험집단이 70%, 비교집단이 43.3%로 갈등 해소에도 효과적이었다. 셋째, 두 집단 모두 부모가 자녀보다 약 3배 이상 많은 의사소통 걸림돌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부모는 훈계, 강의, 비난, 빈정대기, 명령 외에 다양했고, 자녀는 논쟁과 회피, 비난, 강요(떼쓰기) 순서로 나타났다. 대화과정에서의 의사소통 문제점은 자녀의 회피적, 반항적 말투가 부모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더욱 부추겨서 자녀 대 부모의 반응으로 회피 대 훈계 명령 캐묻기, 논쟁 대 비난 논쟁, 강요 대 명령, 비난 대 비난 빈정대기 등의 경향이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의 평가결과 실제 상황적 수행평가가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실생활에서 실천하도록 돕고 부모자녀의 의사소통 능력 및 관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수업 및 실제상황적 수행평가는 학습자가 자신의 대화 모습을 관찰하여 의사소통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함으로써 원만한 가족관계 형성을 돕는데 공헌하였다. 또한, 청소년 자녀와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부모자녀간 실제대화를 분석하여 대화구조를 심층적으로 밝히고 의사소통 문제점과 개선한 대화사례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