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호표면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Properties of Multi Layers Al-Mg Coated Steel Sheets by Sputtering System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제조된 다층 Al-Mg 코팅강판의 특성)

  • Jeong, Jae-Hun;Yang, Ji-Hun;Kim, Seong-Hwan;Byeon, In-Seop;Jeong, Jae-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09-109
    • /
    • 2016
  • 철을 보호하는 코팅막에 있어서 현재는 우수한 희생방식성을 가지는 아연(Zn)이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코팅막의 두께 증가가 필연적이다. 동일한 두께 혹은 그 이하에서 더 나은 내식성을 가지는 코팅막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알루미늄(Al)과 마그네슘(Mg)을 이용한 코팅막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발표에서는 Al과 Mg의 코팅막을 다층으로 제작하여 이전 실험의 Al-Mg 코팅 강판과 비교 하였을 때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Al-Mg 코팅층은 99.999%의 Al, 99.99%의 Mg target을 사용하여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냉연강판 위에 코팅하였다. 증발물질과 기판과의 거리는 7cm 이며, 기판은 세척을 실시한 후 클리닝 챔버에 장착하고 ${\sim}10^{-5}Torr$ 까지 진공배기를 실시하였다. 클리닝 챔버가 기본 압력까지 배기되면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고 기판홀더에 -800 V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약 30분간 글로우 방전 청정을 실시하였다. 기판의 청정이 끝나면 아르곤 가스를 차단하고 코팅 챔버로 시편을 이송 후 코팅층 성분의 구성형태에 따라 Al과 Mg을 코팅하였다. Al-Mg 코팅층은 $5{\mu}m$의 두께를 기준으로 계면의 코팅층이 각각 Al과 Mg이며 다층으로 구성된 코팅층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후속 공정으로 질소 분위기 $400^{\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를 하였다. Al-Mg 코팅층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표면에서는 Al 또는 Mg의 결정성 구조를 보였으며 단면에서는 다층의 경계를 조금이지만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글로우방전분광기(GDLS)를 통해 열처리 후에는 층의 구분이 모호해 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XRD를 통하여 열처리 후 Al-Mg 합금상의 생성도 확인하였다. 또한 Al-Mg가 다층으로 코팅된 강판을 염수분무시험을 통해서 내부식 특성을 확인하였다. Al-Mg 코팅 강판의 염수분무시험 결과, 모든 제작된 코팅층에서 열처리 전 보다 열처리 후 3배 이상의 내식성의 향상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열처리에 의한 합금상 생성 그리고 Al-Mg 박막의 미세구조 변화가 강판의 내식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다층 제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es on the sea surface wind field data by satellite remote sensing (위성원격탐사를 활용한 해양표면 바람장 자료 분석)

  • Yoon, Hong-J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1
    • /
    • pp.149-157
    • /
    • 2008
  • If we use the microwave of SAR, we can observe ocean in spite of severe weather or night time. The sea surface image of SAR has numerous information about atmospheric phenomena related to surface wind field. The extracted wind information from SAR can be used diversely. In order to extract sea wind speed from SAR image, a generated wind direction from SAR and sigma nought should be input into wind model. Therefore, wind speed can be obtained by input wind direction into CMOD5 Model. Azimuth angle using CMOD5 Model is generated by added $90^{\circ}$ to Look angle which is extracted from SAR data file. A gained wind direction spectrum from SAR image has $180^{\circ}$ ambiguity because of 2D-FFT. This ambiguity should decide to use the location of land, wind direction in field or the result of numerical model. Consequently, wind direction using 2D-FFT is $3^{\circ}{\sim}7^{\circ}$ differences with actual surveying data. Wind speed by CMOD5 model is similar to actual surveying data as below 2m/s.

Mapping and Evaluation of Flood Vulnerable Area by Logistic Approach (Logistic 접근법에 의한 홍수취약지구의 매핑 및 평가)

  • Lee, Jae Yeong;Keum, Ho Jun;Kim, Beom Jin;Kim, Hyun Il;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5-215
    • /
    • 2019
  •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 도시지역 확장으로 인한 불투수지역의 확대, 배수시설의 용량부족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 토양도, 토지이용도 등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우선 강우가 지표면에 도달하게 되면 지표면의 경사, 토양의 특성, 토지이용 등에 영향을 받아 침투되지 못하고 표면에 고이게 되는데 이를 유출생성지도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표면유출수가 지표면의 경사, 지표면의 요철(凹凸), 도로나 철도 등의 인공선형축 등에 영향을 받아 흐르기 쉬우며 이를 유출이동지도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동된 유출수가 고이기 쉬운 저지대, 지표면의 요철 등으로 인해 누적되는 유출누적지도로 표현하였다. 유출생성지도는 이동, 누적지도의 입력자료가 되어 상류의 유출생성의 정도가 하류지역에 영향을 주도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유출이 동지도와 누적지도가 실제 침수흔적도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서울시 침수흔적도와 비교하였다. 기존의 재해 지도를 얻기 위해서는 강우량을 조사하여 수치모형에 입력함으로써 1차원 또는 2차원의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지형 정보만을 가지고 취약지구를 선정하기 때문에 유역전체 또는 시, 도 단위로 광범위한 연구 영역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Spatial MCDM 등을 통해 여러 Raster 자료를 하나의 지표로 나타내기보다 유출수가 생성(또는 이동, 누적)되기 쉬운 지역을 1, 그렇지 않은 지역은 0으로 표현하는 이분법적 분석을 통해 가중치설정과 모호한 경계의 처리 때문에 사용자 및 자료에 따라 취약한 지역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표면 유출수로 인해 침수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을 홍수취약지구로 선정하여 침수재해 중점관리 우선순위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Estimation of sea surface wind using Radarsat-1 SAR (RADARSAT-1 SAR자료를 이용한 해상풍 추정)

  • Yoon, Hong-Joo;Cho, Han-Keun;Kang, Heu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227-230
    • /
    • 2007
  • If we use the microwave of SAR, we can observe on the ocean in spite of bad weather, day and night time. Sea surface images on the ocean of SAR have a lot of information on the atmospheric phenomena related to surface wind vector. Information of wind speed which is extracted from SAR images is used variously. Wind direction data and sigma nought value are put in the CMOD which can extract wind information in order to estimate sea surface wind from SAR images. Wind spectrum which is extracted from SAR always presents opposed two points of $180^{\circ}$ because of applying to 2D-FFT. These ambiguities should be decided by position of land, wind direction or numerical model. Previously, we converted into sigma nought after extracting Digital Number from RadarSat-1 SAR using ENVI4.0, thus, it took a long time because every process was manual. Therefore, we converted sigma nought by matlab code after making matlab code. After that, we are extracting wind direction from sigma nought. Now, to decide wind direction needs further study because wind direction has $180^{\circ}$ ambiguity.

  • PDF

S-wave Velocity Structure Beneath the KS31 Seismic Station in Wonju, Korea Using the Joint Inversion of Receiver Functions and Surface-wave Dispersion Curves and the H-κ Stacking Method (수신함수와 표면파 분산곡선의 복합역산 및 수신함수 H-κ 중첩법을 이용한 원주 KS31 지진관측소 하부의 S파 지각 속도구조)

  • Jeon, Tae-Hyeon;Kim, Ki-Young;Park, Yong-Cheol;Kang, Ik-Bum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5 no.1
    • /
    • pp.8-15
    • /
    • 2012
  • To estimate the S-wave velocity structure beneath the KS31 broad-band station in Wonju, Korea, we used $H-{\kappa}$ stacking and joint inversion of receiver functions and surface-wave dispersion curves derived from 297 teleseismic events (Mw > 5.5) recorded during the period between 2002 and 2009. We thereby determined that the average depth to a nearly flat Moho is $32.4{\pm}0.5\;km$ within tens of kilometer radius of the seismic station. For the crust at this location, we estimate an average shear-wave velocity of 3.69 km/s and a ratio of P- to S-wave velocities, $V_p/V_s$, of $1.72{\pm}0.04$, as is typical for continental crust. A negative phase in the receiver functions at 1 s indicates the presence of a shearwave low velocity layer in a depth interval of 10 to 18 km in the upper crust beneath the KS31 station.

V345 Cas의 주기변화와 광도곡선 분석

  • Jeong, Min-Ji;Kim, Cheon-Hw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42.2-142.2
    • /
    • 2012
  • Hoffmeister(1943)에 의해 변광성으로 발견된 V345 Cas (2MASS J23083986+5406545, ${\alpha}$(2000.0)=23h08m39.86s & ${\delta}(2000.0)=+54^{\circ}06^{\prime}54.6^{\prime\prime}$)는 B 필터에서 13.1~14.2의 광도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별이다. 우리는 레몬산 천문대(LOAO)에서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총 22일간 V345 Cas의 BVRI CCD 측광관측을 수행하여, 처음으로 V345 Cas의 년도 별 전체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우리의 관측 자료와 Super WASP에서 공개한 자료를 이용하여 각각 7개의 극심시각을 산출하였다. 우리가 결정한 극심시각을 포함하여 여러 문헌에서 수집한 총 68개의 극심시각을 이용하여 V345 Cas의 주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V345 Cas의 궤도주기는 포물선 모양의 영년변화와 함께 약 30년의 규칙적인 변화를 겪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규칙적인 변화를 제3천체에 의한 광시간 효과로 가정하여 관측된 극심시각에 잘 맞는 광시간 궤도 해를 산출한 결과, 영년주기가 증가하는 경우와 감소하는 경우에 대해, 각각 29.0년과 39.7년 주기를 갖는 두 개의 광시간 궤도 해가 가능하다. 이러한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앞으로의 극심시각 관측이 중요하다. 2007년과 2008년 BVRI 광도곡선들은 부극심을 기준으로 좌우가 거의 대칭이며, 1년 사이에 특기할 만한 광도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우리는 이 광도곡선들을 Wilson-Devinney 쌍성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V345 Cas의 측광학적 해를 처음으로 산출하였다. 우리가 구한 해에 의하면, 약 88도의 궤도경사각에 두 성분별의 질량비가 약 0.5인 V345 Cas는 질량과 표면 온도가 큰 주성과 로쉬 로브를 채우고 있는 반성으로 구성된 준 분리형 식쌍성계이다.

  • PDF

A Study on Moving Target Defense Issue and Certification Requirements (Moving Target Defense 이슈 및 평가인증 요구사항에 대한 연구)

  • Moon, Seo Yeon;Kim, Jae Woong;Park, Jong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158-161
    • /
    • 2018
  • 2011년 미국에서 최초로 소개된 후 기존 보안 기술과 다른 새로운 정보시스템 보호 기술로 Moving Target Defense(MTD)가 활발히 연구 되고 있다. MTD는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뷸규칙적이고 동적으로 변화시켜 공격표면(Attack surface)을 줄임으로써 외부 공격에 대한 보안성을 높인다. 주로 시스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공격하는 보안 위협들에 효과적이며 특히 지능형 지속 보안 위협(Advanced Persistent Threat), 킬 체인(Kill-Chain) 보안에 뛰어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최근 MTD 시스템 구현 및 개발로 상용화가 시작되었으나 MTD 활용을 통해 어느 정도의 보안성 및 효율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성능 평가인증, 시험지침 등이 표준화 되어있지 않아 기준이 모호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최근 MTD 이슈에 대해 살펴보고 MTD와 연관 되어있는 각 분야에 어떤 평가인증 요구사항들이 있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MTD에 어떠한 평가인증 요구사항이 있는지 도출하여 앞으로 MTD 평가인증 표준화 참고 및 활용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A Study on Dual Structure in a Mirror - Revolve around the Relations between 'A Person Who sees' and 'A Person Who is Seen' - (거울(mirror)의 이중적인 구조에 대한 연구 -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

  • Song, Dae-Sup;Lee, Eun-You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1
    • /
    • pp.429-454
    • /
    • 2015
  • The starting point of this discussion resides in the 'eyes' of mirror in a sense of seeing the self reflected in a mirror. The meaning of mirror has been evolved over the centuries while strengthening its sense of identity by bringing up some questions for resemblance, reproduction, self-reflection and reality. A mirror has also extended its vision and provided with a range of images that the self can't have. In this regard, looking into a mirror has been a sustained focus of attention by creating another ostensible being of self-image. This shows the two sides of mirror, which reveals an ambiguous gap between substance and illusion. An excessive immersion in a reflected image in a mirror is intensified and expressed today. The eyes of mirror consisting of a complex dual structure show relations between a person who sees and a person who is seen, which draws a hazy line of demarc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is opens up the possibility of the world of chiasme, where you could face all the aspects being from the eyes of others. Furthermore, the meaning of the reflection in a mirror has formed a creative discourse as an enigmatic medium that creates a variety of 'eyes' in various forms of aesthetic expression like paintings and literature. I accordingly suggest that the 'eyes of mirror' is the ambiguous 'eyes of human being' reflected in two territories of the world. Therefore, I will presen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erspective on the mirror to take a concrete approach in which it opens up the reflective structure of resemblance through a series of examples projected onto the literary and artistic productions. This study will serve as ruminations on the fact that your life is being existent in 'chiasme' of mutual entanglement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by investigating relations between a person who sees and a person who is seen, in other words, relations between the perceiving subject and the eyes of others reflected in a mirror.

Determination of Mode Dispersion Curves of Surface Wave Using HWAW Method (HWAW(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방법을 이용한 표면파 모드 분산곡선의 결정)

  • Park, Hyung-Choon;Kim, Dong-Soo;Bang, Eun-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2 no.12
    • /
    • pp.15-24
    • /
    • 2006
  • The evaluation of shear modulus is very important in various fields of civil engineering. Non-destructive seismic methods can be used to determine shear wave velocity ($V_s$) profile. Non-destructive seismic methods geneally consist of three steps: field testing, evaluation of dispersion curve, and determination of Vs profile by inversion process. Non-destructive seismic methods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ceivers used for data reduction: two-channel tests and multi-channel tests. Two channel tests use apparent velocity dispersion curve and multi-channel tests use mode dispersion curves. Multi-channel tests using mode dispersion curve can reduce calculation time to determine soil profile and uncertainties in inversion process. So far, only multi-channel tests can determine mode dispersion curves but multi-channel test needs many receivers to determine reasonable mode dispersion curves. In this paper, HWAW (Harmonic Wavelet Analysis of Wave) method is applied to determine mode dispersion curves. HWAW method uses short test setup which consists of two receivers with a spacing of 1 to 3 m.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and field application, it is shown that HWAW can determine resonable mode disperson curves.

Images of Decomposition of Hydrogen Peroxide Demonstration Represented in New Media Contents: Focusing on Simulacra and Simulation (뉴미디어 콘텐츠에서 재현되는 과산화수소 분해 실험의 이미지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을 중심으로-)

  • Shin, Sein;Ha, Minsu;Lee, Jun-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0 no.1
    • /
    • pp.13-28
    • /
    • 2020
  •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of scientific experiments represented and consumed on YouTube, a representative of today's new media.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s the case studies of YouTube's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experiment based on Baudrillard's theory of Simulation and Simulacra, which discusses the strong status of images and the ambiguity of the boundary between virtual and reality. A total of 14 YouTube videos related to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experiments were analyzed. In those videos,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experiments were typically conducted with several signs representing scientific experiments, but the most important sign in the videos were bubbles produced through experiments. For more public consumption of the content, the bubbles resulted from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reproduced in YouTube have been transformed into a more spectacular image as 'super-huge' and 'explosive' bubble.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new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students anytime and anywhere, it is positive that science experiments in new media enhance students' intimacy and access to science.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e danger that the purpose of scientific experiments will be limited to only 'showing specular images', due to the nature of new media, which mainly deals with immediate and superficial images. Furthermore, this study argues that improving students' science media literacy is required to critically examine the science-related images represented in the new media based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new media that deeply affect dail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