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형선 실험자료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자유항주 실험을 통한 세월호 사고 검토

  • Choe, Bo-Ra;Hwang, Su-Jin;Im, Nam-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72-73
    • /
    • 2015
  • 진도 앞바다에서 발생한 세월호의 사고원인 규면의 일환으로 세월호와 같은 모델을 제작하여 자유항주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재 세월호의 정확한 GM은 알 수 없고 추정치만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가장 객관적인 자료로는 세월호의 AIS항적이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사고당시의 세월호와 동일한 AIS 항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조건을 검토하여 자유항주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고 당시 세월호의 AIS 항적과 유사한 자유항주 모형선의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Model identification of spatial autoregressive data analysis (공간 자기회귀모형의 식별)

  • 손건태;백지선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0 no.1
    • /
    • pp.121-136
    • /
    • 1997
  • Spatial data is collected on a regular Cartesian lattice.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model indentification of spatial autoregressive(SAR) models using AIC, BIC, pattern method. The proposed methods are considered as an application of AIC, BIC, 3-patterns for SAR models through three directions; row, column and diagonal directions. Using the Monte Carlo simulation, we test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s for various SAR models.

  • PDF

Analysis of Levee Infiltration in Flood-time (홍수시 제방의 침투 해석에 대한 연구)

  • Lee, Nam-Joo;Yu, Kwon-Kyu;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78-1882
    • /
    • 2010
  • 이 연구는 제방의 침투 수리모형 실험의 자료를 이용해 안전도 평가 지표 선정을 위한 자료 제공하고 향후 수행할 침투 수치모의에 필요한 보정 및 검증 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제방 축조 현장에서 구한 제체재료를 사용하여 실험실에 제방축소모형을 $14.5m{\times}0.6m{\times}1.6 m$의 수조 내부에 제작하였다. 제방 사면의 경사는 1:2, 제방 저면의 길이는 4.60 m, 제방 상부의 길이는 2.40 m, 제체의 높이는 0.55 m로 제작하였다. 모형제방은 제방축조 방법과 유사하게 다짐을 하기위해 흙을 쌓으면서 0.20 m 높이 마다 다짐을 실시하였다. 다짐방법은 고무망치를 이용한 층다짐을 하였다. 들밀도실험에 의한 제방모형의 건조단위중량과 다짐도는 각각 1.71g/cm3, 93%로 측정되었다. 홍수위 증가에 따른 비정상 상태의 침투수위 측정을 수행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은 약 8일 동안 수행하였다. 침윤선의 수두와 위압계별 수두는 상류쪽(제외지 사면)부터 증가하기 시작하며 하류쪽(제내지 사면)로 확장됨을 알 수 있으며, 실험 초기에는 상류쪽의 수두가 급격히 상승하지만, 점차 상승속도가 둔화되는 등의 일반적인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시작 18시간 경과 후부터 제외지 사면 하단부에서 유출이 발생하였으며, 21시간 경과 후부터는 상류부의 수두가 안정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측정된 침투수위의 변화 양상은 향후 수치모형을 이용한 침투해석의 검보정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 PDF

Optimum Detector Location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Microscopic Traffic Simulator for Interrupted Flow (미시 교통류 모형을 이용한 단속류 교통정보 수집용 검지기의 최적 위치 결정)

  • 오기도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226-23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추종 모형을 이용한 미시 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을 통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단속류에서 검지기의 설치 위치에 따른 검지 특성을 알아보고, 교통정보 수집용의 검지기의최적 위치에 대해 평가하였다. 검지기로부터 발생하는 교통량, 점유율, 속도 자료중 링크의 통행시간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은 점유율에 의한 검지기의최적위치는 정지선으로부터 150∼250m이다. 점유율 다음으로 통행시간을 잘 반영하는 자료는 지점속도로서 점유율보다는 상관관계가 낮지만, 양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교통량 자료는 상관관계가 낮으며, 교통량에 의한 위치 선정은 각 모의 실험 결과에서 일관적이지 않아 적절한 설명변수가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모든 경우에서, 정지선이나 링크 최상류에 위치한 검지기로부터의 자료는 통행시간과 독립적이므로 이러한 검지기는 교통정보 수집용을 사용할 수 없으며, 일반적인 검지기의최적 위치는 정상상태의 교통류 뿐만 아니라 대기행렬내에 존재하여 매우 혼잡한 상태를 경험할 수 있는 위치라고 할수 있다.

  • PDF

The Marginal Model for Categorical Data Analysis of $3\times3$ Cross-Trials ($3\times3$ 교차실험을 범주형 자료 분석을 위한 주변확률모형)

  • 안주선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4 no.1
    • /
    • pp.25-37
    • /
    • 2001
  • The marginal model is proposed for the analysis of data which have c(2: 3) categories in the 3 x 3 cross-over trials with three periods and three treatments. This model could be used for the counterpart of the Kenward-Jones' joint probability one and should be the generalization of Balagtas et ai's univariate marginal logits one, which analyze the treatment effects in the 3 x 3 cross-over trials with binary response variables[Kenward and Jones(1991), Balagtas et al(1995)]. The model equations for the marginal probability are constructed by the three types of link functions. The methods would be given for making of the link function matrices and model ones, and the estimation of parameters shall be discussed. The proposed model is applied to the analysis of Kenward and Jones' data.

  • PDF

Enhancement of Physical Modeling System for Underwater Moving Object Detection (이동하는 수중 물체 탐지를 위한 축소모형실험 시스템 개선)

  • Kim, Yesol;Lee, Hyosun;Cho, Sung-Ho;Jung, Hyun-Key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2 no.2
    • /
    • pp.72-79
    • /
    • 2019
  • Underwater object detection method adopting electrical resistivity technique was proposed recently, and the need of advanced data processing algorithm development counteracting various marine environmental conditions wa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mproved water tank experi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results, which can provide efficient test and verification. The main features of the system are as follows: 1) All the processes enabling real time process for not only simultaneous gathering of object images but also the electrical field measurement and visualization are carried out at 5 Hz refresh rates. 2)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for two detection lines are performed in real time to distinguish the moving direction of a target object. 3) Playback and retest functions for the saved data are equipped. 4) Through the monitoring screen, the movement of the target object and the measurement status of two detection lines can be intuitively identified. We confirmed that the enhanced physical modeling system works properly and facilitates efficient experiments.

Detection Power when outliers are present at or near the end of time series

  • Lee, Jong-Seon;An, Mi-Hye;Lee,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81-283
    • /
    • 2003
  • 시계열 모형을 따르는 자료의 예측(Forecasting)이나 공정조정(Process Adjustment)의 경우, 자료의 마지막 부분에 발생한 이상치(Outlier)에 의해 크게 영향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된 이상치 탐지 방법은 주로 자료의 중간 부분에 발생한 이상치를 검출하는데 효율적이라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마지막 부분에 발생한 이상치에 대한 기존 탐지 방법의 검출력을 모의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검출력과 비교하였다.

  • PDF

충주댐 수몰지구의 3차원 영상복원 기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연상호;홍일화;김주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10a
    • /
    • pp.411-416
    • /
    • 2003
  • 다목적 대형 댐의 건설로 수몰된 과거의 삶의 공간을 20년이 지나서 다시 복원한다는 것은 그곳에 살던 실향민 등에게는 참으로 반가운 소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초에 완공된 충주댐으로 인하여 물 속에 잠긴 청풍 지구를 수몰이전의 입체 지형 공간적으로 원형복원하기 위한 원격탐사 기법을 적용한 것이다. 비교적 해상도가 좋은 인공위성 사진자료와 원격탐지된 디지털 영상자료를 수집하고, 수몰직전에 제작된 지형도를 이용하여 위성영상자료의 통합 적용하여 수몰이전의 지형공간정보를 현재시간으로 영상 복원하는 실험을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형도에서 추출한 등고선과 현재의 등고선과의 접목을 통하여 청풍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당시의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였다. 또한 이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투시조감도를 각 방향에서 생성함으로서 수몰이전의 아름다운 모습을 3차원적으로 영상복원 하였다. 좀더 가깝게 수몰마을을 보기 위한 최근접 시뮬레이션 동영상을 제작하여 과거 기억 속의 고향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Prediction of Resistance and Propulsion Characteristics of Full Slow-Speed Ships (저속 비대선의 저항 추진 특성 추정을 위한 회귀 분석에 대한 연구)

  • Keh-Sik,Min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27 no.1
    • /
    • pp.84-98
    • /
    • 1990
  • Fifteen(l5) series hull forms for full slow-speed ships were prepared by expanding the basic parent hull form developed through the extensiv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and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for each of the series hull forms. A set of systematic data was prepared from the test results and utilized to derive regression equations for the prediction of resistance and powering characteristics by statistical analysis. Computer program has been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and a sample run is presented.

  • PDF

Experimental Study on Turbulent Structure of Flow around KRISO 3600TEU Container Double-deck Model (KRISO 3600TEU 콘테이너 모형선 주위 유동의 난류구조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ak-Rok Kim;Sang-Joon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6 no.3
    • /
    • pp.8-14
    • /
    • 1999
  • The flor characteristics around the KRISO 3600TEU container ship model have been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a subsonic wind tunnel. The mean velocity and turbulence characteristics in the stern and wake regions were measured using an x-type hot-wire probe.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he stern and near wake regions revealed a complicated three-dimensional flow pattern. The measured results showed clearly the formation of longitudinal vortices and their effect on the flow pattern in the wake region. The shear layer developed along the ship model expands showly to the downward direction. The turbulence statistics measured can be used as comparative data of numerical simulations and provide insights into development of accurate turbulence models for the ship desig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