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체효과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4초

Recent Advances in the Prevention of RSV in Neonates and Young Infants

  • Ki Wook Yu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1호
    • /
    • pp.1-11
    • /
    • 2023
  •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는 전 세계적으로 영유아에게 질병 부담과 사회적 비용이 매우 높은 병원체이지만 그 백신 개발은 상당히 지연되고 있다. 현재로선 단기-지속형 단클론항체인 palivizumab이 유일한 예방법이다. 그러나 최근 RSV 감염의 병태생리학에 대한 이해, 유전학의 발전, 모체 예방접종의 성공적인 시행 등으로 RSV 예방을 위한 단일클론 항체 및 백신의 개발이 급속히 추진되고 있다. 현재 2개의 장기-지속형 단클론항체 제제(nirsevimab 및 clesrovimab)와 2개의 모체 RSV pre-F 백신이 임상 3상 시험을 진행 중이거나 막 완료하였으며, 지금까지의 결과는 효과와 안전성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가까운 장래에 장기-지속형 단클론항체와 모체 예방접종을 통해 고위험군은 물론이고 기저질환이 없는 신생아 및 영유아들을 RSV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SV 예방의 새로운 시대에 빠르고 적절히 대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새로운 전략들에 익숙해지고 국내 RSV에 대한 역학 자료들을 계속 수집해 나갈 필요가 있다.

Salmonella typhimurium내로의 pKM101 돌연변이체의 유도와 그 특성에 관한 연구 (Induction and Chatacterization of pKM101 Mutants in Salmonella typhimurium)

  • 백형석;강수형;이세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9-97
    • /
    • 1982
  • Mutator effect를 가진 plasmid pKMlO1을 MNNG처리와 tetrazolium-glactcse 배지에서 MMS에, 의한 Salmonella typhimuriun의 Gal-에서 Gal+로 전환시키는 능력에 따라 pKM101 변이체들을 선택하고 이들의 성질을 chemical과 UV를 사용하여 pKM101과 비교 하였다. pKM101변이체들은 Salmonella typhimurium내에서 모두 안정하였고 정상적으로 다른 균주로 전달되었으며 picillin에 대한 저항성은 원래의 plasmid보다 같거나 높아졌다. 이들 중 두 변이체는 chemical mutagen인 MMS와 4-NQO, 그리고 UV에 의한 Salmonella typhimurimlla의 돌연변이들을 모체 pKMIOI보다 증가시켰으며 다른 변이체들은 이에 대한 효과가 감소 되었거나 전혀 잃은 것이었다. Salmonella typhimurium uvr- 변이주에 있어서 이들 변이체들의 chemical과 UV에 의한 돌연변이율에 미치는 치사효과는 모체 pKMIOI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plasmid pKMOI의 chemical 및 UV mutator effect가 한 유전인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견생산력이 다른 계통간의 Diallel Cross에 의한 누에 양적 형질의 유전분석 (The Genetic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s in the Silkworm by Diallel Cross of Four Inbred Lines Differing in Silk Yield)

  • 손기욱;유강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14
    • /
    • 1987
  • 견생산능력이 다른 누에 계통간의 diallel cross에 의해 누에 양적 형질에 대한 유전분석을 통하여 누에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한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4개 원종 중 KA와 S1은 잠124와 M242에 비해 견층중(12cg 이상), 견사장(200m 이상) 및 생사량비율(약 4%) 등이 훨씬 낮아서 다사량계와 소사량계로 구분되었다. 2. 다사량과 소사량계간의 정역교잡간에 차이가 있어서 모체효과 또는 세포질효과가 인정되는 형질은 단견중, 견층중, 견사장 및 견사량이었으며, 다사량계통을 모체로 한 교잡종이 그 역교에 비해 각각 평균 11cg, 2cg, 137m 및 1.95cg 많았다. 3. 일반조합능력은 품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고 한성무늬 중국종계인 M242는 수견량, 견중, 견사장, 견사량 및 생사량비율 등 대부분의 주요 양적 형질에서 일반조합능력이 높은 우수품종이었다. 4. Heterosis 효과는 생사량과 수견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품림새와 생사량비율은 낮았으며 견중, 견사장 등의 양적 형질은 중간 정도였다. 5. 유전력이 높고 불완전우성을 나타내는 유충기간, 견층중, 견사장 및 생사량비율 등은 견중과 수견량 등의 양적 형질은 heterosis 효과가 높은 교배조합의 선택으로 개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둘 이상의 형질을 개량할 때에는 이들간의 유전상관을 바탕으로 육종계획을 세우고 견층중을 대상으로 한 선발은 다사량계통의 육성에 효과적이며 유전력과 우성효과가 낮아서 개량이 어려운 실품림새는 견사질과 역상관이므로 선발시 이 형질의 변화에 유의하여야 한다.

  • PDF

모체 thyroxine 투여가 새끼 흰쥐 대뇌의 태아 알코올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ernal thyroxine treatment on the offspring's brain development with fetal alcohol effects in the rats)

  • 김복;정윤영;박상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6호
    • /
    • pp.677-685
    • /
    • 2006
  • 목 적 : 임신 기간 중 지속적으로 알코올을 섭취하는 모체에 thyroxine을 투여하여 알코올의 유해한 영향으로 인한 대뇌의 태아 알코올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방 법 : 실험동물은 매일 35칼로리 정도의 알코올을 섭취한 알코올군, 알코올 대신 dextrin이 첨가된 유동액을 섭취한 정상군, 알코올군과 같은 양의 알코올을 매일 섭취하고 thyroxine을 매일 $5{\mu}g/kg$ 피하 주사한 알코올+$T_4$ 군으로 분류하였다. 임신한 흰쥐 모체가 분만이 끝나면 각 군에서 태어난 새끼들은 그 어미와 분리하여 사료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는 대리모에게 키우게 하였다. 한 배의 새끼 1마리씩 총 4마리를 생후 0, 7, 14, 21, 28일에 희생시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대뇌겉질 및 해마에서 생후 연령에 따른 NPY 함유 신경세포의 발달과 성숙양상을 관찰하였다. 결 과 : 대뇌겉질에서는 알코올+$T_4$ 군에서 생후 7일에 NPY 함유 신경세포들이 알코올군과 정상군보다 더 뚜렷한 양성반응을 나타내기 시작하였으며, 생후 14일 이후부터는 대뇌겉질의 전 층에 걸쳐 광범위하게 NPY 함유 신경세포들이 관찰되었고 연령 증가에 따른 세포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알코올군은 NPY 함유 신경세포가 생후 28일에 다른 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해마에서는 알코올+$T_4$ 군에서 생후 7일부터 정상군과 유사한 분포 양상을 나타냈으며 알코올군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생후 14일에 대뇌겉질 및 해마 모두에서 알코올+$T_4$ 군의 NPY 함유 신경세포 분포 및 신경얼기 형성이 두드러졌다. 결 론 : 임신 중 알코올 남용을 하는 모체에 지속적인 $T_4$ 투여는 그 후손들의 뇌에 분포하는 NPY 함유 신경세포의 발달을 정상 군과 유사하게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모체 $T_4$ 투여가 특히 출생 초기의 NPY 합성에 영향을 미쳐 태아 알코올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돼지의 번식형질과 산육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Genetic Parameter Estimates for Reproductive and Productive Traits of Pig in a Herd)

  • 조충일;안진국;이준호;이득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1호
    • /
    • pp.9-14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특정 종돈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종돈에 대한 번식형질 및 산육형질들에 대한 유전변이를 추정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000년부터 2008년까지 개량을 진행한 국내 모종돈장에 있는 돼지(Landrace, Large white, Duroc) 2,447두에서 조사된 9,886복의 번식자료(실산자수, 이유자 돈수)와 10,181두의 산육검정자료(등심단면적, 90 kg 도달일령, 등 지방두께, 정육률)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번식형질 및 산육형질에 적합한 모형을 찾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번식형질에서 품종효과, 교배웅돈효과, 산차효과, 분만시 년도-계절효과, 산육형질에서 품종효과, 분만시 년도-계절효과, 성의 효과, 모산차 등이 환경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혼합모형방정식에 적합시켜 유전모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번식 형질의 실산자수에 대한 유전력은 0.07, 모체 유전효과에 대한 유전력은 0.02로 추정되었고 이유자돈수의 유전력은 0.03, 모체 유전효과에서 0.02로 추정되었으며 이들 두 형질 간의 유전상관은 0.14, 모체 유전효과에 대한 상관은 0.06로 추정되었다. 또한 등심 면적의 경우 0.19, 90 kg 도달일령은 0.39, 등지방두께 및 정육률은 각각 0.36 및 0.43으로 번식형질에 비해 높은 유전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등심단면적과 등지방두께 간에는 0.04로 유전적 상관관계가 없으며, 등심단면적과 정육률 간에는 0.35로 중도의 유전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에 등지방 두께와 정육률 간은 -0.42로 중도의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등지방두께와 90 kg 도달일령 간에는 유전상관이 없는 것(0.00)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번식형질과 산육형질 간 유전상관은 등지방두께를 제외한 나머지 산육형질에서 번식형질과의 부의 상관을 보여, 번식형질 또는 산육형질을 독자적으로 개량하고자 할 때, 부의 관계가 있는 형질과의 유전적 관계를 고려한 개량목표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잠의 주요 양적 형질에 관한 유전분석 (Analysis of Gene for Major Quantitative Characters in Silkworm, Bombyx mori)

  • 손봉희;정원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29
    • /
    • 1992
  • 누에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7개 품종을 이면교잡하여 얻은 F1 세대에 대한 유전자의 분포상태, 우성정도, 분산성분과 성분비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8개 형질에서 정방향의 잡종강세를 나타낸 형질은 암견층비율을 제외한 7개 형질이었으며 이 중암전견중, 암용체중은 매우 높은 잡종강세를 나타내었고 부방향의 잡종강세는 암·수견층비율에서 볼 수 있었다. 2. 각 형질에 대한 분산분석의 결과는 세포질의 영향인 모체효과와 정·역간의 효과에서 암견층비율과 암용체중을 제외한 전 형질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Vr-Wr graph에서 암전견중과 암·수용체중은 초우성을 나타내고 수전견중, 암·수견충중, 암·수견층비율은 불완전우성으로 유전되었다. 4. 유전분산성분에서 수전견중, 암·수견층중, 암·수견층비율은 상가적 효과가 우성효과보다 크게 나타났고, 암전견중은 우성 효과가 상가적 효과보다 크게 표현되었다. 5. 협의의 유전력은 암·수전견중, 암·수견층중, 암·수견층비율에서 0.51 이상으로 높았고, 광의의 유전력은 암용체중을 제외한 전 형질에서 0.77 이상으로 높았다. 6. 우성의 방향은 암견층비율이 부이고, 암·수견층중이 5.22, 6.02로 다소 높았으나 암·수전견중, 수견층비율, 암·수용체중은 정으로 낮았다.

  • PDF

한우 어미 소의 일일 산유량과 송아지의 생시체중, 3개월령 체중 및 포유기 일당증체량에 관한 상관 분석 (Relationships Among Cow Daily Milk Yield, Calf Body Weight at Birth and 3 Month of Age and Preweaning Daily Gain in Hanwoo)

  • 황정미;김시동;최재관;이채영;김병완;김종복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591-600
    • /
    • 2008
  • 본 연구는 암소의 산유량, 송아지의 생시 체중, 3개월령 체중 및 포유기 일당증체량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축산기술연구소 대관령지소(현 축산과학원 한우시험장)에서 2002년 6월부터 11월 사이에 128쌍 그리고 2003년 4월부터 11월 사이에 94쌍 등 총 222쌍의 암소와 포유중인 송아지로부터 조사하였는데 조사된 형질 중 암소의 산유량은 포유전후 체중차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조사된 형질들은 모두 어미소 형질로 간주하여 분석을 하였는데 유전모수 추정은 A-I REML(average information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추정치를 제공하는 Meyer(2006)의 WOMBAT package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일일 산유량과 24시간 보정 산유량의 유전력은 각각 0.39와 0.36으로 두 추정치 간에 차이가 없었다. 어미소 형질로 간주하여 추정한 송아지의 생시체중, 3개월령 체중 및 포유기 일당증체량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0.28, 0.17 및 0.18로서 생시체중의 유전력은 3개월령 체중이나 포유기 일당증체량의 유전력에 비해 약간 큰 편이었으며 3개월령 체중과 포유기 일당증체량 간에는 유전력의 크기에서 차이가 없었다. 일일 산유량은 생시체중, 3개월령 체중 및 포유기 일당증체량에 대한 모체 효과 들과의 유전 상관계수가 각각 0.59, 0.79 및 0.68이었다. 일일산유량이 3개월령 체중이나 포유기 일당증체량의 모체효과 간에 높은 유전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 근거할 때 한우 집단에서 송아지의 포유기 일당증체량 또는 3개월령 체중의 모체 유전 효과에 대한 선발을 통해 암소들의 산유량에 대한 유전적 개량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임신 중 수은을 섭취한 CD-1 마우스 태아의 성장발육과 기형발생에 미친 셀레늄의 효과 (The effects of selenium on fetal growth and development in CD-1 mice exposed with mercury for the gestation period)

  • 김진석;이상목;최석화;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61-368
    • /
    • 1994
  • 기형발생을 나타내는 수은의 독성에 대하여는 이미 보고된 바 있으나 임신중에 폭로된 수은의 독작용을 완화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제재들에 대하여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수은에 대한 셀레늄의 치료적인 상호작용에 대하여는 이미 보고된바 있으나 태아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임신한 CD-1마우스에 20ppm 농도의 유기수은을 음수를 통하여 투여한후 동시에 sodium selenite(체중 kg당 0.1mg, 0.2mg, 0.3mg, 피하주사) 또는 BAL(체중 kg당 5.0mg, 피하주사)을 임신 6일째부터 15일 사이에 단독 또는 병용 투여한 후 임신 18일째에 제왕절개술을 실시하였다. 수은단독 투여군에서는 태아의 체중 및 두부-둔부의 길이 그리고 태반의 무게가 투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고 태아의 사망/재흡수 발생과 기형발생(특히 구개열)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셀레늄과 BAL의 단독 또는 병용투여는 수은에 의하여 발생된 태아에 대한 독작용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고 기형발생 역시 유의성있게 감소시켰으나 투여용량 그리고 투여계획과는 특이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모체의 수은중독 결과로 보이는 모체의 음수, 사료섭취량과 모체의 상대적 기관(간장, 신장, 비장) 무게의 감소도 셀레늄과 BAL의 투여로 증가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세레늄을 단독 또는 BAL과 같은 기존치료제와 함께 투여할 경우 수은에 의한 기형발생이나 모체의 아급성 중독 증세를 감소시키거나 완화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Elastic Open Activator를 이용한 II급 부정 교합의 치료효과 (EFFECTS OF ELASTIC OPEN ACTIVATOR IN CLASS II MALOCCLUSION)

  • 정규림;박영국;이현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11-523
    • /
    • 1995
  • Elastic Open Activator(E.O.A.)는 myodynamic activator의 일종으로서 장치의 아크릴 부위의 대폭적인 크기 감소로 환자가 거부감 없이 장시간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구강내에서 매우 느슨하게 장착되므로써 보다 적극적인 근기능 자극 효과를 나타내고, 구강 내외의 제 기능시 발휘되는 생리적인 힘을 효율적으로 치조골 및 악관절부에 전달시킨다. 특히 기능모체(functional matrix)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동시에 능동적으로 자극함으로써 많은 부정교합 증례에서 비발치에 의한 교정치료의 성공률을 높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는 혼합치열기 및 초기 영구치열기의 II급 부정교합 환자에게 사용된 E.0.A.의 치료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경희의료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II급 1류 및 2류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었던 각각 9명과 5명의 치료 전후 cephalogram 및 석고모형을 비교분석한 후 결과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은 두 군 모두에서 정상적인 성장 양태를 유지하였다. 2. 하악골은 두 군 모두에서 크게 전하방 성장되었다. 3. 상악 전치는 II급 1류 부정교합자에서는 설측, II급 2류 부정교합자에서는 순측 경사되었고 두 군 모두에서 상하악 전치부 치조골 수직 성장이 억제되었다. 4. 하악 전치는 두 군 모두에서 약간 순측 경사되었다. 5. 두 군 모두에서 상, 하악 치궁의 확장이 일어났으며 II급 2류 부정교합자에서 가용 공극의 길이가 증가되었다.

  • PDF

한국 미숙아 산모와 제대혈의 IL-10 유전자형 빈도와 신생아 호흡 곤란증 발생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and Cord Blood Interleukin-10 (-819T/C and -592A/C) Gene Polymorphisms a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Preterm Korean Infants)

  • 박은애;조수진;김영주;박혜숙;하은희;서영주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137-145
    • /
    • 2009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숙아에서의 IL-10 유전자형의 빈도와 신생아 호흡 곤란증의 발생 빈도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이대목동병원에서 2003년도 11월부터 2008년도 7월에 태어난 214명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대혈과 모체혈에서 IL-10 유전자(IL-10 -1082A/G, -819T/C, -592A/C) 의 다형성을 조사하였고, 임상적인 자료는 의무기록조사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결 과: 미숙아를 분만한 한국 엄마들의 유전자형 빈도는 기존의 보고된 바와 달랐다. IL-10-1082GG homozygote는 발견되지 않았고,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호흡곤란증은 IL-10-592AC/CC 유전형에서 AA 유전자형보다 적게 발현되었다(P=0.033). 호흡곤란증의 위험도가 모체가 IL-10-819TC/CC 유전자형인 경우 TT 유전자형보다 적게 발견되었다(P-0.030). 하지만 제대혈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각각의 유전자형에서 분석해보면 IL-10 A-1082G/T-819C/A-592C 중, ACC haplotype인 경우, 호흡곤란증에서 보호되는 효과가 있었다(P=0.07). 결 론: 모체의 IL-10-592A/C 과 IL-10-819T/C 유전자 다형성이 미숙아에서 호흡곤란증의 발생에 관여한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