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자반 군락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32초

일본 남부 Ikata 연안에 설치한 인공어초에 나타난 해조 군락의 천이

  • 최창근;손철현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40-441
    • /
    • 2001
  • 다시마, 대황, 감태, 모자반 등의 대형 갈조류로 이루어진 해중림은 일차 생산이 일어나는 가장 주요한 장소 일 뿐 만 아니라, 엽상체를 생활기반으로 하는 부착동물 군집부터 시작해서 전복, 성게, 소라 등 초식동물, 볼락,조피볼락, 쥐노래미 등 해조 군락을 서식지, 산란장, 은둔처(Ohno, 1993; Watanuki and Yamamoto, 1990)로 이용하는 어류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생물상을 가지는 고유의 생물사회를 구성하고 있다. (중략)

  • PDF

가막만 모자반 군락지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in Sargassum Beds in Gamak Bay, Korea)

  • 윤호섭;안윤근;최상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1
    • /
    • 2011
  • 가막만 모자반 군락에서 2008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월별로 두릿그물로 어류를 채집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1종 582 개체, 5,345.1 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출현한 어종 중 복섬(Takifugu niphobles), 멸치(Engraulis japonicus)와 농어(Lateolabrax japonicus)가 전체 개체수의 55 %를 차지하였다. 12월과 1월에는 어류가 채집되지 않았고, 봄에 수온이 상승하며 증가하여 출현종수와 채집량이 6월에 높았고, 7월과 8월에는 감소하였으나, 9월과 10월에는 높은 값을 보였다. 종간 유사성을 집괴분석한 결과 3개의 무리로 구분되었다. A 그룹에는 출현기간이 비교적 긴 우점종인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와 복섬(Takifugu niphobles)이, B 그룹에는 봄에 주로 출현한 볼락(Sebastes inermis), 살망둑(Chaenogobius heptacanthus), 흰줄망둑(Pterogobius zonoleucus), 베도라치(Pholis nebulosa), 거물가시치(Trachyrhamphus serratus), C 그룹에는 가을에 주로 출현한 멸치(Engraulis japonicus), 농어(Lateolabrax japonicus), 학공치(Hyporhamphus sajori)가 포함되었다.

가막만의 모자반군락이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argassum beds on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Gamak Bay, Korea)

  • 안윤근;조주현;윤호섭;박일웅;김윤설;김호진;최상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4-289
    • /
    • 2009
  • We determined the influence of Sargassum beds on the water quality in Gamak Bay, Korea.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range from 3.3 to $23.4^{\circ}C$ and from 29.6 to 33.7 psu, respectively. Dissolved oxygen was 10.45 mg L-1 in the Sargassum bed and 9.23 mg L-1 in the control. Chlorophyll-a was $3.90{\mu}g\;L^{-1}$ in the Sargassum bed and 2.21${\mu}g \;L^{-1}$ in the control. Chemical oxygen demand were 1.14${\mu}g\;L^{-1}$ in the Sargassum bed and 1.43${\mu}g\;L^{-1}$ in the control. Total nitrogen were 0.038${\mu}g\;L^{-1}$ in the Sargassum bed and 0.067${\mu}g \;L^{-1}$ in the control. Total phosphorus were 0.043${\mu}g \;L^{-1}$ in the Sargassum bed and 0.072${\mu}g \;L^{-1}$ in the control.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ata. Water temperature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DO (p<0.01). T-N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P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