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자

검색결과 776건 처리시간 0.026초

모자동실제 유형에 따른 산모피로도 및 모유수유율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Level of Postpartum Women's Fatigue and Breast Feeding Rate according to the Types of Rooming-in care)

  • 김영미;김성희;조갑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45-455
    • /
    • 2017
  • 본 연구는 모자동실 유형에 따른 산모의 피로도와 모유수유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서울소재 일 종합병원의 모자동실제 정책이 전일모자동실제에서 부분모자동실제로 전환된 후 두 제도 간에 산모의 피로도와 모유수유율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평가내용은 출산 후 산모의 피로도와 모유수유율을 비교분석하여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전일모자동실제의 산모 64명을 대상으로 자체 평가한 2012년 10월의 분석결과와 부분모자동실제로 전환운영한 2014년 6- 7월까지의 산모 43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x^2-test$, t-test, 피어슨상관관계분석을 통해 4개의 가설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전일모자동실군이 부분모자동실군보다 하루 수유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일모자동실군과 부분모자동실군 간에 모유수유율은 차이가 없었다'. '전일모자동실군이 부분모자동실군보다 피로도가 높았으며', '산모의 피로도와 입원기간동안의 모유수유율은 관련이 없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모자동실제 유형에 따라 모유수유율에는 차이가 없으므로 산모의 피로도가 높은 전일모자동실제로 운영하는 것 보다 산모와 신생아의 상태를 고려하여 개별화된 부분모자동실제로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사회적 배제 집단으로서의 저소득 모자가족과 통합적 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Comprehensive Policies for Low-Income Single-parent Households - Using a Concept of Social Exclusion)

  • 송다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295-319
    • /
    • 2003
  • 본 연구는 저소득 모자가구주의 대부분이 일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여전히 어려운 노동빈민(working poor)으로서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비롯되었으며, 저소득모자가구의 생활실태를 최근 사회과학 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배제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의 극복방안으로서 사회적 통합과 연대모색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남성가장을 중심으로 한 일반가구, 일반 모자가구, 사회적 빈곤선 이하에 놓인 저소득모자가구를 대상으로 각 가구유형별 특성과 생활실태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반적인 모자가구의 사회적 배제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0년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사회복지욕구조사" 원자료를 이차분석(secondary analysis) 하였으며 총 3,182가구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모자가구는 일반모자가구, 저소득모자가구에 상관없이 고용형태, 주거형태, 소득, 소비생활 측면에서 일반(남성가장)가구에 비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반가구에 비해 모자가구는 가족으로부터 자원을 제공받기보다는 오히려 장애, 만성질환 등의 가족원을 보호해야 하는 상당한 부담을 안고 있었으며, 사회적 안전망에서도 모자가구는 전반적으로 제외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모자가구가 일반가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사회적으로 취약해지거나 고립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현실을 반영하며, 현재 공식적으로 빈곤층, 혹은 저소득층으로 분류되지는 않았지만 일반모자가구도 포괄적인 사회적 안전 망이 확립되지 않는다면 향후 저소득층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확인시켰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전체 모자가족의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수 있는 사회적 통합방안이 모색되었다.

  • PDF

모자제품의 레이블과 소비자 관리행동 (Care Labels and Consumer's Care Behavior of Hat Products)

  • 김차현;박명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84-1792
    • /
    • 2007
  • 현대의 패션의 다양화, 개성화로 패션 스타일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모자는 더욱 부각되어 수요자 층이 확대되고 있지만,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세탁 및 관리에 어려움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모자제품의 관리방법에 대한 소비자의 현황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모자 레이블 부착의 문제점과 개선책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며, 나아가 모자의 보관이나 세탁방법에 대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소비자들의 모자제품의 세탁 및 관리행동에 관한 조사를 하기 위하여 서울 및 도시에 거주하며 모자를 소유하고 있는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의 남녀 395명을 대상으로 연령과 성별을 고려한 할당 표본추출방법을 통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07년 3월에서 4월까지 이루어 졌으며, 설문은 총 4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자 착용실태, 세탁방법, 건조방법, 보관방법에 관한 문항은 선다형으로, 모자 소비자 불만, 소비자 모자 레이블 인식에 관한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고,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12.0 프로그램으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오차, 교차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통계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첫째, 모자 소비자의 세탁방법 인식도와 실천정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는 세탁경험이 많은 여성이 모자 세탁 방법에 대하여 잘 알고 실천하고 있었으며, 편안함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보다 높은 연령대가 세탁방법을 더 잘 실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모자 소비자들은 다른 의복 아이템과 비교하여 울세제로 세탁망에 넣어 세탁기로 돌리거나 손으로 직접 빠는 세심한 관리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탁빈도는 더러움이 탈 때마다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세탁의 주 목적은 얼룩제거로 나타났지만, 여성은 남성에 비해 모자의 형태보전과 냄새제거를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장소에 있어서는 그늘에서 건조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 집게로 집어 빨래 줄에 말리는 경우가 많았다. 모자 세탁 시 세탁방법, 건조방법, 건조장소의 요인들보다 세제종류가 세탁 후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적절한 세제를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소비자에게 인지시켜 피해를 줄이는데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 보관방법으로는 대부분 옷장 선반에 두고 있었으며 보관 후 형태변화 결과를 경험한 소비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적합한 모자 보관으로 형태유지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셋째, 대부분의 모자 소비자들은 레이블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다른 의복 아이템에 비하여 모자레이블에 대한 신뢰도는 더 낮게 나타나, 공급자들은 정확하고 실질적인 레이블을 표기하여 신뢰도 회복을 기해야 할 것이다. 많은 소비자들이 모자의 치수 체계 이해에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레이블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가 낮게 나타나 남성 소비자에게도 전반적인 레이블에 대해 교육시키도록 구체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만 하겠다. 후속연구에서는 모자의 다양한 형태나 재료에 따른 세탁 및 관리 방법을 보완하여 연구가 수행되어서 보다 구체적인 자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연에서 찾은 건강_따뜻한 온도 몸의 체온이 되어 - 따스함을 만드는 사람 - 따뜻한 뜨개질 갓난아기 살리는 뜨개질

  • 이윤미
    • 건강소식
    • /
    • 제35권12호
    • /
    • pp.10-11
    • /
    • 2011
  • 전 세계 빈곤 아동을 돕는 국제기구 '세이브더칠드런(Save the Children)'에서 모자로 생명을 살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있는가? '신생아 살리기 모자뜨기 캠페인'을 통해서다. '신생아 살리기 모자뜨기 캠페인'은 전 세계 영유아를 살리기 위한 털모자를 직접 떠서 세이브더칠드런의 해외사업장에 보내주는 참여형 기부 캠페인이다. 그 중심에 있는 자원개발부장 최혜정 씨를 만났다.

  • PDF

배합사료에 모자반 분말 첨가가 참전복 치패의 성장과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Sargassum Supplemented Diets on Growth and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임태준;허용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9-244
    • /
    • 2000
  • 참전복 치패용 배합사료 원료로서 모자반의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사료의 어분, 대두박 및 소맥분을 모자반으로 각각 10%씩 대체한 배합사료를 제조하여 평균체중 428 mg의 참전복을 대상으로 사료당 4반복으로 130일간 사육실험하였다. 생존율은 89~95%로 모든 실험구간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증중량은 소맥분을 모자반으로 대체한 실험구가 대조구와 대두박을 모자반 대체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어분을 모자반으로 대체한 실험구는 타실험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가식부의 수분, 회분과 지질 함량은 실험구간에 서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p>0.05),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어분을 모자반으로 대체한 실험구와는 유의차가 없었다 (P>0.05). 위와 같이 참전복 배합사료에 어분이나 소맥분을 각각 모자반으로 10% 정도 대체할 수 있어 참전복 배합사료의 단백질원에 대한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모자동실의 개별교육이 영아 돌보기 자신감과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Mother-Child Shared Room on Self-Confidence in Infant Care and the Practice of Breastfeeding by Delivering Individual Education to the Mother-Child in the Shared Room)

  • 박점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91-89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모자동실에서 모유수유와 신생아 관리 등의 내용을 간호사가 산모를 1:1로 개별 교육한 군과 모자별실을 하면서 신생아실 내에서 모유수유와 신생아 관리에 관리 등의 내용을 단체 교육 받은 군 간의 영아돌보기 자신감과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모자동실을 이용한 산모 50명, 모자별실을 이용한 산모 50명이었다. 영아돌보기 자신감 점수는 모자동실 개별교육을 시행한 군이, 모자별실을 시행한 군보다 통계적으로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모자 동실이란 변수 외에 모유수유 실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찾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모자동실제도 정착을 통하여 영아 돌보기 자신감이 증진되고 모유수유 실천의 장려가 이루어 질 것으로 사료된다.

블록매칭을 이용한 비디오 시퀀스의 이미지 모자익 (Image Mosaic from a Video Sequence using Block Matching Methods)

  • 이지근;김희숙;정성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604-606
    • /
    • 2001
  • 최근 들어 이미지 모자익은 가상현실과 웹 브라우저 상에서의 가상환경 구축, 관광, 광고 등, 많은 응용분야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미지 모자익을 위해 해결해야 할 주된 문제는 이미지들 간의 중복되는 영역에서 정확한 대응점을 찾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 대응점을 찾기 위한 노력은 시스템의 많은 계산량과 시간을 투자해야만 했다. 또한 대부분의 모자익이 여러 차례의 촬영에 의한 정지 화상들 간의 모자익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프레임들 간의 중복되는 영역에서 일정한 비교 영역을 지정하고 그 비교 영역 안에서 대응점을 찾는 블럭 매칭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전체적인 모자익 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 PDF

모자반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Effect of Sargassum Extracts)

  • 심하은;노대영;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142-146
    • /
    • 2024
  • 전세계적으로 천연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기존 화학합성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천연물에서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모자반은 우리나라의 해안 전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갈조류의 일종으로서 식용으로도 이용되는 만큼 안전성이 확보되어있는 해조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 짝잎 모자반(Sargassum hemiphyllum), 쌍발이 모자반(Sargassum patens)의 3가지 종류의 모자반으로부터 열수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으며, 항산화효과,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 및 항염증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자반추출물은 세포독성시험결과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결과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여주었으며 tyrosinase inhibition을 이용한 미백효과시험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의 미백효과가 상당히 우수하였다. 그러나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와 항염증효과는 비교적 낮았다. 결론적으로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은 세포독성이 적었고,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가 우수하여 미백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디모자익킹 기술 개발을 위한 신규 맥매스터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해석 (Analysis on the new McMaster image dataset to develop demosaicking techniques)

  • 유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44-34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디모자익킹 기술 개발에서 신규 맥매스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고 그에 따른 해석 결과를 제공한다. 디모자익킹 기술 개발을 위해서 사용되는 실험 영상으로 현재까지 가장 알려져 있는 데이터는 코닥 영상이다. 하지만 최근 신규 영상 데이터가 개발됨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디모자익킹 실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코닥 영상과 맥매스터 영상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실험, 분석 하고 비교함으로써 신규 실험 영상이 어떤 특징을 갖는지에 대해서 해석한다. 또한 실험 결과와 해석은 맥매스터 영상이 디모자익킹 기술 개발에 실험 영상으로써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개발될 디모자익킹 기술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신장애를 가진 어머니의 심리증상과 자녀의 탄력성과의 관계에서 모자관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Child Rel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Symptoms of Mothers with Mental Disorders and their Child's Resilience)

  • 성준모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1호
    • /
    • pp.219-23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를 가진 어머니의 심리증상과 자녀의 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어머니가 지각하는 모자관계가 매개효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7세 이상 15세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정신장애를 가진 어머니 255명이었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심리증상과 모자관계는 자녀의 탄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자관계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심리증상과 자녀의 탄력성 사이에서 모자관계가 부분 매개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자녀의 탄력성에 대한 실천에 있어서, 어머니의 심리적 어려움의 보호요인으로 나타난 모자관계에 초점을 둔 개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