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음 약화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발화속도와 한국어 분절음의 음향학적 특성 (Speech Rate and the Acoustic Features of Korean Segments)

  • 이숙향;고현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2-17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산출실험을 통해 발화속도와 한국어의 분절음의 지속시간 및 포만트 특성과의 관계와 모음의 지속시간과 포만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빠른 발화일수록 음절 및 자음과 모음의 지속시간은 짧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화자에서 폐쇄음의 폐쇄구간 대 기식구간의 비율이나 한 음절 내의 모음 대 자음 지속시간의 비율은 발화속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일부 화자들은 발화속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속도의 영향을 받는 화자들에서 폐쇄음의 경우 폐쇄구간이 기식구간보다 영향을 더 받으며 음절의 경우 모음이 자음보다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속도와 모음의 포만트값과의 관계 분석 결과 발화속도가 모음약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화자간에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화자마다 모음의 포만트값 구현에 관하여 다른 발화기재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발화속도의 증가에 따라 조음기관의 움직임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화자가 있는 반면 발화속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는 화자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음 약화 현상의 세분화 (Vowel Reduction in Russian)

  • 이성민
    • 비교문화연구
    • /
    • 제30권
    • /
    • pp.97-124
    • /
    • 2013
  • For a long period, vowel reduction has been accepted as one of the most common pronunciation rules in Russian phonology. However, since the rules have been modified in many ways after the influx of loanwords, [a, e, i, o, u, ${\star}$]-including [e, o]-can now be pronounced in unstressed position, obeying the rule of vowel reduction. Especially in Modern Russian, along with the destruction of the consonant pronunciation norm due to some relatively complex changes it underwent palatalization, consonant pronunciation has been simplified, and as a response to such a phenomenon, the specialization of vowel pronunciation rule is now occurring. In other words, in the interrelation between consonants and vowels, as the pronunciation rules for consonants are simplified and thus the contrast between consonants is weakened, the degree of dependence on pronunciation of segment in the vowel pronunciation rule has been elevated. Therefore, the analysis says that the degree of vowel reduction depends on a vowel's distance from a stressed syllable is not enough; the influence of surrounding phonemes-including consonants-or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ords themselve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e introduction of Max-noncorner/UnderLex, a/an Licence constraint that is related to non-declension nouns, and that of IdentC[back] and ShareCV[back], which are faithfulness constraint and share constraint respectively that are related to the nature of consonants stresses that vowel pronunciation rules should not be simply viewed as rules for vowels; The rules should be analyzed with emphasis on their correlation with surrounding phonemes.

모음 상승 현상의 음성적 고찰: 어미 {-고}의 실현을 중심으로 (A Phonetic Study of Vowel Raising: A Closer Look at the Realization of the Suffix {-go})

  • 이향원;신지영
    • 한국어학
    • /
    • 제81권
    • /
    • pp.267-297
    • /
    • 2018
  • Vowel raising in Korean has been primarily treated as a phonological, categorical change. This study aims to show how the Korean connective suffix {-go} is realized in various environments, and propose a principle of vowel raising based on both acoustic and perceptual data. To that end, we used a corpus of spoken Korean to analyze the types of syntactic constructions, the realization of prosodic boundaries (IP and PP), and the types of boundary tone associated with {-go}. It was found that the vowel tends to be raised most frequently in utterance-final position, while in utterance-medial position the vowel was raised more when the syntactic and prosodic distance between {-go} and the following constituent was smaller. The results for boundary tone also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vowel raising and the discourse function of the boundary tone. In conclusion, we propose that vowel raising is not simply an optional phenomenon, but rather a type of phonetic reduction related to the comprehension of the following constituent.

한국어 /ㅛ/의 발음 양상 연구: 발음형 빈도와 음향적 특징을 중심으로 (Pronunciation of the Korean diphthong /jo/: Phonetic realizations and acoustic properties)

  • 이향원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1호
    • /
    • pp.9-17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이중모음 /ㅛ/가 다양한 언어학적 환경에서 어떠한 발음 변이 양상을 보이는지 밝히는 것이다. 특히 음성적 변이와 분포 범위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ㅛ/의 발음 양상을 논의하였다. 서울코퍼스의 여성 화자 10명의 발화에서 나타난 /ㅛ/의 운율적 위치(단음절, 어절 초, 어절 중, 어절 말)와 어휘 부류(내용어, 기능어)를 분석하였다. 각 환경에서 /ㅛ/의 출현 빈도를 파악한 결과, 운율적 위치에 따라 어휘 부류와 발음형 실현이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음향 분석을 통해 기능어에서 나타나는 /ㅛ/에서는 음성적 약화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어휘 부류는 /ㅛ/의 평균적인 음가를 달라지게 하지는 않았지만 개별 토큰의 분포 양상에서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언어학적 환경이 모음의 음성적 분포 양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 영어학습자와 영어원어민이 발화한 영어 약화모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glish Reduced Vowe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 신승훈;윤남희;윤규철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3권4호
    • /
    • pp.45-53
    • /
    • 2011
  • Flemming and Johnson (2007) claim that there is a fundamental distinction between the mid central vowel [ə] and the high central vowel [?] in that [ə] occurs in an unstressed word-final position while [?] appears elsewhere. Compared to English counterparts, Korean [ə] and [?] are full vowels and they have phonemic contra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coustic quality of two English reduced vowe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in terms of their two formant frequencies. Sixteen Korean learners of English and six native speakers of English produced four types of English words and two types of Korean words with different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patterns.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learners of English produced the two reduced vowels of English and their Korean counterparts differently in Korean and English words.

  • PDF

한국어 자음약화현상과 인접모음의 고저성

  • 이숙향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33_34호
    • /
    • pp.43-55
    • /
    • 1997
  • This study examined one of the hypotheses on the consonant reduction in Korean inferred from the Articulatory Phonology framework through phonetic experiments: Degree of consonant reduction depends on the height of the neighboring vowels--the lower the height of the neighboring vowel is, the higher the degree of reduction of stop closure period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general, turned out to support the hypothesis with some cases requiring other phonetic considerations, e.g., rate of some tongue tip movement in the case of dental lenis stop /t/ or the facts that bilabial lenis stop /p/ share its primary articulators, lips, with the neighboring vowel /u/ and that for bilabial closure, the upper lip lowers more for compensation of little movement of lower lip when its raising gets disturbed for some reasons.

  • PDF

제 2언어 학습자의 한국어 리듬 실현양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Aspects of Korean rhythm realization by second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Chinese learners of Korean)

  • 윤영숙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27-3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들의 한국어 낭독발화에서 나타나는 리듬의 변화양상을 한국어 모국어화자와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모국어화자와 구별되는 리듬의 물리적 속성을 고찰하여 목표어의 리듬 습득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국인학습자들의 발화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리듬 유형론적으로 다른 범주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한국어는 음절박자언어와 강세박자언어의 모습을 모두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어는 음절박자언어로 분류된다. 두 언어는 음절구조, 어휘강세나 모음약화 현상의 부재 등 음운론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보이지만 세부적인 차이도 존재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한국어 리듬 실현에서 모국어인 중국어의 긍정적 전이와 부정적 전이가 모두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어를 구사하는 한국어 원어민화자 5명과 한국어 숙달도 고급 수준의 중국인한국어학습자 10명이 발화문을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다섯 문장으로 구성된 한 단락의 담화이다.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들의 한국어 리듬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V, VarcoV, nPVI_V, nPVI_S값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V와 VarcoV의 값에서 두 그룹은 모두 음절박자언어의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중국인학습자들은 한국화자와는 유의미한 차이로 낮은 %V와 높은 VarcoV를 보여 보다 강세박자언어에 가까운 리듬구조를 보였다. nPVI_S값에서는 유사한 면이 관찰되었으나 nPVI_V에서 두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두 그룹에서 나타난 리듬구조의 차이는 무엇보다 모음 길이의 변동의 차이로 귀속될 수 있고 그 원인은 중국어에 존재하는 모음 위계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모국어의 발화습관이 한국어 리듬구조에 영향을 미쳐 보다 강세박자언에 가까운 속성을 보이며 이로 인해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다른 청지각적 리듬 차이를 유발한다고 할 수 있다.

21세기 시조문학(時調文學)과 지식환경(知識環境)의 변화 (The transformation of the knowledge-environment and Sijo literature in the 21st century)

  • 윤영옥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3집
    • /
    • pp.5-32
    • /
    • 2005
  • 시간은 흘러 시대는 변한다. 난세에서 승평의 시대로, 승평의 시대에서 백성들이 태평을 누리는 시대로 바뀌어 왔다고 생각하였으나, 그것은 희망이었을 뿐 태평을 구가한 시대는 없었던 것 같다. 이제 국가의 개념이라는 것도 점차 희미해져, 세계라는 큰 울타리 안에서 살아가는 개인은 그 존재의 가치가 더욱 약화되어 오히려 억압을 더 받게 되는 반태평(反太平)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 21세기의 벽두인 것 같다. 그런데 세계라는 이러한 큰 울타리 안에서 민족의 의식이 약화되어 개인이 cosmopolitian이 되어야 할 것이로되 오히려 민족주의는 더욱 강화되어, 그로 말미암은 분란이 도처에서 전운을 일으키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 한민족은 타의에 의해 분리되어 아직도 하나로 통일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모순이 우리의 지식환경을 지배하고 있는 것 같다. 분리된 민족이 하나로 통합됨이 우리의 염원일진데, 우리의 정서로 시화함에 있어서는 우리의 전통시형이 그 정서를 담는 그릇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 시형을 우리는 '시조'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인식해 왔던 그 시형에 대한 규정을 반성해 보고, 그것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종래의 규정은 창곡에서 분리하여 문학화하는 데서부터 시작하였으나, 이제는 그것을 문학이란 인식의 바탕에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 가곡의 '대엽'이 제3장과 제4장의 사이에 매화점장단 10점의 '중여음'으로 개재하고, 제5장 뒤에 '대여음'의 소리가 33점으로 이어진다면, 시의 말의 구성에도 그만한 어떤 충절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제4장으로 특징지어진 다면, 소리와 시의 구성에 있어서 이 제4장의 기능과 묘미를 살려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5장구성이 악곡으로 큰 한 '장'을 이룬다면, 이러한 장을 중첩하여 훨씬 더 큰 규모의 시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예를 권호문의 <한거십팔곡>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작품은 소주제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연작이 아니고, 하나의 주제로 통합된 연시이다. 그러므로 종래에 시조시형이라 생각한 3장의 구성을 5장으로 파악하여, 이제는 그것을 중첩하여 더 큰 규모의 시를 이를 수 있는 '연'의 모형으로 간주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래야만 이 착종된 시대의 복잡한 정서를 거기에 담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머신러닝 분류기를 사용한 만성콩팥병 자동 진단 및 중증도 예측 연구 (Automatic detection and severity predict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using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 문지현;김선희;김명주;류지원;김세중;정민화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45-56
    • /
    • 2022
  • 본 논문은 만성콩팥병 환자의 음성을 사용하여 질병을 자동으로 진단하고 중증도를 예측하는 최적의 방법론을 제안한다. 만성콩팥병 환자는 호흡계 근력의 약화와 성대 부종 등으로 인해 음성이 변화하게 된다. 만성콩팥병 환자의 음성을 음성학적으로 분석한 선행 연구는 존재했으나, 환자의 음성을 분류하는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모음연장발화, 유성음 문장 발화, 일반 문장 발화의 발화 목록과, 수제 특징 집합, eGeMAPS, CNN 추출 특징의 특징 집합, SVM, XGBoost의 머신러닝 분류기를 사용하여 만성콩팥병 환자의 음성을 분류하였다. 총 3시간 26분 25초 분량의 1,523개 발화가 실험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질병을 자동으로 진단하는 데에는 0.93, 중증도를 예측하는 3분류 문제에서는 0.89, 5분류 문제에서는 0.84의 F1-score가 나타났고, 모든 과제에서 일반 문장 발화, 수제 특징 집합, XGBoost의 조합을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성능이 나타났다. 이는 만성콩팥병 음성 자동 분류에는 화자의 발화 특성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 일반 문장 발화와 거기로부터 추출한 적절한 특징 집합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