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음

Search Result 93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etermining a optimal defragmentation order of fragmented files using GA. (GA를 이용한 최적의 디스크 조각모음 순서 결정)

  • 김미숙;강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36-38
    • /
    • 2000
  • 디스크상의 개별 파일들은 디스크에 추가, 변경, 그리고 삭제됨에 따라 디스크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별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조각들을 찾는 조각모음은 많은 파일 블록의 이동 때문에 근본적으로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공통적으로 조각모음을 수행하는데 각 조각파일의 모음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다. 즉, 조각난 차례대로 조각모음을 수행한다. 이 논문에서는 유전자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이용하여 가장 효율적인 조각모음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평가한다.

  • PDF

Problems of Discrepancy between English Vowels and Spelling (영어 모음과 철자간 대응성 결여 문제)

  • Youe Hansa Mahn-Gunn
    • MALSORI
    • /
    • no.48
    • /
    • pp.69-80
    • /
    • 2003
  • 음성 영어교육에서 각 음소(모음.자음) 음가 인식이 중요한 것은 물론이지만, 실제로 영어를 듣고 말하는 데는 강세모음과 약음(주로 음)이 번갈아들며 엮어내는 영어 특유 말씨 박자에 대한 이해가 오히려 더 중요한 면이 있다. 그런데 영어 철자가 자음 정보는 비교적 잘 보여주지만, 모음 정보는 정확히 알려주지 못한다. 이를테면 (equation omitted)를 적는 철자가 각각 20가지 이상이며, 특히 쭉정모음(schwa) $\partial$를 적는 철자는 무려 90가지가 넘는다. 이 $\partial$는 강세 그늘에서 비록 짧고 약하게 발음되지만 영어에서 딴 어느 모음보다도 훨씬 높은 빈도를 보이기 때문에 [(equation omitted)] 음가와 그것이 있는 자리, 즉 철자 밑에 숨어 그 존재를 알기 어려운 $\partial$ 음의 소재를 철저히 파악하는 것은 영어를 잘 듣고 영어답게 말하는 데에 필수 요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쭉정모음(schwa) [$\partial$]를 포함한 영어 주요 모음 철자 다양성을 고찰하여 우리나라 음성 영어 교육(TEFL/TESOL)에 귀중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한 올바른 영어 발음 학습 태도를 제언한다.

  • PDF

A Study on Phoneme-Based PSOLA Speech Synthesis Using LSP (LSP를 이용한 음소단위 PSOLA 음성합성에 관한 연구)

  • 권혁제;조순계;김종교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2
    • /
    • pp.3-1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음소단위 PSOLA 한국어 합성을 LSP line의 조절과 자모음 분석을 통해서 실시하였다. 음성합성에서 많이 사용하는 triphone, diphone, demisyllable등과 같은 합성단위들은 자연스러운 합성음을 위해 다양한 음운환경에서 수집된다. 그러나, 이런 방법 은 많은 시간과 메모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단위로서 자음17개, 모음 16개로 총 33개의 음소를 이용하였다. 자음은 후위모음/이/인 CV에서 segment되고, 모음은 단음절의 단모음과 이중모음을 1인의 화자로부터 합성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10명의 화자가 발성 한 CV에서 각 모음에 따라 변하는 자음의 주파수를 분석하였고, CV+VC 또는 CV+CV에서 각 자음에 따라 변하는 모음의 포먼트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모음은 LSP line을 조절해서 PSOLA합성을 하고, 자음은 합성하려는 모음과 결합하였다. 그 결과 6개의 합성단어에 대한 청취율은 65%를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Vowel System Universals of Southeast Asian Languages: The Cases of Tagalog, Malay and Thai. (동남아시아 언어의 모음체계 보편성 연구 - 타갈로그어, 말레이어, 타이어를 대상으로 -)

  • Heo, Yong
    • Cross-Cultural Studies
    • /
    • v.48
    • /
    • pp.391-417
    • /
    • 2017
  • Southeast Asian languages are famous for having a large number of vowel sounds with an average of more than 20 vowel sounds in this certain language family. In addition, there are approximately 1,500 languages in this area, which accounts for approximately 20% of total languages in the world. For this reason, vowel systems of Southeast Asian languages should be explored to determine the nature of vowel structures of human natural languages. In this study, we analyze vowel systems of three languages, Tagalog, Malay and Thai, that have only primary or normal vowels and thus are relatively simple structures based on descriptive and analytic universals. We would also like to confirm if the six criteria of the tentative evaluation model taken from several previous literature is appropriate in applying analysis of vowel system universals under the method of the Greenbergian Universals or statistic universals. What we have found from this research are (i) the three languages have high level of universals with some exceptional cases such as three-vowel system of Tagalog, and (ii) some of the six criteria, together with some cases of analytic universals, are not quite suitable for understanding language-specific universals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 languages.

A Feature-based Approach to American English Vowel Production by Korean Learners (한국 학습자들의 미국 영어 모음 발화에 대한 자질적 접근)

  • Jeong, Soon-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2
    • /
    • pp.326-336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Korean learners' production of American English vowel focused on feature analysis.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adopts feature analysis so that vowel production is analyzed in terms of vowel features as well as overall segmental accuracy. To this end, 22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 production test which contained 11 English vowels /i, ɪ, eɪ, ɛ, æ, ɑ, oʊ, ɔ, ʊ, u, ʌ/.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egree of difficulty varied depending on features; the Korean participants showed higher accuracy for front/back features than for tongue height features and tense/lax features.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had more difficulty producing back vowels and non-high vowels than front vowels and high vowels with respect to tongue height features and lip rounding features. Among the individual vowels, /eɪ/ showed the highest accuracy in feature analysis. On the other hand, /ɑ, ɔ, ʌ/ showed low accuracy with respect to height features and lip rounding features, and high vowels /i, ʊ, u/ showed low accuracy with respect to tense/lax features.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owel features, tongue height features and lip rounding feature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Also, tongue height features and tense/lax feature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Finally,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eaching English vowels were further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Hangul Vowel Input System for Electronic Networking Devices (정보통신 단말기를 위한 한글 모음 입력 시스템)

  • Kang Seung-Shik;Hahn Kwang-So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2B no.4 s.100
    • /
    • pp.507-512
    • /
    • 2005
  • There is a limitation of using a small number of input buttons for writing Hangul words on hand-held devices. As a quick and convenient way of implementing Hangul vowels by small number of buttons, we propose a vowel input system in which vowels are fabricated from eight vowels. Our input system supports a fast input speed by making all the diphthong from one or two strokes. It also adopts a multiple input method for diphthong that users can make a diphthong in a user-friendly way of vowel writing formation or pronunciation similarity. Furthermore, we added an error correction functionality for the similar vowels that are caused by vowel harmony rules. When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to the previous ones, our method outperformed in the input speed and error correction.

A SPECTROGRAPHICAL STUDY OF KOREAN VOWELS

  • LEE H.B.;Zhi M.J.
    • MALSORI
    • /
    • no.6
    • /
    • pp.4-12
    • /
    • 1983
  • 이 논문은 음향 분석기를 이용하여 한국어의 단순모음 8개를 음향 음성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이 현복의 1971년 논문 "현대 서울말의 모음 음가"에서 기분 모음을 기준으로 하여 기술한 단순 모음의 소리값과 비교하는 데어 목적이 있다. 특히, 한국어의 모음 1)길고 세게 날 때, 2)짧고 세게 날 때, 그리고 3) 여리게 날 때의 세가지 환경에 따라 변이음의 음가가 달리 나타난다는 이 현복의 이론을 음향 음성학적으로 확인해 보는 것이 연구를 하는 주요 관심사이다. 이 실험에 사용된 자료는 위에 말한 이 현복의 논문과 "한국어 음성학"(김선기, 1937, 1971; 영문)에 제시된 낱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스웨덴에 유학중인 지 민제가 자신의 목소리로 직접 녹음하여 위메오 대한 음성학과의 음향 음성학 실험실에서 음향분석기로 분석한 다음, 각 모음의 제1 및 제2포인트를 측정하여 리를 토대로 음향도를 만들었다. 이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1)그림 2,3과 포먼트 표에서 보인 바와 같이, 모음 /이, 에, 오, 으/는 각각 이 현복의 주장대로 환경에 따라 세 개의 분명히 다른 음가를 나타내고 있다. 2) 한편 모음 /애, 아, 우, 어/는 모음의 길이에 따라 다만 두 종류의 음가 변동이 나타날 뿐이며 강세의 유무에 따른 음가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3) 이 현복의 주장대로 모음 /에/와 /애/mss 음가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음운 대립이 무디어질 수 있음을 이번 실험 결과로 확인 하였다. 특히 강세가 없는 /에/는 강세가 있는 /애/와 소리값이 거의 같았다. 4) 이 현복은 표준말에서 /어/의 음가가 세대에 따라 다르며, 안정된 세대의 말씨에서는 /어:/가 /어/에 비해 높고 중앙화한 소리값을 지닌다는 주장을 하였다. 그러나 이 실험 연구에서는 녹음한 이가 젊은 세대이어서 인지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다만 /어:/는 /어/보다 높이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이번 실험 연구에서 모음의 소리값이 장단과 강세에 따라 달라진다는 이 현복의 주장이 대체로 증명된 셈이나, 종합적이고 확고한 결론을 내리려면 좀 더 광범한 실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안정된 세대의 말씨를 직접 녹음하여 음향 음성학적으로 분석함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English vowel perception by Korean native speakers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영어 모음인지 연구)

  • Han Yang-Ku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17-320
    • /
    • 2000
  • 본 논문은 영어 모국어 화자(남, 여)들이 발성한 영어 모음 12개를 가지고 모음의 길이와 포만트 값(Fl, F2)을 측정하고, 인지실험에 사용할 시료를 만들어 원광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음성학 수강반 학생 90명, 비 수강반 64명 두 그룹으로 나누어 총 154명을 대상으로 인지실험(Identification test)를 실시하였다. 인지실험결과 음성학 수강반 학생들의 모음인지율이 비 수강반 학생들 보다 대체적으로 좋았으며, 여자화자의 모음인지율이 남자화자의 인지율보다 대체적으로 높았다. 학생들의 인지율 가장 좋은 모음은 hayed, hard였으며, 인지율이 가장 낮은 모음은 head, had 등이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Korean Intervocalic Lax and Tense Stop Consonants - With Respect to Stop Closure Duration - (모음사이의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구분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파열음의 폐쇄지속시간을 중심으로-)

  • 김효숙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93-96
    • /
    • 1998
  • 이 논문은 모음 사이에 오는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음향적 특징을 비교하여 예사소리와 된소리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나는 음향적 특징 가운데 몇 개를 골라 그것을 변수로 삼았을 때 청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모음 사이에 오는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음향적 특징은 첫째, 자음의 폐쇄지속 시간이 된소리가 예사소리보다 길다. 둘째, 예사소리 앞에 오는 모음의 길이가 된소리 앞에 오는 모음의 길이보다 길다. 셋째, VOT는 예사소리와 된소리 사이에 차이가 거의 없다. 이 같은 음향적 특징 가운데에서 자음의 폐쇄지속시간과 앞에 오는 모음의 길이가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구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앞에 오는 모음의 길이는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구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