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시옷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모시옷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 연구 (A Research on the Positive Consumption of Ramie Clothes)

  • 김용덕;박은희;유관순;이서희;이희승;홍영기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3-109
    • /
    • 2004
  • It surveyed consumers between 20s and 60s to understand how often they wear ramie clothes and what they are dissatisfied with wearing ramie clothes. First, people who are older than 50 have more ramie clothes than people who are younger than 50. They purchased ramie clothes at a store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s(35.1%) and special sales shops including departments(33.8%). People older than 50 washed ramie clothes with hands in their houses. But people younger than 40 washed their ramie clothes in a laundry. Third, it surveyed what was their dissatisfaction with ramie clothes. They responded that the type and design is limited.(44.4%) There isn't a design for young people.(33.3%) In the survey of color and patterns, they responded that the colors are not classified for people of different ages.(57.7%) The others complained that the patterns are not enough.(22.5%) They are dissatisfied with ramie clothes as it is easy to have wrinkle and it isn't elastic.(66.7%) Fourth, it surveyed the tendency to purchase ramie clothes based on different four factors. The factor 1 is the tendency to have good quality. Factor 2 is the tendency of reluctant purchasing. Factor 3 is the tendency of variety of distribution routes. Factor 4 is the tendency of design.

  • PDF

고려사에 기록된 황사와 황무 현상 (The Yellow-Sand Phenomenon and Yellow Fog Recorded in the "Koryosa")

  • 전영신;오성남;권완태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5
    • /
    • 2000
  • 10세기부터 14세기까지의 475년간의 황사 기록이 조사되었다.고려사에는 황사현상이 토우,황토우,매라는 표현으로 기록되었으며, 하늘에서 먼지가 떨어지는 것으로 '옷을 적시지 않고 흙이 있음 매 또는 토우라 부른다'라고 설명되어 있다.서운관의 관측규정(서운관지 권지일)에 토우는 '모시모경에 사방이 어둡고 혼몽하고 티끌이 내리는 것 같은 것을 말하는 것이다'라는 기록으로 보아 현대에 관측되는 황사현상과 같음을 알 수 있었다. 고려시대의 황사 관측기록은 총 50건으로 먼지현상만으로 기록된 것이 40권, 큰 바람과 연관된 기록이 5건, 황사가 비 또는 눈과 섞여 내린 사례가 3건, 안개 또는 우박과 연관된 황사가 각 1건씩 있었다. 이는 조선시대의 황사기록 57건(전영신,2000)에 비견할 만큼 많은 기록이다. 또한 고려시대에는 황사현상과 황무현상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되어 황무현상의 기록도 함께 분석하였다. 황사현상은 거의 봄철에 많이 관측되었으며, 드물게는 겨울과 가을에 나타난 기록도 있었다. 한편 황사현상에 대한 해석은'임금과 신하의 도가 합하면 확연히 태평하여질 것인다 매가 어찌 있겠느냐'고 하여 황사현상이 출현한 것을 일종의 재앙으로 간주하였음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