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션 캡처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velopment of Frozen Shoulder Rehabilitation Robot Based On Motion Capture Data (모션 캡쳐 데이터 기반의 오십견 재활 보조용 로봇의 개발)

  • Yang, Un-Je;Kim, Jung-Yup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9
    • /
    • pp.1017-1026
    • /
    • 2012
  • In this study, an exoskeleton-type robot is developed to assist frozen shoulder rehabilitation in a systematic and efficient manner for humans. The developed robot has two main features. The first is a structural feature: this robot was designed to rehabilitate both shoulders of a patient, and the three axes of the shoulder meet at one point to generate human-like ball joint motions. The second is a functional feature that is divided into two rehabilitation modes: the first mode is a joint rehabilitation mode that helps to recover the shoulder's original range of motion by moving the patient's shoulder according to patterns obtained by motion capture, and the second mode is a muscle rehabilitation mode that strengthens the shoulder muscles by suitably resisting the patient's motion. Through these two modes, frozen shoulder rehabilitation can be performe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The development procedure is described in detail.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수화 통역을 위한 VR 콘텐츠 개발)

  • Na, Kil-Hang;Lee, Byung-Ho;Kim, Jong-Hun;Kim, Jong-Nam;Jung, Young-K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690-695
    • /
    • 2009
  • 본 논문은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에 수화 애니메이션을 합성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청각 및 언어장애인들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수화 통역 VR 콘텐츠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수화 사전에 있는 수화들을 3D 애니메이션으로 DB화하기 위해, 모션 캡처 시스템과 데이터 글러브를 사용하여 실제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을 생성하였다. 최종적으로 동영상 콘텐츠의 자막이나 대본의 구문분석을 한 후, 이를 수화용 단어자막을 통해 수화 애니메이션을 DB에서 검색한 후, 실시간적으로 기존 동영상 콘텐츠와 동기합성을 하여 수화 통역 콘텐츠를 제공하는 VR 콘텐츠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이 시스템을 동화용 애니메이션에 적용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Weather Forecast Sign Language Broadcasting System for the Hearing-Impaired (청각장애인을 위한 일기예보 수화방송 시스템 개발)

  • Oh, Juhyun;Jeon, Seong-Gyu;Eun, Junho;Kim, Minho;Kwon, Hyuk-Chul;Kim, Iktae;Kim, Jai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401-404
    • /
    • 2013
  • 청각장애인을 위한 지상파방송 서비스 중 자막방송은 100%에 가까운 편성 비율을 달성하고 있지만, 화면을 가리는 수화방송은 5% 수준의 편성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막방송을 수화로 번역하여 그래픽 수화방송을 생성함으로써 수화방송의 비율을 높이고자 한다. 수화 단어들의 빈도를 파악하고 중요 단어부터 모션 캡처하기 위해 과거 3년간 일기예보 스크립트를 분석하였다. 자막방송 문장을 형태소별로 분석한 다음 중요 품사 위주로 단어 단위로 번역하고, 기 구축된 한국어 어휘의미망을 이용하여 수화사전에 없는 유의어와 하위어를 대표어로 대체하였다. 기계번역 기술이 수화통역사의 수준을 따라잡을 수는 없지만 향후 수화방송도 선택적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수화통역사의 수화방송이 모든 프로그램에 편성될 때까지 본 시스템이 보조적 시청 수단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 PDF

A Schema Definition for Exchanging Character Animation Data (캐릭터 애니메이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스키마 정의)

  • Park, Jong-Hyun;Jung, Chul-Hee;Park, Chang-Sup;Lee, My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430-43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ISO/IEC JTC1 SC24와 Web3D Consortium에 의해 제정된 국제표준인 H-Anim을 이용하여 캐릭터 애니메이션 교환을 위한 스키마를 정의한다. 기존의 H-Anim 에서는 인간형 캐릭터 구조의 전송이나 저장에 필요한 계층적 데이터 구조를 X3D 기반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생성된 애니메이션을 다른 캐릭터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는 않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의 H-Anim 캐릭터 모델에 임의의 모션 캡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도록 H-Anim 에 애니메이션을 정의하는 방법과 이를 기존의 H-Anim 구조에 부합하도록 애니메이션 기능을 위한 스키마 확장에 대해 기술한다. 본 연구에서의 캐릭터 애니메이션 데이터 형식은 서로 다른 응용들 사이에서 애니메이션 데이터를 공유하고 서로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ign of Embedded EPGA for Controlling Humanoid Robot Arms Using Exoskeleton Motion Capture System (Exoskeleton 모션 캡처 장치로 다관절 로봇의 원격제어를 하기 위한 FPGA 임베디드 제어기 설계)

  • Lee, Woon-Kyu;Jung, Seul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13 no.1
    • /
    • pp.33-38
    • /
    • 2007
  • In this paper, hardware implementation of interface and control between two robots, the master and the slave robot, are designed. The master robot is the motion capturing device that captures motions of the human operator who wears it. The slave robot is the corresponding humanoid robot arms. Captured motions from the master robot are transferred to the slave robot to follow after the master. All hardware designs such as PID controllers, communications between the master robot, encoder counters, and PWM generators are embedded on a single FPGA chip. Experimental studies are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FPGA controller design.

Behavioral Generation of Android-oriented 3D character using kinect (Kinect를 활용한 안드로이드용 3D 캐릭터 행동 제작)

  • Choi, Hong-Seon;Lee, Kang-Hee;Lee, W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1-3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3D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에 앞서 kinect를 활용하여 캐릭터의 동작을 모션캡처를 통해 쉽게 제작하는 방법을 다룬다. 또한 제작된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md2포맷으로 export하고 안드로이드 환경의 OpenGL을 활용하여 재생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향후 스마트폰 증강현실에서 도우미로서 소프트웨어 로봇 또는 에이전트의 다양한 감성 행동을 제작하고자 한다.

  • PDF

FBX Format Animation Generation System using Depth Image (깊이 영상을 이용한 FBX 형식의 애니메이션 생성 시스템)

  • Choi, Jin-won;Kim, Sang-joon;Park, Seo-yeon;Kwak, Gi-seok;Park, Goo-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61-163
    • /
    • 2022
  • 실시간 동작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기술은 게임, 영화, 의료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마커를 부착하는 모션캡처 방식이 사용되어왔지만 비용, 편의성 등의 문제로 쉽게 사용될 수 없었다. 최근 딥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영상을 통해 사람의 신체 관절 좌표를 추정할 수 있게 되면서 여러가지 방식으로 연구되어 왔다. RGB-D 카메라 등을 통해 얻는 깊이 영상으로부터 3 차원 관절 좌표를 추정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실시간 동작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고 가상공간에 표출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mask dance movement in intangible cultural asset based on human pose recognition (휴먼포즈 인식을 적용한 무형문화재 탈춤 동작 디지털전환)

  • SooHyuong Kang;SungGeon Park;KwangYou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678-680
    • /
    • 2023
  • 본 연구는 2022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된 탈춤 동작을 디지털화하여 후속 세대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이터 수집은 국가무형문화제로 지정된 탈춤 단체 13개, 시도무형문화재 단체 5개에 소속된 무형문화재, 전승자 39명이 관성식 모션 캡처 장비를 착용하고, 8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데이터 가공은 바운딩박스를 수행하였고, 탈춤동작 추정은 YOLO v8을 사용하였고 탈춤 동작 분류는 YOLO v8에 CNN모델을 결합하여 130개의 탈춤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mAP-50은 0.953, mAP50-95는 0.596, Accuracy 70%를 달성하였다. 향후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량이 늘어나고, 데이터 품질이 개선된다면 탈춤 분류 성능은 더욱 개선될 것이라 기대한다.

3D Volumetric Capture-based Dynamic Face Production for Hyper-Realistic Metahuman (극사실적 메타휴먼을 위한 3D 볼류메트릭 캡쳐 기반의 동적 페이스 제작)

  • Oh, Moon-Seok;Han, Gyu-Hoon;Seo, Young-Ho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7 no.5
    • /
    • pp.751-761
    • /
    • 2022
  •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graphics technology, the metaverse has become a significant trend in the content market. The demand for technology that generates high-quality 3D (dimension) models is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various technical attempts are being made to create high-quality 3D virtual humans represented by digital humans. 3D volumetric capture is spotlighted as a technology that can create a 3D manikin faster and more precisely than the existing 3D model creation method.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3D high-precision facial production technology based on practical cases of the difficulties in content production and technologies applied in volumetric 3D and 4D model creation. Based on the actual model implementation case through 3D volumetric capture, we considered techniques for 3D virtual human face production and producted a new metahuman using a graphics pipeline for an efficient human facial generation.

An Exploratory Study of Searching Human Body Segments for Motion Sensors of Smart Sportswear: Focusing on Rowing Motion (동작에 따른 피부변화 분석을 통한 동작센서 부착의 최적위치 탐색: 조정 동작을 중심으로)

  • Han, Bo-Ram;Park, Seonhyung;Cho, Hyun-Seung;Kang, Bokku;Kim, Jin-Sun;Lee, Joohyeon;Kim, Han Sung;Lee, Hae-Do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0 no.1
    • /
    • pp.17-30
    • /
    • 2017
  • Lots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for fusion of high technologes and the other areas of research had been tried in these days. In sports training area, high technologies like a vital sign sensor or an accelerometer were adopted as training tool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ports play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proper locations on the human body for attaching the motion sensors in order to develop a smart sportswear which could be helpful in training players. The rowing was selected as a subject sport as lots of movements of the joint on human body could be seen in rowing motions. The players of rowing could be devided into two weight divisions, the lightweight and the heavyweight. In this study, the change rates of distance between markers on human skin as the players moved were took on the back, the elbow, the hip and the knee area on human body by 3D motion capturing system. The distances between marke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ghtweight and heavyweight were analyzed. Finally, this study provided the guide lines for designing a motion sensing smart sportsw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