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션 센서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32초

손가락 모션 인식을 이용한 드론 제어 방법 설계 (A Design of Method for Drone Control using Finger Motion Recognition)

  • 박유진;김현지;이현서;백윤지;김도균;최지훈;하옥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127-128
    • /
    • 2020
  • 다양한 장치와 상황을 인식하여 사람에게 필요한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 중 사람의 모션 인식을 활용한 응용과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람의 모션을 캡처하는 방식과 센서를 이용하여 상황을 유추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사람의 모션을 인식하는 기존의 방식들은 큰 단위 움직임을 추적하기 때문에 드론제어와 같이 섬세하면서도 시간적으로 효과적인 작업이 필요한 응용 분야에 적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손가락 동작을 기반으로 드론의 정밀하면서도 간편한 제어가 가능한 모션 인식 체계를 설계한다. 손가락 모션 인식 기반의 드론제어는 드론 축구 등과 같이 신속성과 정밀성이 필요한 분야의 서비스로 확장될 수 있다.

  • PDF

모션 인식 센서 기반의 UAV 제어 신호 생성 방법 (Motion Recognition Sensor-based UAV Control Signal Generation Method)

  • 김동욱;김혁;성연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82-685
    • /
    • 2016
  • 최근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가 많은 보급됨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제어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NUI/NUX를 이용하여 UAV를 접목하려는 시도가 있다. 전통적인 NUI/NUX는 가상현실에서 시각적인 체감에 많이 의존하고 있지만 동작 인식 센서를 기반으로 가상 에이전트를 제어하는 기법들도 소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모션 인식 센서인 Myo를 사용하여 UAV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지상 통제소(Ground Control Station, GCS)의 서브시스템이며 전통적인 드론 조종 방법과 같이 양팔로 제어하기 때문에 두 개의 Myo를 사용한다.

Kinect의 모선 인식 센서를 활용한 야구 자세 교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cting baseball posture with motion sensor in Kinect)

  • 김연우;나스리디노프 아지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32-534
    • /
    • 2018
  • 본 논문은 한국에서 야구에 관련 직무에 종사하는 사람 또는 야구를 배우고 싶은 사람에게 도움을 주고자 Kinect의 모션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자세인식에 관련 된 연구 내용이다. 야구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자세에 대한 교정과 자신이 직접 자신의 자세를 보면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이며 프로그램의 제작자의 개입이 없이 사용자가 주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Kinect에서의 야구 자세를 저장하여 자신의 모습과 비교하여 자세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사람들이 좀 더 야구에 대해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음이 프로그램의 구현 방향이며 야구를 접하는 사람들에게 자세 부분에 도움을 주고 야구를 즐기는 사람들도 도움을 얻는 기대효과를 가지는 프로그램이다.

Leap Motion 센서를 사용한 소형 이동체의 원격제어 (Remote Control of Small Moving Object using Leap Motion Sensor)

  • 이소연;한만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1-232
    • /
    • 2014
  • 립모션 (Leap motion)센서를 사용하여 손동작을 인식하고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미리 지정된 명령어를 보행 로봇에게 전송하여 보행 로봇이 그 명령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언어는 Processing을 사용하고 립모션 센서 라이브러리는 LeapMotionP5를 사용하였다.

  • PDF

모션인식을 활용한 Human UI/UX를 위한 IoT 기반 스마트 헬스 서비스 (IoT based Smart Health Service using Motion Recognition for Human UX/UI)

  • 박상주;박찬홍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6-1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모션인식을 활용한 Human UI/UX를 위한 IoT 기반 스마트헬스 서비스를 제안한다. 현재까지 M2M기반의 u-healthcare에서 적용되는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TCP/IP 프로토콜이 아닌 non-IP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의 이용 확대와 IoT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센서들의 인터넷 연결이 반드시 요구된다. 따라서 센서들에 의하여 측정된 자료들을 인터넷과 통신하는 것은 물론 이동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이동성을 고려한 IoT 기반 스마트헬스 서비스를 설계하였다. 또한 IoT 기반 스마트헬스 서비스는 기존의 헬스케어 플랫폼과는 다르게 바이오 정보뿐만이 아니라 동작감지를 위한 스마트 헬스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u-healthcare에서 사용되는 WBAN 통신은 일반적으로 많은 네트워크화된 장치 및 게이트웨이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WBAN 센서 노드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환경에서도 동적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고, 사용자의 동작감지를 통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

  • PDF

모션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보행주기 측정 방법 (A method of measurement for gait cycle based on motion sensors)

  • 현훈범;송수호;홍지헌;이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61-763
    • /
    • 2016
  • 근래 물리치료에서 외관이 아닌 내부의 움직임을 볼 수 있는 장비를 요구하고 있다. 즉, 관절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움직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나온 장비로는 카메라를 이용한 장비로 움직임에 따른 관절의 움직임을 비롯하여 높은 성능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장비의 주체가 카메라이기 때문에 많은 제약사항이 따른다. 일정한 공간이 필요하고, 암막상태이며 단순 보행주기를 실험하는 것에도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제약을 모두 없애고 센서를 착용하기만 하면 관절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간편한 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 중 압력센서를 동반하여 보행주기를 정확히 측정하고 관절의 움직임을 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모션센서의 회전각을 이용하여 관절의 움직임을 유추하고 그 값을 그래프로 출력하는 방식이다. 또한 연구 실험 결과, 보행주기를 측정하기 위해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보행 1주기의 4포인트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자 한다.

K-Pointer : 6DOF 위치추적 자기장 센서 기반 인터랙티브 AR 시스템 (K-Pointer : 6DOF Location Tracking Magnetic Field Sensor-Based Interactive AR System)

  • 양기선;정병희;김병선;김창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0-262
    • /
    • 2020
  • 본 논문은 6DOF 위치기반 자기장 센서(Liverty Latus, Pollhemus)를 사용한 가상현실 방송제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증강현실 시스템, K-Pointer를 제안한다. 우리는 방송에서 추적 및 인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Pollemus사의 6DOF 자기장기반 위치 추적 센서 리버티(수신부,소스)와 라투스(송신부,마커), 그리고 4입력 버튼장치를 결합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기존 방송용 증강현실 시스템과 통합하여 새로운 인터랙티브 증강현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방송용 증강현실 그래픽 합성 시스템(수신부)과 센서의 위치정보와 버튼 이벤트를 전송하는 시스템(송신부)으로 구성되며, 센서추적정보와 버튼이벤트 정보는 UDP로 실시간으로 수신부로 전송된다. 우리는 사용자 손의 모션과 버튼이벤트로 그래픽 정보를 인터랙티브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시스템은 기존의 합성중심의 방송용 증강현실 시스템을 사용자의 모션 기반 그래픽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증강현실시스템으로 그 기능을 확장 시킬 수 있게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광학식 추적을 하지 않기 때문에 조명의 변화에 영향이 없으며, 라투스 수신기가 작기 때문에 손에 쥐었을 때 거의 보이지 않고 가려도 추적이 강인하여 버튼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정확한 이벤트로 직접 그래픽을 그리거나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가상 환경 및 6축 모션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무인차량 영상 안정화 장치 시험 (Test of Vision Stabilizer for Unmanned Vehicle Using Virtual Environment and 6 Axis Motion Simulator)

  • 김선우;기선옥;김성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2호
    • /
    • pp.227-23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및 모션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무인차량용 영상 안정화 장치의 실내 시험환경을 구축하였다. 실제 주행 환경은 군용 탱크 시험을 위한 애버딘 시험장 범프 주행로의 가상 환경으로 대체하였다. 또한 무인 차량 모션은 모션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가상 주행 환경은 모션 시뮬레이터 위에 설치된 영상안정화 장치의 앞에 구현하였다. 영상 안정화 장치의 카메라의 영상 및 카메라에 부착된 IMU 센서 데이터를 통해 안정화 성능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