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세 혈관종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8초

경부 및 종격동내 지방모세포 종 -1례 보고- (Lipoblastoma of the Neck and Mediastinum -1 case report-)

  • 김석기;서연호;구자홍;정명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98-201
    • /
    • 2001
  • 지방모세포종은 태생기 지방조직에서 기원하는 드문 양성종양으로 대부분 소아기에 발생하는데 이 종양의 약 70%는 사지에서 나타나고 간혹 다른 부위에서 보고되기도 한다. 저자들은 좌측 후종격동과 좌측 쇄골상부에 양성 지방모세포종을 보인 3세된 남아를 치험한바 있다. CT 소견상 지방을 함유한 종괴가 정상적인 흉강내 구조물을 누르고 있었고, 쇄골상부 및 종격동으로부터 합병증없이 절제되었다. 종괴는 황색을 띠었으며, 병리조직검사상 지방모세포종으로 진단되었다.

  • PDF

우심실에 발생한 모세 혈관종 1례 보고 (Capillary Hemangioma of the Right Ventricle- A case Report-)

  • 송현;제형곤;나루토 마쯔다;이재원;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5호
    • /
    • pp.410-413
    • /
    • 2001
  • 심장에서 발생하는 모셀혈관종은 극히 드문 양성 종양이다. 본원에서는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13세 남자 환자에서,심포음파상 중등도의 혈류 폐쇄를 초래하는 우심실내 종괴를 확인한 후, 우심방을 통해 완전 절제하여 조직검사상 모세 혈관종을 발견하였기에 문헌고찰과 더불어 증례보고하는 바이다.

  • PDF

종격동 고형체로 오인된 정맥혈관종 - 1예 보고 - (Venous Hemangioma Mimicking Mediastinal Solid Mass -A case report-)

  • 박상준;조성우;이희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208-211
    • /
    • 2010
  • 종격동에 발생하는 혈관종은 전체 종격동 종양의 0.5% 이하로 드문 양성 질환이다. 이중 모세관혈관종과 해면혈관종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정맥혈관종은 국내에선 보고된바 없으며 세계적으로도 보고된 예가 드물다. 44세 여자 환자가 대장암 수술 후 추적관찰을 위해 시행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종격동 종괴가 우연히 발견 되었다. 우리는 이를 고형체로 의심하고 종격 내시경하 조직검사를 시행하던 중 출혈이 발생하여 개흉술로 전환한 후 완전 절제한 정맥 혈관종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기도 폐색을 유발한 성문부 거대 소엽성 모세관 혈관종 1예 (A Case of Giant Lobular Capillary Hemangioma in Glottis Causing Airway Obstruction)

  • 최전하;임성환;이미지;김승우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9-52
    • /
    • 2016
  • The lobular capillary hemangioma (LCH) was previously known to pyogenic granuloma and is benign vascular lesion which grows rapidly on skin and mucosa. It arises from whole body, but oral and nasal cavities are most predilection sites in the head and neck area. The laryngeal LCH looks like a granulomatous lesion of posterior glottis and its common etiology are tracheal intubation and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etc. The LCH in larynx can cause blood tinged sputum and lump sense. The lesions refractory to medical therapy or causing dyspnea may require surgical excision. A 74-year-old man who presented gradually aggravated dyspnea, lump sensation and hoarseness of one month came to our hospital. The stroboscopic examination revealed large well-margined glottic mass. It was excised with $CO_2$ laser and finally diagnosed as LCH. We present a rare unique case of glottic LCH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중심으로: 지방세포종, 섬유모세포성/근육섬유모세포성종, 소위섬유조직구종, 평활근종, 혈관주위종과 근골격종에 대하여 (Adipose Tumor, Fibroblastic/Myofibroblastic Tumors, So-called Fibrohistiocytic Tumors, Smooth Muscle Tumors, Pericytic Tumors and Skeletal Muscle Tumors: An Update Based on the New WHO Soft Tissue Classification)

  • 서경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
    • /
    • 2008
  • 연조직종양의 이해는 과거 10년 동안에 걸쳐 주요 변화와 더불어 실질적인 진보가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분류가 WHO에 의해 2002년에 이루어졌다. 이 개정은 이전에 발표와 상당히 다른 내용의 접근을 하였고, 이 작업에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그리고 임상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여기에서는 과거에 알고 있었거나 특성이 알려진 많은 종양을 포함하여 새로운 큰 변화나 작은 변화가 일어난 부분에 대해서 정리를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중심으로 지방세포종, 섬유모세포성/근육섬유모세포 성종과 소위섬유조직구종, 평활근종, 혈관주위종과 근골격종을 중심으로, 큰 변화와 작은 변화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새롭게 소개되는 병명을 소개하고 정리하였다. 이 새로운 WHO의 연조직종양의 분류를 이해하여, 종양의 진단과 예후의 재현을 용이하게 하는 필수적인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후종격동에서 발생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 (An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that Originated from the Posterior Mediastinum)

  • 송동섭;김지훈;정원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145-148
    • /
    • 2008
  •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은 드문 질환이며 인체의 거의 모든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다. 흉부영역에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이 주로 발생하는 위치는 폐와 기관지이다. 종격동에서 발생한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은 보고된 경우가 드물다.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 우연히 발견된 후종격동 종괴를 가진 환자에서 종괴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결과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으로 진단되었고, 결핵 PCR 양성을 보였다. 본 증례에서 결핵이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의 유발인자로 고려될 수 있었다.

종격동 내 지방모세포종 - 1예 보고 - (Mediastinal Lipoblastoma - A case report -)

  • 오세진;강창현;김주현;김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240-243
    • /
    • 2007
  • 종격동 지방모세포종은 미성숙 지방세포에서 발생하는 드문 양성 종양으로 주로 영아기에서 나타난다. 예후는 좋으나 종종 급격히 성장하거나 국소적으로 침범하기도 한다. 본 증례는 전 종격동에 발생한 지방모세포종으로 인해 빈번하게 폐렴이 발생한 3세 여아에 대한 보고로서,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심낭과 우측 폐 종격동 흉막 사이에 위치하여 주변장기를 압박하는 지방함유 종괴로 내부에 석회화나 낭성 조직을 함유하지 않았으며 완전 절제 후 병리 조직 검사에서 지방모세포종으로 진단되었다. 현재까지 합병증이나 재발의 증거 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폐에 발생한 원발성 혈관주위세포종 -1례 보고- (Primary Hemangiopericytoma of the Lung -1 Case Report -)

  • 최광민;김건일;신호승;박희철;홍기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315-318
    • /
    • 1998
  • 폐의 원발성 혈관주위세포종은 모세혈관의 혈관주위세포에서 기인하는 매우 드문 종양으로 30∼40대에 주로 발생한다. 대개 진단시 증상이 없으며, 악성 신생물인 경우가 많다. 단순 흉부 X-선사진에서 경계가 분명하며 분엽화된 균질의 연조직 음영으로 보이며,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조직검사상 얇은 벽을 갖고있으며 내피로 내경이 싸여진 여러개 혈관양의 공간이 나무가지 모양으로 배열되어있고 그주위에 난원형 또는 방추형 세포가 꽉 차있는 것이 보인다. 치료원칙은 수술적 절제이다. 저자들은, 16세 남자에서 우연히 발견된 좌하엽의 고립성 폐종양으로 좌하엽절제술을 시행한후 조직생검상 혈관주위종양으로 진단된 환자를 경험하였으며 수술후 8개월간 추적관찰 중이나 재발, 전이의 소견을 보이지 않아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어류의 공기호흡 기관 (Modified Organs of Air Breathing Fishes in Korea)

  • 김치홍;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0-254
    • /
    • 2011
  • 한국의 담수어류 중 짱뚱어, 큰볏말뚝말둥어, 말뚝망둥어, 미꾸리, 미꾸라지, 자가사리 등 모두 6종에서 공기로 호흡하기 위해 변형된 부속기관이 알려져 있다. 짱뚱어, 큰볏말뚝말망둥어, 말뚝망둥어, 자가사리 4종은 부족한 산소를 공기로부터 흡입하기 위해 호흡상피 (respiratory epithelium)를 갖는다. 이러한 호흡상피는 풍부한 모세혈관과 2종류의 선세포(점액세포와 곤봉세포-자가사리, 점액세포와 거대세포-짱뚱어) 또는 1종류의 선세포로 구성된 팽대세포 (말뚝망둥어와 큰볏말뚝망둥어)를 갖는다. 특히 거대세포 (swollen cell)는 상피세포의 팽대로 인해 형성된 거미줄 구조 (web-like structure)를 갖고 있다. 또한 짱뚱어의 진피성돌기 (dermal bulge)는 진피성 모세혈관이 매우 풍부하며, 지느러미 등의 부속지를 제외한 피부에 존재한다. 또한 미꾸리와 미꾸라지는 장 상피 (intestinal epithelium)에 모세혈관이 아주 풍부하게 존재한다.

파열된 원발성 악성 폐혈관주위세포종의 수술적 치험 -1예 보고- (Sugical Treatment of Ruptured Hemangiopericytoma of the Lung - One case report-)

  • 배미경;백효채;이창영;황정주;문은경;김태훈;조상호;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1호
    • /
    • pp.946-950
    • /
    • 2004
  • 혈관주위세포종은 모세혈관을 둘러싼 주위세포(pericyte)에서 발생하는 종양이다. 비록 혈관이 많이 분포한 장기이나 폐에서 발생은 매우 희귀하다고 알려진 악성 종양이다. 63세 여자 환자는 약 8년간 기침, 객담과 간헐적인 가슴통증을 호소하였으며 최근 3개월 간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호흡곤란 및 기좌호흡상태로 본원 흉부외과에 입원하였다. 침 폐조직 생검에서 폐혈관주위세포종으로 확인되었으며 흉부 X-선 소견,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진행된 폐종괴로 확인되어 항암약물치료가 예정되었다. 그러나, 흉곽의 대부분을 차지한 종양이 파열되고 흉관삽관술로 혈흉이 제거되지 않아 응급 개흉수술을 하여 응고된 혈괴제거 및 종양을 포함한 좌전폐절제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경과가 양호하여 술 후 7일째 퇴원하였다. 병리조직 검사상 악성 침습성 폐혈관주위세포종으로 확인되었고, 현재 방사선 치료 후 항암약물치료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