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성역할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6초

8개월된 아기 어머니의 모성역할 획득 모형 (Maternal Role Attainment at Eight Months following Birth)

  • Lee, Hae kyung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4-258
    • /
    • 1995
  • 아기의 출생은 부모에게 환경적, 신체적, 정신적 부담을 준다. 이렇게 부모가 된 사람들은 부모역할 수행시 어려움을 겪고 있고, 그 중에서도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역할수행시 더 많은 어려 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본 연구는 생후 8개월 된 아기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역할이 론을 토대로 모성역할 획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의 적합성을 검정하므로 써 어머니들의 모성역할 획득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간호 정보를 제공하려고 한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모성역할 긴장과 모성역할 획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 아기 기질, 사회적 지지가 포함되었고, 모성역할 긴장이 모성역할 획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이론적 기틀을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모성역할 획득 중 모성 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 Osgood(Walker et al., 1986a에서 인용)도구, 모성역할 수행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보완 된 Gibaud-Wallston(1977)도구와 어머니가 지각한 모아 상호작용정도 도구를 이용하였고, 모성역할 긴장측정에는 수정 보완된 Hobbs(정, 1985에서 인용)도구를 이용하였다. 아기 기질은 수정 보완한 The degree of thor inventory(Mercer, 1986 에서 인용), 남편의 정신적지지 측정은Taylor(Durrett, 1986에서 인용)의 도구를 이용하였고,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 남편의 신체적 지지 및 주위의 지지측정은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1993년 1월부터 1994년 1월까지 대전시 5개 보건소에 등록된 대상자들에게 우편으로 설문지를 보내어 221명이 회수되어 회수율이 약72%였다. 일반적인 서술적 자료 분석은 SPSS PC+ 를 이용하였고, 가설적 모형은PC-LISREL 7.13 (Joreskkog & Sorbom,1988)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성역할 획득에 모성역할 긴장,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 아기 기질, 사회적 지지가 영향을 주며, 모성역할 긴장에는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 아기 기질, 사회적지지가 영향을 준다고 설정된 가설적 모형〈Figure 1〉의 분석 결과 전반적 지수는 자유도 23에 카이자승치 60.17, GFI와 AGFI의 값은 .944, .891였고, NFI와 NNFI의 값은 .8823, .7932 이었다. 그러나 세부적 지수 중 모성역할 긴장에서 모성역할획득으로의 경로,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에서 모성역할 획득으로의 경로, 아기 기질에서 모성역할 획득으로의 경로의 고정지수가 절대치 2에 미치지 못하여, 세 경로계수를 영(0)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더 간명하며 부합도가 좋은 모형을 찾기 위하여 가설적모형에서 고정지수가 낮은 경로 부터 고정시켜 나가 세경로(모성 역할 긴장에서 모성역할 획득,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에서 모성역할 획득, 아기 기질에서 모성역할획득)를 고정시킨 수정 모형 의 PFI (간명도)가 .5986으로서 가설적모형의 PFI(간명도) .5636보다 커 부합도 를 손상하지 않고 더 간명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수정모형 의 고정 지수를 살펴 본 결과 절대 치 2에 미치지 못하는 경로는 나타나지 않았다. 공변량구조분석 결과 나타난 변인간의 관계를 보면 가) 모성역할 긴장은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Lisrel Estimates=-1.591), 아기 기질이 순하다고 생각할수록(Lisrel Estimates=-.266),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가 많을수록(Lisrel Estimstes=-1.771) 낮았고, 나) 모성역할 획득은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Lisrel Estimates=1.120) 잘 되었다.

  • PDF

산후 4개월된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 역할 긴장 및 모성역할 획득정도 차이 (A Comparison of Primiparous and Multiparous Mothers on Maternal Role Strain and Maternal Role Attainment)

  • 이혜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1-250
    • /
    • 1994
  • 어머니와 아기의 관계는 가장 기초적인 인간관계로서 아기의 탄생은 한 가족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아기 출산후 어머니들이 겪는 변화는 초산모와 경산모가 달라 새로 태어난 아기의 양육도 책임지며, 다른 자녀와의 관계도 유지해야하는 경산모는 초산모보다 더 많은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Rubin(1967)은 이것을 다자손(poly-Progeny)의 문제라고 서술하면서, 경산모의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그러나 사회에서나 간호현장에서는 처음 어머니가 된 초산모를 어떻게 도와야 하는가에 주로 관심을 갖고 있으며,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도 초산모를 대상으로 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후 4개월된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역할 긴장과 모성역할 획득정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모성역할 획득 중 모성역할 수행과 모성 정체감은 초산모와 경산모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아기와의 상호작용은 초산모가 경산모보다 더 많이 한다고 보고 하였다. 모성 역할 긴장은 경산모가 초산모보다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연령과 남편의 지지를 공변량 처리하여 보았을 때도 경산모가 초산모보다 모성역할 긴장을 더 느끼고 있었다.

  • PDF

구조모형을 이용한 모성역할 획득 이해 (대전에 사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Understanding Maternal Role Attainment in Taejon, Korea through the Use of a Structural Model)

  • 이혜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2-172
    • /
    • 1998
  • 모성역할 획득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이해한다는 것은 모성역할 획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실질적인 간호중재를 가능하게 한다. 생후 4개월된 첫 아기가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성역할 획득모형을 발전시키려고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설적 모형은 5개의 변수(모성역할 획득, 모성역할 긴장,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 아기 기질, 사회적지지)로 구성되었다. 대전시에 거주하는 대상자에게 전화를 통하여 동의를 얻은 후, 우편으로 250명에게 질문지를 보내어 161명(64.4%)으로부터 회수되었다. 자료를 Lisr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한 결과, 자료와 가설적 모형과의 전반적 지수는 자유도 21에 카이자승치 31.47, GFI와 AGFI의 값은 .970, .935였고, RMSR, NFI, NNFI는 각각 1.668, .9097, .9425이었다. 간명하고 부합도가 더 좋은 모형을 찾기 위하여 통계적 결과와 이론적 적합성에 따라 2경로(아기기질에서 모성역할 획득, 모성역할 긴장에서 모성역할 획득)를 고정시켰다. 수정모형의 PFI (간명도)가 .7297로 증가하여 수정모형이 더 간명하면서도 부합도가 좋은 모형으로 나타났다. 공변량구조분석 결과 나타난 변인간의 관계는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가 많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아기기질이 순하다고 생각할수록 모성역할 긴장은 적었고,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가 많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모성역할 획득은 잘 되었다.

  • PDF

모유수유 유무와 산후 4개월된 어머니의 모성역할 획득정도 차이 (Differences in Maternal Role Attainment for Breastfeeding and Bottlefeeding Mothers at Four Months after Delivery)

  • 이혜경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3-40
    • /
    • 1994
  • 모유수유 유무와 아기의 신체적, 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모유수유 성공에 영향을 주는 요소, 모유수유를 성공시키기 위한 전략 등 모유수유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다. 이에 비하여 모유수유가 어머니의 모성행위, 어머니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등 모유수유 유무가 어머니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많은 모성간호사들은 모유수유 어머니가 인공수유 어머니보다 아기 양육에 더 자신감을 갖고 있고,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더 만족한다고 믿고 있다. 또한 피치못할 사정으로 인공수유를 하는 어머니들 스스로도 모유수유를 하지 못함 때문에 아기에 대한 죄의식을 갖고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생후 4개월된 아기를 갖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유무와 어머니의 모성역할 긴장과 모성역할 획득 정도에 차이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정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모성역할 긴장에도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편의 지지와 친척 및 친구의 지지를 공변량으로 처리하여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정도에 차이를 알아 본 결과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 정도에 차이가 없었고, 모성역할 긴장 역시 차이가 없었다.

  • PDF

모성역할 증진 프로그램이 미숙아어머니의 모성역할 긴장, 양육 자신감, 모성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Maternal Role Promo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Role Strai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dentity)

  • 장영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472-480
    • /
    • 2005
  • Purpos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n maternal role strai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dentity of a maternal role promo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Method: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pre-and-post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two group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2 mothers from September 10. 2003 to August 30, 2004 at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located in S. city and K. city. The maternal role promotion program was provided three times during the period from two-three days after the baby's admission to 1 month after the baby's discharge. The instruments for measurement were the Perceived Role Difficulty & Steffensmeier Scale, Self Confidence Scale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mean and SD, $x^2$-test and t-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 role strain level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2.163, p=.035), in the maternal role confidence between the two groups(t=-5.645, p=.000) and in maternal identity between the two groups(t=-4.923, p=.000).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aternal role promotion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in decreasing maternal role strain levels and increasing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dentity.

  • PDF

초산모와 경산모의 모성역할 자신감에 대한 영향요인 비교 (Comparative Study on Predictors of Maternal Confidenc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 정성석;정경화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181-189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maternal confidenc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mot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enrolled in this study were 145 mothers between 2 and 5 days postpartum.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X^2$ 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predictors of maternal confidence among primipara mothers were social support, self-esteem, mode of delivery ($R^2$=.287, p<.001). Whereas, gender of baby, antenatal fetal attachment, and educational status explained maternal confidence among multipara mothers ($R^2$=.270, p<.00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when nurses develop programs to encourage maternal confidence for new mothers, they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between predictors of maternal confidence according to the mothers' experience of birth.

융복합 시대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에 모아애착 및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Social Support on the Maternal Role Adaptation of Employed Mothers in Convergence age)

  • 김지언;김미옥;이수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379-38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 강화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H시 거주 24개월 이하 영아를 둔 취업모 137명으로 편의추출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ANOVA,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모성역할적응은 모아애착(r=.488, p<.001), 사회적지지(r=.718,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에는 사회적지지(β=.616), 출생 시 아기상태(β=.123), 현재 모유수유 여부(β=.127) 및 모아애착정도(β=.141)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55.5%(F=43.487, p<.001)이었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진바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을 위해 가족, 직장 및 지역사회에서의 사회적지지 강화를 위한 다양한 중재 전략이 요구된다.

성인지적 관점의 여성장애인 모성권(임신과 출산,자녀양육)보장을 위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 (Supporting plan of disabled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Securing the Maternity Rights (Pregnancy·Childbirth·Child Rearing) of Disabled Women from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 최선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97-107
    • /
    • 2018
  •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의하면 여성장애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 기관이 장애인복지관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복지관의 역할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장애인복지실천 현장에서 모성권 보장을 위한 프로그램은 미비한 수준이며, 실태조사 역시 파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이 제공해야 할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 필요성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첫째, 보건복지부의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자료를 추가하여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관련 애로사항과 필요한 서비스를 분석하고 둘째, 모성권을 보장해야 하는 법적 근거와 법적근거에 기반한 현존하는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법적인 근거에 기반한 모성권 관련 프로그램은 존재하고 있으나 여성장애인이 경험하는 모성권 관련 애로사항과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서비스는 미비한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지역거점의 장애인 복지관은 성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여성장애인의 모성권 확립을 위한 중심적 역할로서 임신, 출산, 양육에 대한 기초상식 정보제공을 위한 매뉴얼 개발, 출산관련 상담서비스 지원, 자조모임 활성화 추진, 가족을 위한 개별화된 프로그램, 의료기관 연계, 사례관리 지원 등의 구체적인 서비스 지원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가정간호기반 모성역할강화 프로그램이 초산모의 모성정체성과 모성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ome care nursing based maternal role strengthening programs on the maternal identity and confidence of maternal role on first-time mothers)

  • 채미영;황문숙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8-98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test a maternal role strengthening program based on home care nursing.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Changes in the variables(maternal identity and confidence of maternal role) were evaluat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Participants were first-time mothers receiving home care nursing from S Medical Center following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experimental group 29; control group 29).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08 to February 2009. $X^2$-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were used to analyse the data. Results: Hypothesis 1,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is program would experience a stronger maternal identity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7.990, p=<.001). Hypothesis 2,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confidence in their maternal role than the control group, was also supported(t=-10.109, p=<.001). Conclusion: The maternal role strengthening program based on home care nursing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means of improving maternal identity and confidence of maternal role. As these traits are developed once the baby is born, active nursing programs which provide continuous training and demonstrations to mothers are needed prior to hospitalization and following hospital discharge.

  • PDF

퇴원교육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역할 자신감,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 권희경;권미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58-6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o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ho delivered premature infants. The program provided them with information on childrearing and supportive educational nursing care. Method: This study was based on pretest-posttest nonequivalent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 mothers who delivered premature infants at a general hospital in G c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Maternity Confidence Inventory, Parenting Stress Index(PSI). Results: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undergo changes in maternal role confidence after the intervention was accepted, 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 groups(F=9.386, P=.000). The second hypothesis that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undergo change in parenting stress after the intervention was accepted, 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 groups(F=4.425, P=.380).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ischarge Education Program was an efficient intervention method to boost the maternal confidence of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and to decrease their parenting str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