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섬유

Search Result 89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imulatio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Production in Dermal Fibroblasts by Areca catechu Extract (진피섬유모세포에서 대복피추출물의 세포외기질 합성 촉진 효과)

  • Lee, Min-Ho;Kim, Hyung-Jin;Jung, Hyun-Ah;Lee, Young-K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4
    • /
    • pp.1857-1862
    • /
    • 2013
  • Dermal fibroblasts produce the many components of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that are needed to maintain connective tissue integrity and repair tissue injur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reca catechu extract (ACE) on dermal fibroblast cell activation.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were treated with ACE, and then ECM production was determined by ELISA, Western blot and RT-PCR. ACE significantly accelerated the production of type 1 collagen, fibronectin,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 by ELISA and type 1 collagen by Western blot assay. ACE also increased the gene expression of COL1A1, TGF-${\beta}1$, 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and insulin growth factor (IGF)-1.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E has the potential to stimulate ECM production and that it might be suitable for maintaining skin texture.

The surface modification research of Polypropylene by plasma discharge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Polypropylene 섬유의 표면개질 연구)

  • Lee, Chang-Seok;Kwon, Young-Mi;Ryu, Sun-A;Jo, Jang-Hoon;Jo, Ha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34-34
    • /
    • 2012
  • Polypropylene 섬유는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 섬유 소재로 환경친화성, 경량성, 신축성 등 다양한 기능성을 보유하여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의류 및 인테리어용으로 채택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olypropylene 섬유는 다른 섬유에 비해 융점이 매우 낮아 내열성이 약하여 가공 공정시 고온을 피해야 하고, 곁가지가 거의 없고 섬유 분자 구조가 매우 조밀하며 탄소와 수소로만 이루어진 분자구조에 의한 극소수성 성질 때문에 다른 종류의 물질들과 접착력이 없어 사용에 제약을 주어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Polypropylene 섬유의 제품화에 필요한 요소 기술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대기압 플라즈마를 적용하여 소수성 표면을 지니는 표면을 친수화 함으로써 polypropylene 섬유에 후가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Plasma 표면 처리에 의해 polypropylene 섬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 표면을 친수화 함으로써 습윤성, 접착성 등 다양한 가공 기술을 적용하여 PP 섬유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모폴로지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 (FE-SEM)으로 확인하였으며 표면개질 효과는 Wicking Test로 평가하였다.

  • PDF

Involvement of apoptotic signals in cyclosporin A-induced prolifer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사람 치은 섬유모세포에서 Cyclosporin-A 유도 세포증식에 대한 항세포고사 기전)

  • Jeong, Tea-Sul;Chung, Hyun-Ju;Kim, Won-Ja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3
    • /
    • pp.731-745
    • /
    • 2005
  • Cyclosproin A(CsA)는 세포 이식거부방지를 위한 면역 억제제 및 자가 면역질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CsA는 매양된 사람 치은섬유아세포를 증식시킴이 알려져 있지만 CsA에 의한 세포증식기전에 대한 세포사멸기전 및 Bcl-2의 역할은 연구되어 있지 않다. 이번 연구는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CsA에 의한 세포증삭기전에 세포고사기전 및 Bcl-2 family가 관여하는지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세포 생장력은 MTT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Bcl-2 family와 Fas 발현 정도는 RT-PCR 방법이나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Caspase-3 및 -9의 활성은 ELISER reader로, reactive oxygen species(ROS)는 fluorescence spectrometer에 의해 측정되었다.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 분비된 cytochrome c는 Western blot으로 조사하였다. CsA는 $0.1{\sim}10\;{\mu}M$에서 사람 섬유아세포의 생존률을 시간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50 ${\mu}M$ CsA에서는 오히려 세포가 죽였다. 또한, CsA 처리로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 유리되는 cytochrome c 양과 VDAC 1 및 3 발현량이 감소되었고, caspase-9과 caspase-3의 활성도도 감소되었다. 한편, CsA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death receptor 구성요소인 Fas 발현이 감소되었다. Bcl-2 family에 대한 RT-PCR, western blot 분석결과, 세포고사를 억제하는 Bel-2 발현은 증가되었으나 세포고사를 자극하는 Bax와 Bid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CsA유도 세포증식에 Bcl-2 family와 ROS가 매개하는 미토콘드리아 의존 및 death receptor 의존 세포고사기전이 관여함을 시사하였다.

염색 보조제가 한지의 천연염색에 미치는 영향

  • 최태호;조남석;이유진;이연숙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16-217
    • /
    • 2001
  • 인류문명과 같이 시작한 천연염색은 생산량의 한정 염색물의 견뢰도 불량, 염색시 얼룩생성의 용이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화학염료가 발명되면서 점차 쇠퇴되었다. 그러나 천연염료로 염색한 염색물은 합성염료로 염색한 염색물에 비하여 그 색상이 자여스럽고 우아하며, 염색재료 대부분 한약재인 것이 많아 약리 효과를 갖는것이 많고, 최근 대두되고 있는 공해문제 해소에도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물성 섬유(견, 모)는 단백질 섬유로서 매여제를 쓰지 않고도 염색이 잘되는 편이지만, 식물성 섬유인 면, 마 등은 섬유소이므로 색소의 흡착이 불량하여 염색보조제로 전처리 한 다음, 주매염제를 처리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ㅣ. 식물성 섬유의 일종인 인피섬유로 이루어진 한지의 천연염색 효과 향상을 위해 염색 보조제로 전처리 한 것과 무처리 한지의 염색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21C 감성의 패션과 섬유예술의 비젼

  • 이진봉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11-15
    • /
    • 2004
  • 오늘날 전 세계는 과학의 진보, 컴퓨터 통신의 눈부신 발달에 따른 인터넷 등 모든 분야에 있어서 너무나 빠른 가속도의 변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에 따른 섬유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패션산업은 21C에 접어들면서 실용성에 예술성향이 복합된 효과를 대중과 함께 호흡할 수 있게 되었으며 중국이 급부상하면서 여러 분야에 걸쳐 세계는 아시아권에 관심과 주목을 받게 되는 즈음, 중국을 배경으로 한국과 일본의 득과 실에 대해 특히 섬유소재분야와 패션분야에 대한 교육과 산업의 냉철한 판단을 비교 분석하여 보기로 한다. (중략)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co-trimethylene 2,6-naphthalate) Copolymers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co-trimethylene 2,6-naphthalate) 공중합체의 합성과 분석)

  • 김영호;최재원;서용환;이한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1-44
    • /
    • 2002
  • 블렌딩이나 공중합체의 합성은 한가지 또는 모든 구성성분 고분자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효과적인 물성 발현을 위해 연구되어 왔다. 특히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들 사이에서는 PET/PEN, PEN/PHN, PBT/PBN, 또는 PET/PBT 등의 공중합체가 보고되고 있다[1-3]. 한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TT)는 최근 섬유로 방사되어 카펫, 의류 등으로 응용된 이후 PTT를 주성분으로 하는 bicomponent 멜트블로운 부직포[4], 염색[5]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Synthesis of Metal Containing Acid Dyes with J-acid series and their Application (함금속 산성염료의 합성과 염색에 관한 연구)

  • 안상범;모중환;김재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31-232
    • /
    • 2003
  • 산성염료는 양모나 나일론 등 폴리아미드 섬유에 염착을 하여 염색이 되는 염료이다. 산성염료의 염색 견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금속매염을 이용하는 경우와 함금속 산성염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1-21. 특히 나일론의 경우는 산성염료로 염색시 낮은 흡착률과 견뢰도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크롬, 코발트 등의 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구조의 함금속 산성염료를 합성하고 염색성과 견뢰도를 조사하였다. (중략)

  • PDF

Environmental Stability of EMI Shielding PET Fabric/Polypyrrole Composite (전자파차폐 PET직물/폴리피롤 섬유복합체의 안정성)

  • 김한균;변성원;정성훈;홍영기;주진수;송기태;박연흠;이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10-313
    • /
    • 2001
  • 전자파나 정전기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이에게 공통의 관심점이 되고 있고, 문명이 발달할수록 전자기기의 사용이 증대되면서 전자파 및 정전기의 발생은 그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다. 80년대 초부터 미국에서는 각종 유해 전자파로부터 정밀 전자기기의 보호 및 이로 인한 오동작의 방지 등을 위하여 전자파규제를 하기 시작하였고, 오늘날에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중적 우려에 의하여 그 필요성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중략)

  • PDF

Rheological Behavior of PVA Sizing Agents for Filament Yarn (필라멘트사용 PVA 호제의 유변학적거동)

  • 장갑식;박정우;안승국;송기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459-461
    • /
    • 2001
  • 호부(sizing)의 목적은 제직시 발생하는 마찰, 긴장 등으로부터 경사를 보호하는데 있다. 방적사의 경우에는 제직시에 직기와의 접촉부위에서 받는 마찰로 인해 모우가 발생하고 이들은 다시 종광에 달라붙어 엉키거나 이웃한 실과 엉키어 경사절을 발생시키므로 제직효율 및 최종직물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때 사용되는 호제는 경사를 구성하는 섬유를 접착하여 포합성을 증가시키고 실 외부를 피복해서 모우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Natural Colorants Using Algae (해조류를 이용한 천연염료 개발[1])

  • Choi, Min;Shin, Youn-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66-66
    • /
    • 2011
  • 우리나라 근해의 풍부한 해양자원인 해조류를 염재로 한 천연염료의 제조는 자원의 부가가치를 높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색소성분의 발굴과 함께 천연염색의 색상 다양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자생 해조류로부터 다양한 색상을 얻기 위해 여러 가지 추출공정을 사용하여 색소를 추출하고 염색성을 조사하여 새로운 염재로서의 유효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한 해조류는 제주에서 자생하는 구멍갈파래, 청각이다. 해조류 색소를 추출하여 분말화 형태로 만들어 염색하였고 추출공정에 따른 다양한 색상 구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해조류 색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UV-Vis, FT-IR 분석에 의해 그 성분을 확인하였다. 염색은 면섬유, 견섬유, 모섬유, 나일론섬유를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추출공정의 다양화를 통해 해조류 색소를 직물에 염색했을 때 직물의 색상과 염착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세탁, 마찰 그리고 일광에 대한 견뢰도를 측정하였다. 색소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해조류 색소분말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공정을 달리하여 제조한 해조류 색소는 다양한 색상구현에 적합하였고, 견직물과 모직물에 염착이 잘 되었다. 또한 해조류 색소는 항균성을 지녀 향후 기능성 천연염료로서 응용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