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살용접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냉간성형 각형강관 모살용접 T형 접합부의 최대내력(I) - 주관 플랜지 파괴모드 - (Ultimate Strength of Fillet-welded T-joints in Cold-formed Square Hollow Sections - Chord flange failure mode -)

  • 배규웅;박금성;강창훈;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311-318
    • /
    • 2002
  • 본 논문은 냉간성형 각형강관 T형 접합부의 최대내력과 변형제한치에 대한 연구이다. 전회의 실험적 연구로부터, T형 접합부는 주관폭에 대한 지관폭의 비(${\beta}$) 0.8이하의 범위에서 변형의 증가와 함께 내력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일정한 변형량(주관플랜지에서의 변위)에 대응하는 하중을 T형 접합부의 최대내력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폭비(${\beta}$)와 주관 두께에 대한 폭의 비(B/T)가 주관 플랜지 파괴모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Kato에 의해 수행된 실험을 포함한 실험결과로부터 $16.7{\leq}B/T{\leq}41.6$ 이고 $0.27{\leq}{\beta}{\leq}0.8$ 인 범위의 T형 접합부에 대하여, 최대내력을 정의를 위한 변형제한치는 주관폭의 3% 변형량(3%B)으로 제안하였다. CIDECT의 설계식 및 기존의 제안내력식과 실험결과를 비교하였고, 최종적으로 항복선이론에 근거한 내력식을 제안하였다.

크레인 거더의 피로균열에 관한 실험적 연구(I) -피로균열의 발생과 진전- (Experimental Study on Fatigue Crack in Welded Crane Runway Girders(I) -Initiation and Propagation of Fatigue Crack-)

  • 임성우;김진호;장인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통권31호
    • /
    • pp.237-248
    • /
    • 1997
  • 크레인 주행거더에서 빈번히 발생되는3 종류의 균열을 재현하기 위해서 거더 길이 640 mm, 높이 600 mm, 폭 300 mm의 시험체 2기를 제작하여 피로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체의 균열은 재하점 부근과 가세트 단부 및 하부플랜지와 웨브의 모살용접부에서 발생하였다. 재하점 근방의 균열은 수직보강재가 위치한 상부플랜지와 웨브 사이의 모살용접부에서 발생해서 웨브의 대각선 방향으로 진전하였다. 또한 하부플랜지 종비드에서 발생된 균열은 주행거더방향에 수직으로 성장하였다. 크레인 주행거더의 각 부위의 피로등급은 JSSC 피로설계지침의 피로등급과 비교해 보면, 재하점 근방의 모살용접부는 E 등급, 가세트 단부는 G 또는 H 등급, 하부플랜지 종비드 부위는 D 등급 정도로 나타났다. 가세트 단부와 종비드 부위는 피로설계지침과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외측 다이아프램을 사용한 현장 용접형 각형강관기둥-H형강보 접합부의 이력거동 (Seismic Behavior of H shaped Beam to Square Column Connection with Outer Diaphragm Using Field Welding)

  • 서성연;정진안;최성모;김성용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통권77호
    • /
    • pp.459-467
    • /
    • 2005
  • 본 연구는 외측 다이아프램을 사용하여 현장용접에 의한 각형강관 기둥과 H형강 보를 접합법의 개발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것은 현장용접을 이용한 외측 보강재에 의한 특정 타입의 기둥-보 접합부이다. 이 접합부의 구조적 거동은 실험적으로 검토되었다. 두 가지 하중 유형 실험은 세부적으로 주어진 실험 변수 하에 수행되었다. 먼저 제안된 접합부의 기본적인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양단부에서 보를 핀 지지한 후 중앙점에서 기둥을 가력한 대칭 하중재하 실험을 기술하였다. 두 번째는 이 접합부의 구조적 성능을 연구하기 위하여 기둥의 양단은 단순지지로 하고 H형강 보 양단에서 하중을 제어하는 역대칭 하중재하 실험을 기술하였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외측 보강재 타입의 접합부는 정량적 평가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보강 모살용접 각형강관 T형 접합부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연구( II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Square Hollow Steel Section T-joints to be fillet-welded without Reinforcement)

  • 배규웅;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통권28호
    • /
    • pp.35-4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xperimentally the strength and deformation of T-joints to improve the structural behavior of truss connection consisted in square hollow steel section. There are two-types to be changed in T-joint shape. One type is TP-series that a brace member is rotated to 45 degree, another type is TR-series that a chord member is rotated to 45 degree. The most important results obtained from the 2nd experiment on the T-joints is as follow; The yielding strength and initial stiffness of TP-series increase more than a current type(TS-series) in $0.6{\leq}{\beta}(d/D){\leq}0.7(0.85{\leq}{\beta}$'$(={\sqrt2}{\cdot}{\beta}){\leq}1.0)$.

  • PDF

폭두께비가 큰 각형CFT 단주의 설계식 (Design Equation for Square CFT Columns with Large Width-to-Thickness Ratio)

  • 김선희;최영환;최성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537-544
    • /
    • 2009
  • AISC(2005)나 KBC(2005)등의 기준에서는 콘크리트 충전 강관(Concrete Filled Steel Tube) 기둥의 내력산정에서 폭두께비의 제한을 두고 있으며 최대 폭두께비를 초과하는 기둥에 대해서는 설계식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stiffened (양단지지) 플레이트에서는 좌굴이 발생하더라도 바로 내력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상당한 양의 좌굴 후 강도를 발휘할 수 있어 폭두께비가 큰 강관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다는 점을 착안, 유효폭 개념을 도입해서 폭두께비가 큰 각형 CFT의 강도를 계산할 수 있는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AISC 2005, KBC 2005와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식을, 폭두께비를 변수로 수행한 4개의 각형 CFT 기둥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며 제안된 설계식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Uy(2005), Dalin Liu(2005)는 폭두께비가 큰 단주 CFT에 한에서 선행 연구된 실험데이타를 근거로 제안 설계식을 단순적용 하였다. 폭두께비가 초과된 각형CFT 단주를 검토 대상기본으로 1. 용접 조립된 정사각형 단면 2. 모살용접된 정사각형 단면 (b/t 60mm. 80mm, 100mm) 3. 한 폭면의 폭두께비가 초과하는 직사각형단면의 (b/t 45.5) 실험체를 선정하여 제안식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냉간성형 각형강관 모살용접 T형 접합부의 최대내력(II)-주관웨브 파괴모드- (Ultimate Strength of Fillet-welded T-joints in Cold-formed Square Hollow Sections-chord web failure mode)

  • 배규웅;박금성;강창훈;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403-411
    • /
    • 2002
  • 본 논문은 냉간성형 각형강관 T형 접합부의 최대내력과 병형제한치에 대한 두 번째 연구이다. 전회의 실험적 연구로부터, 주관폭에 대한 지관폭의 비($\beta$)가 0.8이상인 T형 접합부는 뚜렷한 최대의 하중을 나타내고 접합부의 파괴모드는 주관 웨브의 좌굴파괴이다. 주관 플랜지 파괴모드의 T형 접합부와 유사하게, 일정한 변형량(주관플랜지에서의 변위)에 대응하는 하중을 T형 접합부의 최대내력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Kato와 Zhao에 의해 수행된 실험을 포함한 실험결과로부터 $10.7{\leq}B/T{\leq}42.3$ 이고 $0.8{\leq}{\beta}{\leq}1.0$ 인 범위의 T형 접합부에 대하여, 최대내력을 정의를 위한 변형제한치는 주관폭의 3% 변형량(3%B)으로 제안하였다. CIDECT의 설계식 및 기존의 제안내력식과 실험결과를 비교하였고, 최종적으로 기둥좌굴에 근거한 내력식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