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표준 플랫폼

Search Result 14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PI-compatible Platform based on OpenOS (OpenOS 기반 WIPI 호환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 Kim Byung-Gook;Choi Byoung-Kyu;Heu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379-381
    • /
    • 2006
  • 모바일 표준 플랫폼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어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환경을 제공하는 국내 모바일 표준 플랫폼이다. 2002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현재 WIPI 2.0 규격을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가 출시된 상황이다. WIPI 2.0 규격은 PC연결 등의 표준 입출력, 폰카메라, 위치알림 기능, 보안통신 등의 서비스까지 규격화하고 있으며, 차기 버전에서는 휴대폰은 물론 휴대인터넷이나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단말기 플랫폼으로의 확장도 모색되는 등 발전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WIPI가 고려되지 않고 설계된 현재의 운영체제상에서 구현된 표준 플랫폼은 설계상 제한이 있으며, 미들웨어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특정하드웨어와 운영체제에서의 WIPI 지원여부에 따라 응용 분야에 제약이 가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개발된 오픈소스기반 운영체제인 OpenOS의 커널수준에서 WIPI 표준 플랫폼의 HAL(Handset Adaptation Layer)과 WIPI-C 필수 API를 구현하여 성능의 개선과 표준 플랫폼을 위한 운영체제로의 발전 및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AP2.0 Micro Browser for Mobile Standard Platform, WIPI (모바일 표준 플랫폼 WIPI를 위한 WAP2.0 마이크로 브라우저의 설계 및 구현)

  • Choi, Woo-Young;Heu,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d
    • /
    • pp.412-414
    • /
    • 2003
  • 모바일 표준 플랫폼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는 하드웨어 독립적으로 설계되어 어떠한 무선단말기에도 사용가능하며 개발언어인 C와 자바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국내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이고 WAP2.0(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규격은 XHTML의 사용으로 유.무선 인터넷의 통합 컨텐츠 제공이 가능한 무선 응용프로토룰이다. 본 논문에서는 WIPI 표준 플랫폼에서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활용을 위해 XHTML을 마크업 언어로 채용한 WAP2.0 규격의 마이크로 브라우저 원형(Prototype)을 설계하여 구현하였고 WIPI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응용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마이크로 브라우저의 동작실험을 함으로써 WIPI 표준 플랫폼을 위한 WAP2.0마이크로 브라우저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Standardization Trends on Wireless Internet Platform (무선인터넷 플랫폼 표준화 동향)

  • 이준섭;민재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05a
    • /
    • pp.377-379
    • /
    • 2002
  • 현재 국내의 모바일 플랫폼 기술은 세계 최고이지만, 3개의 이동통신 사업자를 중심으로 다수 플랫폼이 경합을 벌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컨텐츠 개발자들은 하나의 컨텐트를 다수의 플랫폼용으로 개발해야 하는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컨텐츠 프로바이더와 이동통신 3사의 요구에 의해 새로운 표준 플랫폼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플랫폼의 개념 및 국내외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 무선 인터넷 표준화 포럼에서 진행 중인 모바일 플랫폼 표준화 현황을 살펴본다.

  • PDF

Development of LBS Terminal Standard Platform based on WIPI (위피 기반 LBS 단말 표준 플랫폼 개발)

  • Jang, Jeong-Ah;Choi, Hai-Ock;Kim, Kyong-Ho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4A no.5
    • /
    • pp.309-316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the LBS Terminal Standard Platform based on WIPI. The LBS Terminal Standard Platform based on WIPI is API for ob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obile standard platform providing the environment which is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an platform an application. The mobile Platform consists of HAL API, C API and Java API that it is able to process Location Information data among wireless network. It is defined and developed at the HAL sections and C sections based on Generic I/O, and It describes in details in this paper. This standard Platform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e specification in developing the LBS Terminal development technology and standard method to LBS application developers.

SCA Software Framework for SDR Mobile Platform (SDR 모바일 플랫폼을 위한 SCA 소프트웨어)

  • Kim, C.K.;Lee, C.Y.;Shin, Y.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8 no.5 s.83
    • /
    • pp.27-36
    • /
    • 2003
  • 본 논문은 SDR Forum에서 SDR용 모바일 플랫폼 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표준으로 인정된 차세대 개방형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인 SCA의 구조에 대해 기술한다. SCA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는 궁극적으로 단일 모바일 플랫폼 환경에서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 무선으로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의 동작으로 다양한 무선 접속환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내장형 시스템 소프트웨어들의 표준을 추구한다. SCA는 분산 객체 모델의 표준인 CORBA Middleware와 더불어 다중 무선접속 응용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하여 컴포넌트 구성물의 수행을 뒷받침하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구조로서 크게 RTOS, CORBA Middleware, CF, Portable Software Resource로 이루어진다. 본 고에서는 SCA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의 기본 구조와 기능들을 최신 표준 동향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개발 사례에 대해서도 간단히 소개한다.

스마트 서비스 구현을 위한 개방형 전자정부 모바일 표준프레임워크

  • Im, Cheol-H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9
    • /
    • pp.65-71
    • /
    • 2013
  •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도입 활용되면서 서비스가 특정 플랫폼이나 환경에 제한 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 접근성을 만족하는 것이 스마트 서비스 제공의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또한, 개발자들이 복잡한 앱 기술 보다 HTML5등 기존 웹 개발 기술을 활용하고 네이트브 앱에서 제공하던 단말 기능을 웹 기술로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전자정부 모바일 표준프레임워크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하여 AJAX 프레임워크와 하이브리드 앱 기반의 실행환경을 도입하였다. 또한, 개발자 편의성을 위한 개발환경, 재사용성 증대를 위한 공통컴포넌트, 가이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모바일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여러 공공서비스에 활용 되어 왔으며, 공공정보화 분야와 민간 기업 환경에서 핵심적인 기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표준프레임워크에서 활용된 기반 기술, 적용 아키텍처 및 주요기능, 활용사례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Design of 3D API based on WIPI (WIPI 기반 3D API 설계)

  • Son, Min-Woo;Heo, Won;Shin, Dong-Kyoo;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703-705
    • /
    • 2003
  • 무선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휴대폰 단말, 모바일 통합 플랫폼, IMT 2000 관련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으로 가입자들이 급속히 확산되어 가고 있다. 또한 수 년 전부터 무선인터넷 등장과 이로부터 파생되는 전체 산업의 구조 변화가 크게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현재 IMT 2000은 국내 이동통신사들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서비스 준비를 끝내고 도약을 위한 준비가 한창이고 2001년 중반 이후 개발이 시작된 모바일 표준 플랫폼 WIPI(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가 국내의 통합 플랫폼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표준 플랫폼 WIPI에서도 3D 컨텐츠가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WIPI 기반의 3D API 개발을 위한 설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Map Service on the WIPI Platform (WIPI 플랫폼에서 모바일 맵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 Choi Jin-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457-460
    • /
    • 2006
  • For avoiding the waste of costs for building each mobile platform according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vender, KWISF proposed WIPI platform standard. Already the venders are providing mobile map services which are adapted on their own platforms. Because the integration of various mobile platform was performed to WIPI standard, the changes of platform and component API may cause the environment changes of mobile nap services. This study show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results of mobile map services adapted to WPI environments.

  • PDF

S-100 기반 On-Shore 항행정보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연구

  • Jang, In-Seong;Lee, Chung-Ho;Kim,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39-241
    • /
    • 2014
  • 최근 S-100 표준을 기반으로 웹 상에서 표준화된 전자해도 및 항행정보의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S-101의 전자해도, S-102의 해저지형 등과 같은 데이터 표준들은 어느 정도 완성이 되어 제시되고 있으나, 선박과 선박, 선박과 항만, 또는 선박/항만과 대국민 사이에 항행정보의 웹 서비스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표준들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SO 19100과 OGC의 공간정보 표준을 참고하여 개발되고 있는 S-100 표준의 상황을 고려하여 S-101의 전자해도 표준과 공간정보의 WMS, WMTS 등의 웹 서비스 표준을 수용하는 On-Shore 항행정보 서비스 플랫폼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된 On-Shore 항행정보 서비스 플랫폼은 전자해도, 공간정보, 날씨, AIS 정보 등의 융합 서비스가 가능하며, WebApp 서비스 또는 앱 지원을 통하여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도 손쉽게 항행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 PDF

모바일 웹 플랫폼 기술 표준화 동향 및 전망

  • Kim, Hae-Yeong;Choe, Un-Hae;Lee, Gyeong-S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5
    • /
    • pp.24-29
    • /
    • 2010
  • 본고에서는 모바일 웹 플랫폼과 관련된 기술의 표준화 동향 및 향후 전망에 대하여 알아본다. 최근 웹 어플리케이션을 위젯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기술의 표준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표준화 단체인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와 Open Mobile Terminal Platform (OMTP)에서는 위젯과 디바이스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에 대한 규격 표준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기술은 모바일 웹 어플리케이션이 Native 언어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과 동등한 수준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표준 위젯 규격에 기반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유통 환경으로 확대하기 위한 산업 표준 단체로서 최근 Joint Innovation Lab (JIL)과 Wholesale Applications Community (WAC)이 설립되었다. JIL과 WAC은 다수의 이동통신사의 연합체로 구성되어 개발자와 이용자, 단말에서 네트웍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관련 표준 규격을 정의하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WAC은 기존 산업 표준의 적극적 채용, 신속한 상용서비스 도입 등을 통해 산업과 소비자의 필요를 충족시키려 함으로써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