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서비스 구현을 위한 개방형 전자정부 모바일 표준프레임워크

  • 임철홍 (SK C&C 텔레콤솔루션사업팀)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도입 활용되면서 서비스가 특정 플랫폼이나 환경에 제한 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 접근성을 만족하는 것이 스마트 서비스 제공의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또한, 개발자들이 복잡한 앱 기술 보다 HTML5등 기존 웹 개발 기술을 활용하고 네이트브 앱에서 제공하던 단말 기능을 웹 기술로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전자정부 모바일 표준프레임워크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하여 AJAX 프레임워크와 하이브리드 앱 기반의 실행환경을 도입하였다. 또한, 개발자 편의성을 위한 개발환경, 재사용성 증대를 위한 공통컴포넌트, 가이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모바일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여러 공공서비스에 활용 되어 왔으며, 공공정보화 분야와 민간 기업 환경에서 핵심적인 기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표준프레임워크에서 활용된 기반 기술, 적용 아키텍처 및 주요기능, 활용사례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안전행정부 고시 "제2013-18호.
  2. JQueryMobile, http://jquerymobile.com.
  3. SenchaTouch, http://www.sencha.com.
  4. 임철홍, 정창성, "모바일 하이브리드 앱 구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 및 패턴 연구", 인터넷정보학회 2012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 PhoneGap, http://www.phonegap.com.
  6. MWBP, http://www.w3.org/TR/mobile-bp/
  7.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http://www.egovframe.go.kr.
  8. 임철홍, 전만성, 이봉옥, 김영우, 이영곤, "상호운용성과 재사용성 증대를 위한 전자정부 표준 개발프레임워크 구축 사례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 춘계학술대회
  9. "경남도청 모바일 홈페이지 구축 사례", 2012년도 표준프레임워크 우수사례 설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