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소프트웨어 개발

Search Result 34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Improvement Framework for XP-Based Mobile·Embedded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XP 기반의 모바일·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개선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Sung-Wook Lee;Haeng-Kon Kim;Youn-Ki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546-549
    • /
    • 2008
  • 최근 모바일·임베디드 시스템의 품질 향상 노력의 일환으로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 개발에 더 관심을 가지며 비중 또한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특정 목적을 위해 개발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표준화된 개발 프로세스 없이 개발되는 경우가 많다. 또는 기업 자체 개발 방법론으로 개발하거나 알려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으로 개발하기도 한다. 하지만 잦은 요구사항 변경과 시스템의 결함 등 프로젝트의 실패는 줄어들지 않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임베디드 개발 프로세스의 개선으로 품질향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에 있어서 대기업에서는 CMMI 수준 달성을 위한 노력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이 모델은 일반 중소규모 기업에 적용하기에는 부담이 너무 크다는 단점이 있고 비용 또한 만만치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XP의 실천사항을 바탕으로 모바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은 제품 품질 향상과 함께 CMMI 수준 달성에 기여·활용하게 된다.

A Study on Tool and Methodology of Embedded Software Development for Mobile Convergence using MDA (MDA 기반 모바일 컨버전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및 방법론에 관한 연구)

  • Park Eun-Ju;Kim Hae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15-218
    • /
    • 2006
  • 모바일 인터넷과 다양한 정보단말기의 보급,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다양화와 복잡도가 증가하면서 소프트웨어 간에 상호운용성과 이식성의 결여로 인해 플랫폼 독립적인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특정 플랫폼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들은 특정 단말기를 통해 연동되므로 차세대 컨버전스 기술을 위한 미들웨어 융합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플랫폼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개발과 변환을 위해 MDA 기반 소프트웨어 지원 도구 개발과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는 미들웨어 융합 시스템 개발 및 모바일 컨버전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차세대 품질보장형 모바일 컨버전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본적인 기능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Mobile Software Platform Trends for Smartphone (스마트폰용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 동향)

  • Kim, D.H.;Ryu, C.;Lee, J.H.;Kim, S.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3
    • /
    • pp.1-10
    • /
    • 2010
  • 최근 모바일 시장의 패러다임이 개방형으로 변화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도 사용자에게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콘텐트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모바일 시장에서는 애플의 아이폰, 구글의 안드로이드폰과 같은 범용 운영체제 기반의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탑재된 스마트폰들이 본격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스마트폰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들의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 제공업체들은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개발자 및 사용자들에게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API나 소스 코드를 제공하여, 자사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유도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들의 특정 및 최근 동향에 대해 기술한다.

Performance Testing for Mobile Application Software in Test-Driven Development (테스트 주도 개발(TDD)에서의 모바일 응용 소프트웨어 성능 테스트 방안)

  • Kim, Hee-Jin;Choi, Byoung-Ju;Yoon, Seok-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b
    • /
    • pp.143-146
    • /
    • 2007
  • 테스트 주도 개발(TDD)에서는 무엇보다 테스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단위 테스트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자동화된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지원한다.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기능뿐만 아니라 비기능적인 요소(non-functional factor)인 성능도 함께 고려하여 모바일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도록 하는 성능 테스트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응용 소프트웨어 성능 테스트 현황과 이슈를 살펴보고, 모바일 응용 소프트웨어 성능 테스트를 위해 필요한 성능 특성들을 분석하여, 테스트 주도 개발의 특징을 반영한 성능 테스트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fficient Back-end System Design for the Mobile Software (모바일 소프트웨어를 위한 효율적인 백-엔드 시스템 설계)

  • Oh, Sun-J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3
    • /
    • pp.469-474
    • /
    • 2021
  • Nowadays, a lot of software engineers struggle with the efficient back-end design of mobile application programs operated on the new mobile platform. It is simply because not only their lack of experiences in developing large scale system but also the unstructured nature of the mobile software, where there are no standard solutions. Furthermore, since big data is at the center of many challenges in system design of mobile software, so an efficient system design scheme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such data-intensive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atic and efficient system design method that can figure out the substantial nature of the mobile software and solve the difficulties of the back-end software engineers.

Architecture Development Process of Mobile Application System Based on Product Line (프로덕트 라인 기반의 모바일 응용 시스템 아키텍처 개발 프로세스)

  • Son, Lee-Gyeong;Kim, Haeng-Gon;Hwang, Ha-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58-265
    • /
    • 2005
  •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로 모바일 비즈니스 서비스 수요의 증대와 다양한 사용자 요구사항 및 변경이 빈번해짐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적시에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이 필수적이다.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은 공통의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소프트웨어 제품 혹은 소프트웨어 시스템 집합으로 특정 영역의 시장과 용도의 요구사항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아키텍처 및 컴포넌트를 구성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시스템을 분할하고 구조화하여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개념이 중요시 되면서 아키텍처의 개발과 평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BD (Component Based Development)를 기반한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PLD: Product Line based Development)을 도입하여 모바일 비즈니스 도메인에 적합한 모바일 응용 시스템 아키텍처(MASA: Mobile Application System Architecture)를 제시한다.

  • PDF

Trends of the Software for General Users and Analysis on the Changes to the Mobile Software (일반사용자용 소프트웨어의 동향과 모바일소프트웨어로의 변화에 관한 분석)

  • Jo, HyunSung;Park, Seok-Cheon;Park, J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718-721
    • /
    • 2013
  • 2007년 애플사의 아이폰 발표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가 확산되고, 그 이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PC환경에 최적화된 기존의 일반 사용자용 소프트웨어들이 모바일소프트웨어로 빠르게 변화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2013년 까지 해를 거듭 해 오면서 모바일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은 점점 고조 되고 있으며 모바일 앱은 소프트웨어의 트렌드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용 소프트웨어와 일반 사용자용 소프트웨어를 구분하고, 국내외 포털 사이트, 벤쳐 및 게임사의 일반사용자용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모바일 소프트웨어 서비스 여부에 대한 사례 조사를 실시하여 동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일반 사용자용 소프트웨어가 모바일 소프트웨어로 변화됨으로서 증진되는 유용성, 편의성과 같은 도구로서 가치에 대한 연구를 한다.

The Evaluation Model for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bile Software (모바일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 평가 모델)

  • Soo-Wan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445-448
    • /
    • 2008
  •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발전과 고성능 콘텐츠 보급으로 모바일 소프트웨어 시장이 발전하고 있다. 유선에서 무선 인터넷으로 무선 인터넷에서 모바일 인터넷으로 환경이 바뀌면서 모바일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모바일 소프트웨어 품질의 질적 향상과 지속적인 평가를 위하여 모바일 소프트웨어 특성을 축출 분석하고 ISO/IEC 9126을 기반으로 품질모델을 제시하였다. 모바일 소프트웨어가 가지고 있는 복합적인 요소들을 평가하기 위한 5가지 외부 특성과 이에 따른 15가지 내부 속성으로 구성된 품질 모델을 다면적 의사결정기법의 하나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기법을 이용하여 관련요소의 주관적인 특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품질모델은 고품질의 모바일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평가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Framework for Developing Mobile Embedded Convergence Software using CBD (컴포넌트 기반 모바일 임베디드 컨버전스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

  • Kim, Haeng-Ko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9 no.5
    • /
    • pp.59-72
    • /
    • 2008
  • Computing systems in the modern era are expanding rapidly to include mobile-based businesses that make us of the various convergence distributed business process. This has lead to growing interest in the field of mobile embedded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which has in turn lead to the proliferation of the embedded mobility. The use of CBD (Component Based Development) provides reusability, maintainability and portability, all of which are very important and focus issues to the business process. It also comes with the inherent productivity, quality and reliability of CBD. To make efficient use of CBD, though, clarified interface definitions for component integration are necessary. These definitions should be made up of collaborative hierarchical and horizontal architecture layers. Successful definitions should apply an effective framework made up of the architecture and process.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interface specification for small grained mobile embedded components(MEC) for the mobile embedded domain to meet maximum user requirements. We build and deploy the reconfigurable design patterns and components (in business domain categories) to make a component hierarchy and business logics for mobile embedded software. Proposed components specification plays a major role in development of the software for handling inconsistency in existing specification. It also includes plenty of specification information, using semantics and modeling based mechanisms to support business processes. We propose a development model of mobile embedded software using CBD for very complex and dynamic mobile business. We can apply it in a plug and play manner to develop the software. We verify that our framework supports very good productivity, quality and maintainability to meet the user's requirements in mobile business.

  • PDF

A Modeling Technique for Development of Mobile App.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모델링 기법)

  • Cho, Eun-Sook;Kim, Chul-Jin;Lee, Sook-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8
    • /
    • pp.3999-4005
    • /
    • 2013
  • We forecast that the scale of mobile market will be large scale according to the twenty million times of smart phone's user is arrived. The type of software development is being transferred into mobile-based App. or cloud computing-based service from web-based software. Currently both Google's android and Apple's IOS are known for two prominent platforms. Existing modeling techniques cannot be applied into the case of mobile application which is executed those platforms. Therefore, we suggest a modeling technique that is customized existing modeling techniques into android-based software development. That is, we propose an analysis and design techniques which are needed into android-based mobile smart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