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based on Social Behavior for Performance Contents Recommendation (공연 콘텐츠 추천을 위한 소셜 행위 기반 협업필터링 방법에 대한 연구)

  • Song, Je-O;Kwak, Han-Kyeong;Cho, Jung-Hyun;Lee, S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437-438
    • /
    • 2019
  •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기기의 보급과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증가하면서 사용자들은 많은 콘텐츠를 소비하고 공유한다. 이는 콘텐츠 사용자들의 개별적 기호에 맞지 않거나 만족도가 떨어지는 콘텐츠를 소비하게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 중에서 공연과 관련한 콘텐츠들을 중심으로 사용자 성향별로 추천을 해줄 수 있는 협업필터링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 PDF

Effects of Utiliz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Collaborative Learning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이 협력 학습에 미치는 효과)

  • Shin, Jin;Chon, Eunhwa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11
    • /
    • pp.241-25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the collaborative learning. Four groups were categorized depending on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s - Kakao Talk, Facebook, both Kakao Talk and Facebook, and unused group. A preliminary test reveal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bile efficac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ourse interest among the four groups. In the post test, the groups that used either Kakao Talk group or the group that used both Kakao Talk and Facebook retaine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 in team collaboration scale than Facebook group and unused group. The analysis of the messages in Facebook exhibited that the group used both Kakao Talk and Facebook generated larger number of messages, read, replies, clicks of "good" than the groups used only Facebook. These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 3D User Interface for Mobile SNS Applications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 Jeong, Han-Gil;Jeon, Jae-Woong;Sohn, Ei-Sung;Choy, Yo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24-26
    • /
    • 2012
  •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이 더욱 보편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모바일 환경의 SNS 어플리케이션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NS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더 높은 몰입감과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직관적인 3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Facebook Open API를 기반으로 소셜 네트워크 구성원의 프로필 사진을 3D 방식으로 배치하는 인터페이스 기법과 효과를 구현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SNS 어플리케이션 사용성을 제고한다.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s based on Integration of External Social Network with Internal Group (내·외부 통합형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의 상품 선호도 분석)

  • Park, Sung-Hoon;Yoo, Eun-Jae;Lee, Jae-Myung;Kim, Jin-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3-425
    • /
    • 2015
  • 최근 대형 마트 및 백화점에서는 옴니채널 형식의 유통전략이 급부상하고 있으나, 소상공인 및 전통시장은 고비용의 옴니채널 형식을 도입하기가 어렵다. 이를 해결하고자 소자본으로 구축 가능한 니즈 분석을 활용한 모바일 플랫폼이 고안되었으나, 단순히 사용자의 행동 및 후기를 활용한 니즈분석은 개인만의 선호도 분석으로서 타인의 선호도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내 외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여 타인의 상품 선호도 또한 분석하고 결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상품 선호도 분석을 하였으며 사용자 지정 선호도 분석을 지원한다.

  • PDF

Design of the reality-based multi-participatory mobile game (현실기반의 다중 참여형 모바일 게임의 설계)

  • Lee, Hwang-Keun;Lee, Ge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25-26
    • /
    • 2014
  • 스마트폰의 폭 넓은 보급으로 인해 스마트폰 시장은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고, 모바일 환경의 발전은 다양한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모바일 게임 시장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모바일 게임에서 사용자간 상호작용은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모바일 게임들은 소셜네트워크상의 초대와 아이템의 제공, 스코어 비교 등에 그치는 등 제한된 영역에서의 상호작용에 그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메시지 서버를 활용하여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유기적으로 연계,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이나 기능을 확장하고 게임세계와 현실세계의 접목을 통한 새로운 형태의 게임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The Effect of Project Based Learning(PBL) Application Using Social Networks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프로젝트기반학습(PBL) 적용이 작업치료과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Lee, Na-Yun;Park, Ju-Young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4
    • /
    • pp.57-6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by applying PBL classes using social networks. Data were collected from 35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occupational therapy at K University from March to June 201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BL application using social network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roblem solving ability. Secon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mobile device use and major satisfaction. Therefore, as a learning tool for improv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e proposed a way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learning by activating PBL using social networks.

Time and Space Modeling Method for Social Services (소셜 서비스를 위한 시공간 모델링 방안)

  • Lee, Seung-Hee;Park, Young-Ho;Park, Hwa-Ji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1 no.4
    • /
    • pp.571-578
    • /
    • 2010
  • Recently, many social networking services using mobile devices are spread. Also, many studies based on location and time are increasing.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been difficult to resolve queries by place, time, and events. In the paper, we propose time and space modeling method for social services. We propose Human Activity Graph and Quad Relation Factors through time, place, event, and social activity of users, and we design the database scheme for data collect and analysis.

The Evolution of Korean Social Network Service focusing on the Case of Kakao Talk (한국형 SNS의 진화 :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 Jung, Hee-Seo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0
    • /
    • pp.147-154
    • /
    • 2012
  • I made an analysis on the case of Kakao Talk, which is Korean top mobile instant messaging service, to find the growth potential of Korean Social Network Service in the global market. First, I found that unlike the PC messenger services, Kakao Talk is not only unlimited in mobile IM service provider but also has evolving into a social network service firm. Second, attempts with a variety of social services such as photo-based Kakao Story and Marketing Platform for Mobile Game, Kakao Talk successfully landed as a SNS company. Third, with 'Plus Friends' Service, soon-to-be launched Avatar and App Market Service, Kakao Talk is evolving into social media and social platforms. The big success of Kakao Talk in Korean market is expanding and reproducing into Japanese and Southeast Asian markets through the 'Line' serviced by NHN. Line is applying the proven success stories of Kakao Talk to the Japanese and Southeast Asian markets. It means that Kakao and Line, both are mobile IM services, have raised the possibility of success in the global SNS market although online web-based SNS Cyworld has failed in the global market.

Implementation of Bluetooth-based Mobile Open Market System (Bluetooth 기반 모바일 오픈 마켓 시스템 구현)

  • You, Hee-Hoon;Joung, Young-Woo;Lim, Yu-Jin;Park, Joon-Sang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7C no.2
    • /
    • pp.215-222
    • /
    • 2010
  • IEEE 802.15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technologies represented by Bluetooth are prevalent these days. However, they have short radio coverage and thus cannot be used to build a SNS for servicing users spread over a wide area. In this paper, we develop a mobile SNS(Social Network System) that does not necessitate any infrastructure support using the Bluetooth technology and the mobility based information dissemination technique. Using so-called mobility assisted data dissemination technique we overcome the short radio range restriction of WPAN technologies. We develop Blue Market, a free online marketplace program, as a proof of concept.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Park, Jong-Youl;Kim, Jung-Tae
    • Review of KIISC
    • /
    • v.22 no.2
    • /
    • pp.43-51
    • /
    • 2012
  • 본 논문은 최근 스마트폰과 Social Network Service(SNS)의 활성화에 따라 이슈화되는 SNS 서비스 기술들과 최신 표준화 동향을 살펴본다. 먼저 SNS 서비스의 근간이 되는 스마트폰과 모바일 OS 기술을 포함하여 위치기반 서비스(LBS) 기술, 증강현실(AR) 기술들과 다양한 웹(WWW) 기술들을 살펴보고 또한 서비스 사업자별로 다양하게 제공되는 소셜 플랫폼 기술을 통하여 현재 SNS 서비스의 기술현황을 파악한 후 보다 향상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진행 중인 기관 및 단체별 SNS 표준화 동향에 대해서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