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사전

Search Result 22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Mobile app authoring tool with category builder and hybrid app generator (카테고리 빌더와 하이브리드앱 생성기를 통한 모바일앱 저작도구)

  • Hyun, Cheol;Kim, S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9-70
    • /
    • 2012
  • 본 연구는 콘텐츠 배포를 위한 앱 제작에 있어 모바일앱 개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저작도구에 관한 것이다. 카테고리 빌더란 콘텐츠의 특성과 수요자의 특성을 분석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모바일웹을 생성할 수 있는 도구이며, 하이브리드앱 생성기는 모바일웹 코드를 기반으로 네이티브 코드와 통합된 하이브리드 모바일앱을 생성하는 도구이다. 모바일앱 저작도구는 모바일앱의 분류에 맞게 사전에 카테고리를 빌드 후 제공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을 수정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은 HTML5 표준에 맞는 모바일웹페이지로 생성된 후 하이브리드앱으로 변환한다. 제안된 모바일앱 저작도구는 모바일앱 개발의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 PDF

A Study for Construction Environment Pre-analysis by Integration of 3D Scanning and USN (3D 스캐닝 데이터와 USN의 통합에 위한 건설환경 사전분석 연구)

  • Yeon, Sangho;Lee, 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9-150
    • /
    • 2011
  • 3차원 건설환경의 디지털기반의 가시화는 도시계획 및 통신계획, 건설, 건축, 입체적인 도시공간정보시스템 구현, 안전 및 방재 등에서 많은 필요와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건설현장의 환경정보의 사전분석에 의하여 USN의 구성과 실시간 정보취득의 장점을 활용하여 기존의 항공사진과 DEM의 매칭에 의한 3D지형공간에 온도, 습도, 조도, 적외선량, GPS위치, 이산화탄소량 등의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서 획득하여 이를 모바일 스마트폰으로 연결함으로서 새로운 건설환경정보를 사전에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The Plan of Sensing of Disaster Signs Analyzing Big Data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전조감지 방안)

  • Choi, Seon-Hwa;Choi, Se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01-801
    • /
    • 2012
  • 최근 과학 IT 패러다임은 기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중심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치 사회 경제 등 제반 이슈와 연계된 분석 예측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모바일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등장으로 데이터가 경제적 자산이 되는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였다. 급속히 변화하고 복잡해진 사회구조와 재난환경으로 인해 인력에만 의존한 재난관리의 사각지대가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므로 다양한 재난전조(前兆)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터넷에 존재하는 재난관련 언론보도, 민원, 제보, 소셜 미디어 등의 비정형 데이터와 재난관련 정형 데이터(DB)를 융합 분석하여 재난전조를 사전에 감지하고 위험요소를 신속히 제거하는 빅데이터 기반 재난전조감지 체계를 제안한다. 최근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도시내수침수 피해 위험 예방을 위해 제안한 재난전조감지 체계를 적용하여 피해발생 위험요소 및 전조, 긴급 이슈 등을 감지하는데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는 전조를 감지하고 사전 침수 피해를 예측하여 피해 최소화 및 복구비용 절감, 저감능력 강화의 효과뿐만 아니라 위험요인 사전 차단 및 확산방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App for Pollution Measurement of Plume (굴뚝연기의 오염도 관리를 위한 웹앱의 설계 및 구현)

  • Ban, ChaeHoon;Son, Hy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441-444
    • /
    • 2014
  • 공장 사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매연은 대기오염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기오염방지를 위해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측정하고 이를 관리하여 대기오염을 신속히 파악하고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광학센싱을 이용해 굴뚝연기의 혼탁도를 측정하고 이를 다양한 모바일 운영체제에서 측정결과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는 모바일 웹앱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굴뚝연기의 혼탁도와 VOC 오염도에 대하여 여러 가지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의값을 설정하고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 지정된 번호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운영체제에 독립적인 웹앱의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서 운영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유지보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Effects of Segmenting Video Lectures on the Learning Outcomes -Focusing on the Mobile Learning Environment Using Smartphones- (동영상 강의 분할시간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학습환경을 중심으로-)

  • Hong, Won Joon;Lim, Cheol Il;Park, Tae 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2
    • /
    • pp.1048-1057
    • /
    • 2013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prior knowledge level and segmenting time of video lectures in an learning environment using smartphones. Depending on the level of prior knowledge, learn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the upper 35% and the lower 35%. Each group was offered video lectures by a 5-min, 10-min, 15-min, and 20-min length. As a result, a high level of prior knowledge on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With respect to the segmentation time of video lectures, 10-min, 15-min lectures were effective to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15-min, 20-min lectures influenced positively the learners' satisfaction. Moreov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vel of learners' prior knowledge and the segmentation time of video lectures only had an impa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imple effect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action carefully show that 15-min, 20-min video lectures are more effective for the upper 35% in prior knowledge and 10-min ones are better for its' lower 35%. In a nutshe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igh-prior knowledge groups could be provided with a longer video lectures, and furthermore, 5-min video lectures are not adequate in a mobile learning environment with smartphones.

Development of a Mobile Platform to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학습관리시스템 개발연구)

  • Chung, Ae-Ky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2 no.4
    • /
    • pp.23-34
    • /
    • 2009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bile platform that supported college students to become self-regulated learners,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For this purpose, a mobile platform was designed and developed through the steps of systems approach. All the sub-steps were monitored and pilot-tested. The mobile platform incorporated a number of features designed specifically for the self-regulation components, with the intention of enhanc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Finally, research results suggested that students were taking advantage of the mobile platform that supported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There were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mobile platform, F(1,133)=1767.202, P<.001

  • PDF

Implementation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Using Image Dictionary and Verbal based Sentence Generation Rule (이미지 사전과 동사기반 문장 생성 규칙을 활용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구현)

  • Ryu, Je;Han, Kwang-Ro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3B no.5 s.108
    • /
    • pp.569-578
    • /
    • 2006
  • The present study implemented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using images that speech defectives can easily understand. In particular, the implementation was focused on the portability and mobility of the AAC system as well as communication system of a more flexible form. For mobility and portability, we implemented a system operable in mobile devices such as PDA so that speech defectives can communicate as food as ordinary People at any Place using the system Moreover,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torage space for a large volume of image data, we implemented the AAC system in client/server structure in mobile environment. What is more, for more flexible communication, we built an image dictionary by taking verbs as the base and sub-categorizing nouns according to their corresponding verbs, and regularized the types of sentenc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verb, centering on verbs that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composing a sentence.

Field-Learning Support System Using Web and Mobile (웹과 모바일을 연동한 현장체험학습 지원시스템)

  • Min, Yoon-Kyung;Choi, Byoung-J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5
    • /
    • pp.53-64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show how to support the field-learning by using web and mobile system. This Web Mobile system is to help the users plan, carry out and evaluate a field learning. Usually the field-learning is going through three steps: preparation, actual field activity and post-evaluation activity. The proposing Web-Mobile system supports an integrated methodology to more effectively help, lead and manage this three step field-learning, This effective approach will help the learners develop their creativity, self-control and partnership to each other.

  • PDF

Learning Predictive Model of Memory Landmarks based on Bayesian Network Using Mobile Context Log (모바일 컨텍스트 로그를 사용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의 랜드마크 예측 모델 학습)

  • Lee Byung-Gil;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550-552
    • /
    • 2005
  • 유비쿼터스 환경의 발달과 함께 모바일 장비에서 수집되어지는 컨텍스트 로그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컨텍스트 정보를 사용한 연구는 사용자 모델링에 그 초점을 맞추거나 단순하게 수집된 정보를 정리하여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보여주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컨텍스트 로그와 외부 센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학습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랜드마크를 찾아내는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베이지안 네트워크 설계는 사전에 수집된 컨텍스트 정보를 요일과 주별로 분류하여 각각에 대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cross validation하여 랜드마크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분류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SVM 방법을 사용하여 제안한 방법과의 성능을 비교평가하였다. 랜드마크 예측에 대한 정확도는 주간별로 설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보다 요일별로 설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가 랜드마크를 예측하는데 정화도가 높음을 확인하였고,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사용한 방법이 SVM을 사용한 방법보다. 예측에 한 정확성이 우수하였다.

  • PDF

Named Entity Recognition for Schedule Management in Mobile Devices (모바일 기기에서 일정 관리를 위한 개체명 인식)

  • Jang, Eun-Seo;Kang, Seung-Shik;Lee, Jae-Won;Kim, Do-H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3.10a
    • /
    • pp.171-174
    • /
    • 2013
  • 본 논문은 모바일 기기에서 일정을 메모하거나 음성 인식 등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일정 관리, 약속과 관련된 문구가 입력되었을 때 입력 문자열로부터 개체명을 인식하여 시간, 장소, 참석자 등을 일정 관리 시스템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개체명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일정 관리의 편의성을 위한 개체명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개체명 사전을 구축하고,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은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