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바일 사전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2초

카테고리 빌더와 하이브리드앱 생성기를 통한 모바일앱 저작도구 (Mobile app authoring tool with category builder and hybrid app generator)

  • 현철;김상헌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70
    • /
    • 2012
  • 본 연구는 콘텐츠 배포를 위한 앱 제작에 있어 모바일앱 개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저작도구에 관한 것이다. 카테고리 빌더란 콘텐츠의 특성과 수요자의 특성을 분석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모바일웹을 생성할 수 있는 도구이며, 하이브리드앱 생성기는 모바일웹 코드를 기반으로 네이티브 코드와 통합된 하이브리드 모바일앱을 생성하는 도구이다. 모바일앱 저작도구는 모바일앱의 분류에 맞게 사전에 카테고리를 빌드 후 제공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을 수정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은 HTML5 표준에 맞는 모바일웹페이지로 생성된 후 하이브리드앱으로 변환한다. 제안된 모바일앱 저작도구는 모바일앱 개발의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 PDF

3D 스캐닝 데이터와 USN의 통합에 위한 건설환경 사전분석 연구 (A Study for Construction Environment Pre-analysis by Integration of 3D Scanning and USN)

  • 연상호;이영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9-150
    • /
    • 2011
  • 3차원 건설환경의 디지털기반의 가시화는 도시계획 및 통신계획, 건설, 건축, 입체적인 도시공간정보시스템 구현, 안전 및 방재 등에서 많은 필요와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건설현장의 환경정보의 사전분석에 의하여 USN의 구성과 실시간 정보취득의 장점을 활용하여 기존의 항공사진과 DEM의 매칭에 의한 3D지형공간에 온도, 습도, 조도, 적외선량, GPS위치, 이산화탄소량 등의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서 획득하여 이를 모바일 스마트폰으로 연결함으로서 새로운 건설환경정보를 사전에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전조감지 방안 (The Plan of Sensing of Disaster Signs Analyzing Big Data)

  • 최선화;최승용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801-801
    • /
    • 2012
  • 최근 과학 IT 패러다임은 기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중심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치 사회 경제 등 제반 이슈와 연계된 분석 예측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모바일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등장으로 데이터가 경제적 자산이 되는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였다. 급속히 변화하고 복잡해진 사회구조와 재난환경으로 인해 인력에만 의존한 재난관리의 사각지대가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므로 다양한 재난전조(前兆)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터넷에 존재하는 재난관련 언론보도, 민원, 제보, 소셜 미디어 등의 비정형 데이터와 재난관련 정형 데이터(DB)를 융합 분석하여 재난전조를 사전에 감지하고 위험요소를 신속히 제거하는 빅데이터 기반 재난전조감지 체계를 제안한다. 최근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도시내수침수 피해 위험 예방을 위해 제안한 재난전조감지 체계를 적용하여 피해발생 위험요소 및 전조, 긴급 이슈 등을 감지하는데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는 전조를 감지하고 사전 침수 피해를 예측하여 피해 최소화 및 복구비용 절감, 저감능력 강화의 효과뿐만 아니라 위험요인 사전 차단 및 확산방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굴뚝연기의 오염도 관리를 위한 웹앱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App for Pollution Measurement of Plume)

  • 반재훈;손현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41-444
    • /
    • 2014
  • 공장 사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매연은 대기오염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기오염방지를 위해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측정하고 이를 관리하여 대기오염을 신속히 파악하고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광학센싱을 이용해 굴뚝연기의 혼탁도를 측정하고 이를 다양한 모바일 운영체제에서 측정결과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는 모바일 웹앱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굴뚝연기의 혼탁도와 VOC 오염도에 대하여 여러 가지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의값을 설정하고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 지정된 번호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운영체제에 독립적인 웹앱의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서 운영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유지보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동영상 강의 분할시간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학습환경을 중심으로- (Effects of Segmenting Video Lectures on the Learning Outcomes -Focusing on the Mobile Learning Environment Using Smartphones-)

  • 홍원준;임철일;박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048-1057
    • /
    • 2013
  • 본 논문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과 동영상 강의의 분할시간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전지식 수준에 따라 상위 35%, 하위 35%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집단에 동영상 강의를 5분, 10분, 15분, 20분으로 분할하여 제공하였다. 먼저, 동영상 분할시간의 주효과를 보면 학업성취도에서는 10, 15분 동영상이 좀 더 효과적이었으며, 만족도에서는 15분, 20분 동영상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과 동영상 강의 분할시간 간에 상호작용 효과는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만 나타났는데 특히, 사전지식 상위 35% 집단은 15분, 20분 동영상에서, 하위 35% 집단은 10분 동영상에서 가장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다. 상기 연구결과는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에게는 좀 더 긴 동영상 강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5분 동영상 강의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학습환경에서 적합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학습관리시스템 개발연구 (Development of a Mobile Platform to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 정애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3-3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학습관리시스템을 설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학습관리시스템은 15주에 걸쳐 체제적 접근의 개발 절차를 따라 개발되었다. 개발된 학습관리시스템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D대학 1학년 학생 136명을 8주 동안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모바일 연동 학습관리시스템 적용 수업에 참여하게 하고 사전과 사후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 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학습관리시스템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이미지 사전과 동사기반 문장 생성 규칙을 활용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Using Image Dictionary and Verbal based Sentence Generation Rule)

  • 류제;한광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5호
    • /
    • pp.569-57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언어장애인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들을 이용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의 구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의 휴대성 및 이동성과 보다 유연한 형태의 의사소통 시스템 구현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동성과 휴대성을 위하여 PDA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운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사용 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나 여러 장소에서 일반인과 다름없는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용량이 큰 이미지 데이터의 저장 공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서버 형태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동사를 기준으로 하여 동사에 대응하는 명사들을 하위 범주화하여 이미지 사전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장을 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품사인 동사에 초점을 맞추어 동사의 유형에 따라 생성되는 문장의 유형을 정규화 하였다.

웹과 모바일을 연동한 현장체험학습 지원시스템 (Field-Learning Support System Using Web and Mobile)

  • 민윤경;최병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53-6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웹과 모바일을 연동한 현장체험학습 지원시스템을 제안한다. 웹과 모바일을 연동한 현장체험학습 지원시스템은 현장체험학습을 계획, 진행, 평가하는 과정을 지원한다. 현장체험학습의 프로세스를 크게 사전활동, 현장활동, 사후활동의 세 가지로 나누고 웹과 모바일의 연동을 통해 통합적으로 지원, 관리, 운영한다. 현장체험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창의성과 자율성, 협동성을 길러주는 교육적 효과를 보다 높이고자 한다.

  • PDF

모바일 컨텍스트 로그를 사용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의 랜드마크 예측 모델 학습 (Learning Predictive Model of Memory Landmarks based on Bayesian Network Using Mobile Context Log)

  • 이병길;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550-552
    • /
    • 2005
  • 유비쿼터스 환경의 발달과 함께 모바일 장비에서 수집되어지는 컨텍스트 로그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컨텍스트 정보를 사용한 연구는 사용자 모델링에 그 초점을 맞추거나 단순하게 수집된 정보를 정리하여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보여주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컨텍스트 로그와 외부 센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학습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랜드마크를 찾아내는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베이지안 네트워크 설계는 사전에 수집된 컨텍스트 정보를 요일과 주별로 분류하여 각각에 대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cross validation하여 랜드마크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분류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SVM 방법을 사용하여 제안한 방법과의 성능을 비교평가하였다. 랜드마크 예측에 대한 정확도는 주간별로 설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보다 요일별로 설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가 랜드마크를 예측하는데 정화도가 높음을 확인하였고,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사용한 방법이 SVM을 사용한 방법보다. 예측에 한 정확성이 우수하였다.

  • PDF

모바일 기기에서 일정 관리를 위한 개체명 인식 (Named Entity Recognition for Schedule Management in Mobile Devices)

  • 장은서;강승식;이재원;김도현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3년도 제2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71-174
    • /
    • 2013
  • 본 논문은 모바일 기기에서 일정을 메모하거나 음성 인식 등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일정 관리, 약속과 관련된 문구가 입력되었을 때 입력 문자열로부터 개체명을 인식하여 시간, 장소, 참석자 등을 일정 관리 시스템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개체명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일정 관리의 편의성을 위한 개체명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개체명 사전을 구축하고, 자연어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은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