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기기

Search Result 2,183,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모바일 및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XML기반의 단일인증 설계

  • Son, Min-Woo;Jeong, Jong-Il;Shin, Dong-Il;Shin, Dong-Kyoo
    • Review of KIISC
    • /
    • v.17 no.5
    • /
    • pp.15-24
    • /
    • 2007
  • 모바일 및 웹 어플리케이션의 통합으로 인해 모바일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의 수는 크게 증가했지만 사용자들은 여러 개의 사용자 이름과 패스워드를 관리해야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와 유사한 상황은 다양한 종류의 개인장비, 무선 센서, 서버, 서비스 그리고 댁내에서 네트워크화 된 기기들로 구성된 흠 네트워크 환경으로 확장될 수 있다. 최근 디지털 홈 워킹 그룹 (DHWG: Digital Home Working Group)은 보안 강화를 위해 사용자와 기기에 대한 호환성 있는 인증 및 인가 메커니즘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준비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인터넷, 인트라넷 그리고 댁내에 분산된 자원들을 사용하기 위해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 및 인가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이는 보안 관리와 시스템성능 측면에서는 커다란 부담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XML기반의 단일인증기술 표준인 SAML (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을 이용한 단일인증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제안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모바일 및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에서 모바일과 홈 기기간에 서로 다른 개체의 인증 및 인가 프로파일 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므로 분산 환경에서의 보안 관리를 강화할 수 있다. 특히 제안된 아키텍처에서는 고도의 연산능력을 필요로 하는 보안정보의 전자서명 및 암복호 작업을 유선환경에 구성된 고성능의 기기로 전가하고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의 인증을 검증할 수 있는 작은 문자열 형태의 artifact를 보유하고 이를 사용자의 인증에 이용함으로써 낮은 컴퓨팅 능력과 기억용량의 한계 같은 모바일 기기의 성능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게 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Capital: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e Efficacy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과 사회자본의 관계: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 Jun-Su Kim;Woo-Hong Cho;Young-Eun Jang;Kil-Hee Byon;Dea-Hun Choi;Mee-Ky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27-3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정보화기기 중 PC, 모바일 기기 활용능력,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남성보다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았고, 나이가 많은 사람, 월평균 소득이 높은 사람, 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인 PC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pc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경로와 모바일기기 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매개효과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정보화기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육기관의 노력과 단순한 컨텐츠 위주의 교육에서 보다 실용적이고 즉시적인 교육 콘텐츠 전환 등 실천적 노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개인화 기법을 이용한 모바일 추천 시스템

  • Kim, Ryong;Gang, Ji-Heon;Kim, Yeong-Gu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65-570
    • /
    • 2007
  • 네트워크의 발달은 유선 인터넷(Wired LAN)과 무선 인터넷(Wireless LAN) 시대를 지나 휴대 인터넷(Mobile LAN)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네트워크의 공존은 사용자에게 보다 빠르고 저렴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를 위한 개인화 방법으로 협업 필터링 방법을 통한 추천과 푸쉬(push) 방식의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는 협업 필터링 방법을 통한 사용자 선호 음악 추천을 수행하고, 추천된 사용자 선호 음악은 모바일 기기로 푸쉬 서비스 된다. 추천을 통한 모바일 음악 푸쉬 서비스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로 하여금 네트워크 환경에 접속되어있을 때 사용자 취향에 맞는 음악을 능동적으로 다운로드 해 둠으로써 사용자가 음악을 선택하여 모바일 기기로 다운로드 하는 시간을 줄여 줄 수 있다.

  • PDF

A Study on Dynamic Mobile Malware Detection Systems (모바일 기기에서의 동적 악성 코드 검출 시스템에 대한 연구)

  • Kwon, Dong-Hyun;Yi, Ha-Yoon;Cho, Young-Pil;Paek, Yun-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398-400
    • /
    • 2014
  • 모바일 기기가 점차 발전하고 사람들 사이에 널리 보급되면서 여러 가지 모바일 응용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하여 모바일기기는 사람들의 많은 개인정보를 담고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에 따라 이러한 모바일 기기의 정보들을 노리는 악성 코드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또한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모바일 환경에서의 악성 코드를 검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별도의 수행환경에서 동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악성 코드 검출 연구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Construction and use of Measures of Mobile Devices a Linux-based Server (리눅스 기반의 모바일기기 서버구축 및 활용 방안)

  • Park, Sung-Hyun;Xun, Chu;Jeoung, Kyung-Mo;Hwang, Chul-Hyun;Jung, Ho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935-937
    • /
    • 2013
  • Currently, depending on the penetration of the mobile device, age of one person one mobile device is open. It is a time when mobile equipment is located to the depths of human life that much. However, equipment for new mobile devices full of, was in the existing, tend to sleeping in the house or abandoned. It is determined that you build one server in a mobile device that individuals have, to be able to break out of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service Twitter and blogs, such as Facebook, and to create multiple Web services with a personality of their own. In this paper, we studied a scheme that can be instead of a simple fixed serv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y the mobile device and take advantage.

  • PDF

모바일 플랫폼과 관련 기술의 이해

  • Jeon, Yeong-Su
    • Digital Contents
    • /
    • no.9 s.148
    • /
    • pp.72-77
    • /
    • 2005
  • IT 분야 중에서도 최근에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분야가 모바일 기술이다. 최근에는 개발자들뿐만 아니라 많은 사용자들이 모바일 기술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모바일 기술의 경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각기기혹은플랫폼에서개발할수있는방법에대해간단히소개한다.

  • PDF

모바일기기 컨버전스의 핵 'PMP'

  • Im, Il-Gon
    • 정보화사회
    • /
    • s.180
    • /
    • pp.18-19
    • /
    • 2006
  • 동영상을 휴대형 기기로 볼 수 있게 고안된 PMP(Potable Multimedia Player)가 모바일 기기의 컨버전스화를 이끌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한 것은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현재도 '진행형'에 있다는 게 더 정확하다. 진행형에 있지만 최근 삼성전자가 시장에 동참했으며, 스카이 제품이 '대박' 조짐을 보이고 있어 시장 성숙에 탄력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 이기태 사장이 "휴대폰의 진화방향은 PMP 기능을 흡수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이 실현되고 있는 것이다.

  • PDF

Mobile Cloud Service Platform for Supporting Business Tasks (기업 업무 지원을 위한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 You, Dae-Sang;Ko, Kwang-Il;Maeng, Seung-Ryol;Jin, Go-Wh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9
    • /
    • pp.2113-2120
    • /
    • 2013
  • As a smart mobile device is gaining popularity as a tool to utilize internet services, the demand on the cloud service (which eliminates the spatial and/or temporal restrictions in enjoying the services) is increasing. This trend also has an effect on the style of performing business tasks so that the concept of 'smart-work' (e.g. doing business tasks in anywhere and anytime) is being spread over the industries. The facilities for the smart-work is, however, focused on providing the tools designed to supporting business tasks such as co-working in writing documents, video conference, searching data via smart (mobile) devices neglecting the industries' needs for the infrastructure by which they can create their own business applications and mobile cloud services at a low (or moderate) price. The paper proposes a mobile cloud service platform, which provides an SDK for developing business applications and offers the applications to smart mobile devices as a PaaS (Platform as a Service).

The Effect of Mobile Device Capability of Middle and Older Aged Adults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social participation (중고령자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im, Su-Kyoung;Shin, Hye-Ri;Kim, Young-S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3
    • /
    • pp.23-34
    • /
    • 2020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social particip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device cap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Using the data of 2018 Digital Divid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Baron & Kenny (1986)'s 3 step process, targeting 1,665 middle and older aged adult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mobile device capability of the middle and older aged people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effect of the mobile device capability of middle and older aged people on life satisfaction is partially mediated by mobile social participation including expressing opinions on social concerns, proposing policies and filing a civil complaint, donation and volunteering work and online voting and responding to a poll. The result represents that th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capability of the middle and older aged group not only directly benefits the group but also helps expand their mobile social participation, which leads to, although indirectly, highe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study is expected to be a groundwork for a practical intervention for enlarging the use of mobile device and lifting digital information level of the elderly to encourage mobile social participation and drive life satisfaction.

Downloadable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모바일 단말을 위한 다운로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 Yun, Min-Hong;Lee, Jae-Ho;Kim, Sun-J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141-145
    • /
    • 2008
  • 하드웨어적인 디자인을 제외하고, UI가 사용자에게 모바일 기기의 첫 인상을 결정하는데 많은 부분을 담당한다.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치라는 의미를 넘어 개인용 기기로서 사용자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고 특히 발생하는 소리, 모바일 기기의 색상, 폰트, 배경화면 등이 이에 사용된다. 높은 해상도와 다양한 색상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의 발달로 사용자 모바일 기기를 통해 개성을 표출 하고자 하는 요구는 더욱 늘어났다. Macromedia의 Flash Lite와 Qualcomm의 uiOne이 이런 요구를 반영한 기술이다. 그러나 Flash Lite와 uiOne역시 단점이 존재하는데, 각각의 UI 시스템이 제공하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UI가 가진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downloadable UI를 설명한다. 이 downloadable UI는 여러 UI Engine을 포함할 수 있어 어느 한 종류의 UI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UI 지원이 가능하다. Downloadable UI는 ETRI의 리눅스 기반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으며 계속 발전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