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래하천

Search Result 31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tudy on the Hydromorphological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s - A Case of the Sand- and Gravel-Bed Streams in Kyonggi District - (하천의 물리적 구조와 생태적 특성연구 - 경기지방의 모래 및 자갈하천의 사례 -)

  • Kim, Hyea-Ju;Lee, Du-Han;Kim, Cha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57-1062
    • /
    • 2006
  • 사례하천의 연구결과 자갈하천의 경우 물리적 구조가 생태적으로 양호하여 종다양성이 풍부하나, 모래하천은 상대적으로 물리적 구조가 단순하여 생물종 다양성이 낮게 나타났다. 여러 조사항목을 이용한 MVSP의 UPGMA분석 결과 실제 하상재료와 같이 조사하천들이 분류되었다. 따라서 기 조사항목들과 분석방법은 앞으로 생태적 하천유형분류를 위해서 적극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 된다.

  • PDF

A Study of Discharge Rating Using Shifting Control Method in Sand Bed River (모래하천에서 전이통제 기법을 이용한 유량환산 연구)

  • Kim, Chi-Young;Song, In-Ryeol;Lee, Ki-Sung;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4-178
    • /
    • 2009
  • 하천의 시간유량 혹은 일유량과 같은 연속유량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각각 정해진 시각에 유량측정 시행해야한다. 그러나 매시각, 매일 유량측정을 시행하는 것은 경제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연속적인 유량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수위-유량관계를 작성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측정한 수위에 대입하여 유량으로 환산하다. 하상변동이 심하게 발생하지 않는 안정적인 하천에서는 수위-유량관계 또한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고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다만, 우리나라 대부분의 하천에서는 주요 홍수 전 후로 통제하도의 하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2개 혹은 3개 기간으로 수위-유량관계를 분리하여 유량환산에 이용하고 있다. 통제하도가 모래하천인 경우에는 주요홍수 이외에도 지속적으로 세굴 혹은 퇴적이 발생하기 때문에 매 유량측정 마다 서로 다른 수위-유량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요 홍수 전 후로 수위-유량관계를 기간 분리하여 작성한다고 해도 신뢰성 있는 유량자료를 확보하기 곤란하다. 이와같이 불안정한 하도 통제를 받는 지점에서는 매 유량측정시마다 수위-유량관계를 조정하여 유량을 환산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하천인 내성천의 향석 지점의 유량측정 성과를 이용하여 수위-유량관계를 개발하고, 매 유량측정시에 측정한 수위와 유량자를 이용하여 수위-유량관계 조정곡선을 작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수위-유량관계를 조정하여 연속적인 유량환산을 시행하였다. 이 결과 기존 홍수 전 후로 기간 분리하여 작성한 수위-유량관계를 이용한 환산유량과 비교하여 신뢰성 있는 유량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River Characteristics of the Hwang-Gang and the Gamcheon (하도특성 파악에 관한 연구(황강과 감천을 중심으로))

  • Jang Chang-Lae;Kim Jeongkon;Baek Seung-Hwan;Lee Kwang Man;Kim Woo-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59-126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황강과 감천의 하토특성을 조사하여 보았다. 황강은 15년 전에 상류에 합천댐이 건설되어 하류하천에 많은 변동을 가져왔으나, 감천은 상류에 감천댐을 개발할 예정이므로 두 하천의 하천 특성을 비교하여 향후 하천계획 및 관리를 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공하는데 있다. 황강과 감천은 중규모 영역구분을 수행하여 본 결과 모래로 구성된 망상하천이며, 또한 하상토 및 소류력을 분석하여 본 결과 부유사가 지배적인 하천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그동안 우리나라 하천 계획 및 관리를 하는 데 간과된 것이다. 감천에서는 현재 홍수터 및 사주에 식생이 크게 번성하지 못하고 있다. 하천에서의 식생의 관리는 치수관리 측면과 생태학적 측면에 균형을 맞추어 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향후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n Assessment on Efficiency of MBAS Removal in Urban Stream Maintenance Water by Using Sand Filtration (모래여과를 이용한 도시하천유지용수의 MBAS 제거 효율 평가)

  • Kim, hong bae;Ahn, ky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8 no.2
    • /
    • pp.45-51
    • /
    • 2006
  • Biological enhanced treatment and send filtration are established being operated to remove nutrients and MBAS(Methylene Blue Activate Substance) in the most of Waste Water Treatment Plant(WWTP) in Korea. However, untreated synthetic detergents and nutrients which directly run into the water system present an unpleasant view because of the foam, taste and odor generating filamentous periphytic algae and interrupting self-purification in the stream. Therefore, this research was enforced to know the MBAS removal efficiency of the sand filtration about G WWTP which reuses effluent as urban stream management water. As a result, the maximum removal efficiency using sand filtration was 63% after 24 hours and particularly 30% after 2 or 4 hours which turned out to be not that effective. In conclusion, It is recognized that other methods of MBAS removal and a research will be needed which reuse effluent as urban stream management water from now on. Because the MBAS removal with sand filtration is insufficient with economical efficiency from the fact that it needs long hours for a sand filtration treatment and the removal efficiency was almost below the expectation.

  • PDF

Analysis of Roughness Coefficients of Domestic Rivers (국내 하천의 조도계수 특성 분석)

  • Kim, Yong-Jeon;Lee, Chan-Joo;Kim, Ji-Sung;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53-1857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하천을 대상으로 하천의 단면 형상 및 수위, 유량자료를 실측하여 유량 변화에 따른 조도 계수를 산정하고, 하상 재료와 하천 규모에 따른 조도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측 자료는 다양한 유량 변화 자료를 얻을 수 있는 2007년 6월에서 9월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대상 하천의 조도계수는 미국 지질조사국의 NCALC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조사 지점은 하상재료가 거석으로 이루어진 섬진강(곡성), 호박돌로 이루어진 평창강(방림), 달천(괴산), 홍천강(서면), 금강(현도1, 현도2)과 자갈 모래로 구성된 금강(이원) 지점, 모래하천인 내성천(평은) 그리고 도시하천인 탄천(복정)으로 총 9개 지점에서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모든 하천의 조도계수는 유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면서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하상 입경과 규모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조도계수를 나타냈다. 가장 큰 조도계수의 범위를 보이는 곳은 하상재료가 큰 섬진강(곡성)과 홍천강(서면), 달천(괴산) 지점이었으며, 모래하천인 내성천(평은)과 도시하천인 탄천(복정)은 가장 작은 조도계수의 범위를 보였다. 또한, 하상 재료 특정입도($d_{16}$, $d_{50}$, $d_{84}$, $d_w$)가 흐름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Limerinos에 의해 제안된 상대조도를 분석한 결과, 하상재료의 특성이 상이하게 다른 섬진강(곡성)과 내성천(평은), 탄천(복정)을 제외하고 하상재료와 상대조도 사이에서의 관계식을 산정할 수 있었다.

  • PDF

The Classification of Instream Habtats for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생태하천복원을 위한 하도 생물서식처 유형 구분)

  • Ahn, Hong Kyu;Lee, Dong Jun;Kim, Si Na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 no.2
    • /
    • pp.82-93
    • /
    • 2014
  • In recent years,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flood control, water utilization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rivers is actively being investigated. However,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inhabitation conditions of living organisms that live on the river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have been fully reflected, and with the use of limited methods, it ends in uniformed composition of artificial rivers and a mere customary stream channel maintenance, resulting in frequently disturbed stream channel habitats As a fundamental study for investigating the habitats of living organisms that live on river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each habitat type by dividing domestic rivers into sand rivers and gravel rivers depending on the nature of rivers and dividing sections of each river into central river sections and natural river sections. As a result, more diverse habitat types of organisms were found in the gravel rivers rather than in the sand rivers, and the habitat types of organisms in the central river sections where the river restoration project have been already conducted reached approximately 56.3 % of those that appeared in the natural river sections.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 and role of the sand bars of major river valleys in the South Korea - case study on the Nakdong river valleys - (한국 하천 모래톱의 지형학적 의미와 효능 - 낙동강 하곡을 사례로 -)

  • OH, Kyung-Seob;YANG, Jae-Hyuk;CHO, Heo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2
    • /
    • pp.1-14
    • /
    • 2011
  • Remarkable development of sand bar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fluviatile landform of Korea. Their development owes, in one part, to the supply of abundant sandy materials to river valley floor, originated from the weathering of essentially granitic rocks, distributed almost all over the country. It owes, in other part, to river valley disposition presenting many angular sinuosity guided by fracture grid, impeding regular migration of sandy materials along valley floor. Besides, high amplitude of river discharge fluctuation of the country plays is proved to be favorable hydrological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he sand bars. The sand bars play important roles in favor of river hydro-ecological environment. They mitigate the amplitude of discharge fluctuation regime. In flood spell, sand grains in the main channel migrate so as to broden wet section. At the spell of low water level, they newly accumulate as to impede rapid stream discharge. Especially high quantity of reserved water in porous space of sand bar is preciously available both for human livelihood and for ecologic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