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드 기여계수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2초

모드기여도를 고려한 복수모드구조물의 지진취약도분석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Multi-Modes Structures Considering Modal Contribution Factor)

  • 조양희;조성국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15-22
    • /
    • 2002
  • 이 연구는 원자력발전소 구조물의 확률론적 내진성능을 평가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지진취약도분석 기법에 대하여 소개하고, 지진취약도분석에 입력자료로 제공되는 기본변수의 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지진취약도 분석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입력변수의 하나인 응답스펙트럼형태계수의 정의 방법을 개선하였다. 새로운 응답스펙트럼형태계수는 구조물의 고유진동모드별 기여도가 전체 구조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모드별 기여도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대표적인 원자력발전소 구조물을 대상으로 예제분석을 수행하고, 제안된 응답스펙트럼형태계수의 유용성 및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이 논문의 방법은 복합모드감쇠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승용차의 차실음향 및 차체진동에 관한 연구 (III) -연성계수 및 패널 기여도를 이용한 차실모델의 실내소음 저감- (A Study on the Acoustical and Vib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Passenger Car(III) -Reduction of Interior Noise of Vehicle Compartment Model by Using Coupling Coefficient and Panel Contribution Factor-)

  • 김석현;이장무;김중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3-21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구조-음향모드 연성계수를 이용하여 심각한 소음문제가 발생하 는 경우의 효과적인 소음저감 방안을 제시하고, 제작된 차실모델에 대한 소음저감 시 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실험치와 비교함으로써 수립된 소음저감 방안의 신뢰 도와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Modal-Perturbation 기법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의 손상부위 추정 (Estimations of Offshore Structure Damages by Modal Perturbation Method)

  • 조병완;한상주
    • 전산구조공학
    • /
    • 제9권4호
    • /
    • pp.209-217
    • /
    • 1996
  • 구조물의 손상전후에 나타나는 고유진동수와 모드 형상으로 부터 Inverse Modal Perturbation기법을 이용하여 잔교식 부두나 돌핀과 같은 대규모 항만구조물의 손상도 추정을 위한 모드 기여도 계수를 근사적으로 직접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잔교식 항만구조물의 고유치 해석을 통해 구조물의 강성 변화량과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모드 형상의 변화량과 요소 손상도 계수를 도입하여 Inverse Modal Perturbation의 2차항을 고려한 관계식을 유도하고 손상전후에 구조물의 강성 감소로 나타나는 구조물의 손상도를 추정하여 수렴정도를 고찰하였다.

  • PDF

지진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모드기여계수 산정 (Estimation of Modal Participation Factor of a Structure under Earthquake Load)

  • 황재승;김홍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61-468
    • /
    • 2004
  • Modal participation factor(MPF) is essential to analyze structural response under earthquake load. MPF of real structure differs from that of analytic mathematical model due to the error induced from analytical assumption and construction. In this study, a identification method is proposed to calculate the MPF of real structure based on H∞ optimal model reduction. The MPF is obtain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observability, controllability matrix of realized from S.I. and typical 2-degree state space model.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orough examples.

  • PDF

항공기 지상 진동 시험 및 동특성 모델의 개선 (The Ground Vibration Test on an Aircraft and FE Model Update)

  • 유홍주;변관화;박금룡
    • 소음진동
    • /
    • 제8권4호
    • /
    • pp.690-699
    • /
    • 1998
  • This paper discusses the techniques, procedures and the results of the ground vibration test(GVT) performed on the development aircraft and the simple procedure of FE model updating technique from the GVT results. The GVT was carried out using random excitation technique with MIMO(Multi-Input-Multi-Output) data acquistion method, and taking full advantage of poly-reference global parameter estimation technique to identify the vibration modes. In dynamic FE modeling, the aircraft was represented by beam elements and all dynam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SC/NASTRAN for this model. In updating procedure, the stiffness of the beam model was adjusted iteratively so as to get the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close to the GVT results.

  • PDF

교량 케이블시스템의 모드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al Parameters for Cable System of Bridge)

  • 이현철;조영훈;김진수;박경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48-59
    • /
    • 2019
  • 최근 들어 장대교량의 건설에 현수교, 사장교 등과 같은 케이블이 주 요소인 교량 형식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물에서 케이블이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며, 구조해석을 위해서 케이블에 대한 연구 및 케이블의 모드 특성에 따른 구조계의 변화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케이블은 거더에 가해지는 하중효과를 주탑으로 전달하는 캠버조절과 직결되고 전체 구조에서 중요한 부재로서, 가설시 가해지는 초기 장력과 시간이 경과후 장력을 비교하므로서 교량의 노후상태와 이상유무를 파악하는 데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격해머를 통한 모드 해석으로부터 케이블의 질량과 케이블의 길이변화에 따른 모드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공용중에 있는 케이블에서는 위상각의 변화가 비례관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저차모드에서 지배모드가 결정되는 특성을 MAC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원판이 결합된 외팔 원통셸의 고유진동 특성 (Free Vibration Analysis of the Cantilevered Circular Cylindrical Shells Combined with Circular Plates at Axial Positions)

  • 임정식;이영신;손동성
    • 소음진동
    • /
    • 제7권2호
    • /
    • pp.331-345
    • /
    • 1997
  • A theoretical formulation for the analysis of free vibration of clamped-free cylindrical shells with plates attached at arbitrary axial position(s) was completed and it was programed to get the numerical results which yield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 of the combined system of the plate and the shells. The frequencies and mode shapes from theoretical calcul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ommercial finite element code, ANSYS. In order to validate the theory, modal test was also performed by impact test and FFT analysis. The results shows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ANSYS and test results in frequencies and mode shapes. The method developed herein is likely to b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free vibration of the clamped-free circular cylindrical shells with any kinds of lids such as hollow circular plates, conical shells, spherical shells, or semi-spherical shells.

  • PDF

구조물의 진동장 예측 최적센서배치를 위한 유전자 알고리듬 적합함수의 선정 (Selection of Fitness Function of Genetic Algorithm for Optimal Sensor Placement for Estimation of Vibration Pattern of Structures)

  • 정병규;배경원;정의봉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0호
    • /
    • pp.677-684
    • /
    • 2015
  • It is often necessary to predict the vibration patterns of the structures from the signals of finite number of vibration sensors. This study presents the optimal placement of vibration sensors by applying the genetic algorithm and the modal expansion method. The modal expansion method is used to estimate the vibration response of the whole structure. The genetic algorithm is used to estimate the optimal placement of vibration sensors. Optimal sensor placement can be obtained so that the fitness function is minimized in the genetic algorithm. This paper discusses the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s of two types of fitness functions, modal assurance criteria(MAC) and condition number( CN). As a result, the estimation using MAC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using CN.

한국 동해에서의 해면기압, 해수면온도와 해상풍의 경험적 직교함수 분석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of Surface Pressur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Winds over the East Sea of the Korea (Japan Sea))

  • 나정열;한상규;서장원;노의근;강인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8-20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동해에서의 바람장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해면기압과 해상풍 자료에 EOF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모드별로 고유함수의 공간적인 분포특성과 시간계수를 계산하였고 시간계수의 스펙트럼을 구하여 바람장의 공간 및 시간변동성 및 주기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평균기압의 분포는 서고동저형의 등압선 배치를 나타내며, 기압의 최대 표준 편차는 블라디보스톡 부근에 위치하고 일본연안으로 갈수록 최저 표준편차를 갖는다. 블라디보스톡 부근은 $6.5^{\circ}C$의 해수면 온도의 최대 표준편차를 갖는 지역이기도 하다. 동서성분 해상풍의 제1모드는 분산의 $47.3\%$ 제2모드는 $30\%$를 반영하며 제1모드는 블라디보스톡 해역에서 최대 변화를 보이며 1년 및 6개월의 주기를 갖는다. 특히 제2모드에서 6개월의 주기가 탁월하다. 해상풍의 남북성분의 연평균 분포는 동해전역에서 북풍계열의 바람이 탁월하며, 특히 블라디보스톡 부근에서 최대 2.2m/s 이상의 북풍이 존재하고 3.8m/s의 표준편차 최대치가 존재하며 시간변동이 크다. 해수면 수온의 공간분포 역시 블라디보스톡 해역에서 최대치가 나타난다. 해상풍과 해면 기압의 결합 직교함수의 모드별 특성은 개별 직교함수에 비해 동서성분 해상풍의 제1모드의 기여도가 증가 하였으며, 제2모드의 기여도는 감소하는 양상을 띤다. 이로 인해 동서성분 해상풍과 해면기압의 결합 직교함수 (WU-PR)의 주기성은 해면 기압의 영향으로 제1모드에서는 1년 및 6개월의 주기가 탁월하며, 제2모드에서는 3개월의 계절변화로 해상풍의 개별 직교함수의 주기와 다르게 나타난다. 해수면 온도의 직교함수까지 포함한 3개의 결합 직교함수의 EOF분석에서는 제2모드에서 해상풍의 공간분포는 해수면 온도에 좌우되는 양상을 보인다. 스펙트럼 분석결과는 제1모드에서 1년 주기가 탁월하며 제2모드는 3개월 및 4개월의 계절변화가 나타난다.

  • PDF

파력감소계수를 고려한 장대케이슨 방파제의 신뢰성해석 (Reliability Analysis of the Long Caisson Breakwater Considering to the Wave Force Reduction Parameter)

  • 이기남;박우선;김동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121-127
    • /
    • 2017
  • 구조물에 작용하는 실제 파랑은 다방향 불규칙파로써 장대 구조물의 경우 파의 위상차로 인해 파력의 감소효과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파괴확률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고 기존의 모듈형 방파제에 비해 어느 정도의 안정성이 확보되는지 확인하고자 기존 방파제 및 파력감소계수를 이용한 장대케이슨 방파제의 활동 파괴모드에 대해 신뢰성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모듈형 케이슨 방파제보다 장대케이슨 방파제의 신뢰도지수가 더 높게 나타났고, 설계변수 중 유의파고가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가로 파력감소계수의 산정에 사용되는 변수들의 평균값 변화에 따른 신뢰성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 결과 각 변수 값과 파력감소계수의 관계에서 확인된 경향이 평균값 변화에 따른 신뢰도지수 결과의 경향에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