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드 가정법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Longitudinal Vibration Analysis of an Axially Moving Material by Using the Assumed Modes Method (가정모드법을 이용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속체의 종진동 해석)

  • 정진태;허진욱;한창수
    • Journal of KSNVE
    • /
    • v.10 no.1
    • /
    • pp.138-143
    • /
    • 2000
  • Longitudinal vibration of an axially moving material is investigated by using the assumed modes method. To circumvent a difficulty in choosing the comparison functions which satisfy the boundary conditions, the assumed modes method is adopted by which equations of motion are discretized. Based on the discretized equations, the complex eigenvalue problem is solved and then the effects of the translating velocity on the natural frequencies and modes are analyzed.

  • PDF

Stability Analysis of Wakes with Chemical Reaction (연소 반응을 가지는 후류 유동의 불안정성)

  • 신동신;홍성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4a
    • /
    • pp.17-17
    • /
    • 1998
  • 연소반응을 가지는 후류(wake)는 가스터빈 연소실의 flame holder 등에서 발생한다. 후류유동의 안정성 혹은 불안정성은 이러한 유동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끼치므로 상당히 중요하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연소 반응에 의한 밀도구배를 가지는 후류유동에 대하여 불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교란에 대한 지배방정식은 Navier-Stokes 방정식에서 점성항을 제외한 Euler 방정식을 고려하였다. 충류유동의 압력은 일정하다고 가정하였다. 교란 방정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충류 유동이 평행하여 유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구배만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였다. 모든 변수들은 충류 유동의 값과 움직이는 파장의 형태를 가지는 작은 교란의 합으로 생각하여 압력에 대한 교란방정식을 구하며, shooting법과 Newton-Raphson법에 근거를 두는 반복법을 사용하여 풀었다. 불안정성 해석을 수행하는 기본 유동의 속도장 및 온도장은 불안정성 해석을 수행하는 기본 유동의 속도장 및 온도장은 비압축성의 경우 우선 Gaussian Profile 가정함과 동시에 연소반응을 포함하는 유동장을 보다 정확히 구하기 위하여 Navier-Stokes 방정식으로부터 구한 결과를 사용하였다. 연소반응을 포함하는 유동장을 구할 때에는 해석상 편의를 위해 예혼합물질은 이상기체로, 화학반응은 1단계의 비가역반응으로 가정하였으며, 반응열로 인한 부력의 효과는 무시하였다. 위와 같은 유동장을 가지고 불안정성 해석을 수행한 결과 후류유동은 두 개의 변곡점을 가지며 sinuous 모드와 varicose모드의 두 개의 불안정성 모드가 있음을 보였다. 밀도 변화가 있는 경우나 밀도 변화가 없는 경우 모두 sinuous 모드의 가장 불안정한 모드가 varicose 모드의 가장 불안정한 모드보다 더 불안정함을 보여주어 후류 유동은 자유 유동에 가까운 위상 속도를 가지는 sinuous 모드에 의해 지배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연소반응이 완전연소에 가까울수록 그리고 압축성 효과가 클수록 유동내부의 온도가 증가하고 점성 또한 증가하여 후류유동은 안정됨을 알 수 있었다 유동변수들의 contour로부터 유동의 특성을 예측한 결과 baroclinic 항이 dilatational 항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중심선 상하에 생기는 vortex를 더욱 성장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Applications of Viscoelastic Dampers for Vibration control (고층건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점탄성 감쇠기의 활용)

  • 김진구;홍성일;이경아;이동근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4 no.1
    • /
    • pp.77-88
    • /
    • 2000
  • 복소모드 중첩법은 점탄성 감쇠기가 설치된 비비례 감쇠시스템의 정확한 동적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많은 자유도를 갖는 고층건물의 해석시 고유치 해석과 모드중첩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모형화를 위하여 강막가정과 행렬응축기법을 적용하고 구조물의 진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모드의 선택을 위한 복소모드 응답참여계수를 제안하므로써 복소모드 중첩법의 효율성은 높였다. 또한 비비례 감쇠시스템에서 감쇠를 고려하여 응답스펙트럼을 재구성한후 선택된 주요 모드를 중첩하여 최대층간변위가 발생하는 곳에 감쇠기를 설치하였다 이 방법은 감쇠기가 설치된 구조물에 대하여 만족되는 수준의 최대층간변위가 발생할 때 까지 고유치 해석만을 반복.수행하면서 감쇠기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방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예제 구조물의 대상으로 해석한 결과 응답의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해석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었다.

  • PDF

Efficient Dynamic Analysis Using Complex Modal Superposition for Tall Buildings with Viscoelastic Dampers (복소모드중첩법을 이용한 점탄성감쇠기를 가진 고층건물의 효율적인 동적해석)

  • 김진구;홍성일;이경아;이동근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4
    • /
    • pp.671-679
    • /
    • 1999
  • 건물의 진동에너지 소산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점탄성감쇠를 설치하게 되면 이른바 비비례 감쇠시스템이 되어 구조물은 복소수형태의 고유모드와 고유치를 가진다. 복소모드중첩법은 이러한 복소모드를 이용하여 중첩함으로써 비비례 감쇠시스템 구조물의 정확한 동적 거동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건물이 고층화되면 많은 자유도로 인하여 고유치해석 및 모드중첩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구조물의 모형화를 위하여 강막가정과 행렬응축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몇 개의 주요 모드만을 선택하여 중첩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구조물의 진동에 영향을 주는 모드의 선택을 위한 복소모드 응답참여계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해석방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예제 구조물을 대상으로 해석한 결과, 응답의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해석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었다.

  • PDF

A Modal Analysis Technique for Large Structural Systems (대형구조물의 모우드 해석방법)

  • Lee, ln Won;Lee, Chong Won;Jung, Gil 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3 no.5
    • /
    • pp.77-83
    • /
    • 1993
  • A modified Lanczos method combined with a substructure analysis technique was used for calculating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of large structural systems. The method does not require generation and storage of stiffness and mass matrices of the entire structure. It only uses the stiffness and mass matrices of each substucture. No approximating assumptions are required other than the usual assumption of linear elastic system modelled by finite elements. Thus,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for the finite element model employed are the same as those with or without the suhstructuring algorithm. To check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first ten natural frequencies and the corresponding mode shapes of an open truss helicopter tail-boom structure are calculated by using it.

  • PDF

Longitudinal Vibration Analysis of an Axially Moving Material by Using the Assumed Modes Method (가정모드법을 이용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속체의 종진동 해석)

  • Huh, Jin-Wook;Chung, Jin-Tai;Han, Chang-Soo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0.04a
    • /
    • pp.619-624
    • /
    • 2000
  • Longitudinal vibration of an axially moving material is investigated by using the assumed modes method. to circumvent a difficulty in choosing the comparison functions which satisfy the boundary conditions the assumed modes method is adopted by which equations of motion are discretized. Based on the discretized equations, the complex eigenvalue problem is solved and then the effects of the translating velocity on the natural frequencies and modes are analyzed.

  • PDF

A Method for Vibr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of Structure System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비선형 특성을 가진 구조시스템의 진동과 감도해석 방법)

  • Moon, Byung-Young;Kim, Sa-Soo;Iwatsubo, Takuzo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3 no.4 s.35
    • /
    • pp.10-1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대형구조물의 해석에 있어서 부분구조합성법과 섭동법을 이용하여 복잡한 비선형시스템의 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해석방법은 전체시스템을 먼저 몇 개의 분계로 분할한다. 각 분계의 운동방정식에 비선형항이 존재하여도 전체시스템의 지배적 진동모드는 선형모드라는 가정하에 이 시스템의 각 분계를 모드좌표로 변환한다. 이때, 비선형항은 근사적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섭동법을 이용하여 각 분계의 모드좌표방정식은 섭동좌수별로 정식화되어 순차적으로 구해진다. 비선형의 감도는 비선형계수로 정의되고, 그에 상응하는 강성에 의해 구해진다. 제안된 해석방법으로 비선형회전체, 비선형 베어링-페데스탈로 구성된 대형시계구조물의 진동을 해석하였다. 해석방법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응답의 정도와 계산소요시간을 유한요소법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nalysis of Coaxial Line Transmission Charactristics and Shielding Effectiveness Using by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Method (시간영역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동축선로의 전송특성 및 차폐효과 해석)

  • 남상식;윤현보;김정렬;백낙준;우종우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6 no.4
    • /
    • pp.11-19
    • /
    • 1995
  • In this paper, the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FDTD) method is used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axial line transmission coefficent, shielding effectiveness, and compared to results of the moment method. The excitation mode of the Gaussian pulse is assumed to be a TEM-mode instead of the TE or TM-mode and in order to eliminate the reflected wave with in short length of the line. Calculated value of shielding effectiveness of the coaxial line by the FDTD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the moment method.

  • PDF

램 가속기 성능 향상을 위한 예 혼합기 조성비 최적화에 관한 연구

  • 전용희;이재우;변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15-15
    • /
    • 1999
  • 램 가속기에 대한 연구는 램 가속기의 작동 조건이 고온, 고압, 초고속이라는 점과 가속기 내부에서 급격한 화학반응이 수반된다는 특성으로 인하여 실험과 해석상의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한다. 램 가속기는 작동 모드에 따라 탄체 후방의 열적 질식 조건을 이용한 열적 질식 모드(Thermally Choked Mode)와 탄체 표면에 형성되는 데토네이션파를 이용한 초폭굉모드(Superdetonative Mode)로 나뉘어진다. 본 연구는 초폭굉 모드로 작동하는 램 가속기의 작동 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수치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램 가속기 내부 예 혼합기의 조성비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설계 변수로는 수소와 질소의 조성비를 선정하였으며, 최적 설계 목표는 일정한 질량과 형상을 갖는 탄체를 초기속도 2500m/s에서 3000m/s로 가속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램 가속관의 길이로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베법에 기반한 Simplex 방법 및 SLP(Sequential Linear Programming)등의 수치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였고, 가속기 내부의 유동장은 해석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이차원 비점성 유동으로 가정하였고, 비평형 화학반응 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Deployment or Retraction of Beam with Large Rotational Motion (대각 선회하는 보의 전개 및 수납)

  • 김상원;김지환
    • Journal of KSNVE
    • /
    • v.11 no.1
    • /
    • pp.111-117
    • /
    • 2001
  • Present work deals with a study on the deployment or retraction of cantilever beam that includes the rigid-body motion of large displacement of beam through the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motions in 2-dimensional plane. The equations of motion are derived with respect to non-Cartesian coordinate system. In the formulation of equations of motion, shear deformations and geometrically non-linear effect are included. An assumed mode method is applied and numerical convergence characteristics are studied also. Types of motion of the moving beam are assumed to be classified as‘slow’or‘fast’motion,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