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델 기반 아키텍처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32초

ADL 모델 관리기 설계를 위한 XML기반 ADL 메타모델 정의 (Defining XML Based ADL Meta Model for the Design of ADL Model Manager)

  • 강미나;승현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94-96
    • /
    • 2003
  •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을 위한 방법 중에 최근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방식으로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CBD : Component-Based Development)방식이 있다. CBD에 있어 컴포넌트 시스템은 잘 정의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컴포넌트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정확하고 엄밀하게 설계, 분석하기 위해서는 아키텍처 기술 언어(ADL)의 사용이 필요하다. 아키텍처 모델링에 ADL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ADL로 기술된 아키텍처 모델을 효율적으로 분석, 처리, 관리할 수 있는 지원 환경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ADL 모델 지원 환경 시스템의 구조를 기술하고 본 연구팀에서 개발 중인 ADL 모델 관리기의 구조를 기술한다. 또한 ADL 모델 관리기 개발에 기본이 되는 XML 기반 ADL 메타모델을 정의한다.

  • PDF

ADL 모델 관리를 위한 XML기반 ADL모델 변환기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XML Based ADL Mode1 Converter for the Management of ADL Model)

  • 강미나;양현미;승현우;전태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130-132
    • /
    • 2004
  • CBD(Component-Based Development)에 있어 컴포넌트 시스템은 잘 정의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컴포넌트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정확하고 엄밀하게 설계. 분석하기 위해서는 아키텍처 기술 언어(ADL)의 사용이 필요하다. 아키텍처 모델링에 ADL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ADL로 기술된 아키텍처 모델을 효율적으로 분석, 처리 관리할 수 있는 지원 환경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ADL 모뎀 지원 환경 시스템의 구조를 기술하고 본 연구팀에서 개발 중인 ADL 모델 관리기의 구조를 기술한다. ADL 모델 관리기 중 ADL 모델 정보들을 XML 형태로 저장, 관리하기 위한 XML 기반 ADL 모델 변환기의 구조를 기술하며 ADL-XML 변환 방법을 설명하고 그 변환 결과를 보여준다.

  • PDF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모델의 웹 기반 시스템 적용을 위한 SVG Web Publishing (Enterprise Architecture Modeling apply to real time web publishing based on XML with SVG )

  • 방수윤;하종우;류병걸;이상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55-458
    • /
    • 2008
  • 기업의 전사적 비즈니스와 IT 환경의 통합 청사진을 보여주는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의 효율적인 시스템 적용을 위하여는 조직의 비즈니스, 정보, 응용시스템, 기술 기반구조의 연관관계와 미래모델을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기존 ITAMS 혹은 EAMS 라고 불리는 시스템에 아키텍처 툴을 이용하여 EA 의 모델정보를 퍼블리싱하여 시각화하였는데 시스템과 아키텍처 툴간의 플랫폼의 이질성으로 인하여 아키텍처정보를 그래픽화하여 변환하고 해당정보를 시스템에서 보여주는데 실시간 적용이 불가능 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원활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XML 기반의 SVG 그래픽 도구를 이용하여 아키텍처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SVG 정보의 자동 생성 및 웹기반 모델링 툴을 구현하여 시스템과 모델링 툴의 단일 레파지토리화를 통하여 데이터의 이원화를 해소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하는 패턴을 구현한다.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뷰 모델 ((The View Model of Software Architecture for Component Based Software Development))

  • 박준석;문미경;염근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5_6호
    • /
    • pp.515-528
    • /
    • 2003
  •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컴포넌트 기반 개발에서 컴포넌트의 재사용성과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Kruchten이 제시한 4+1 뷰 모델을 기반으로 재 정의한 컴포넌트 기반 4+1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뷰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뷰 모델의 요소와 UML을 이용한 뷰 모델 요소의 표현을 제시한다 이 아키텍처는 컴포넌트의 사용문맥을 각 뷰에 반영함으로써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와, 컴포넌트의 상호 작용에 대한 정보 등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구성에 대한 틀을 구성한다.

아키텍처 기반의 컴포넌트 조립을 지원하는 아키텍처 기술 언어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rchitecture description language that supports architecture-based component assembly)

  • 노성환;신동익;전태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2)
    • /
    • pp.16-18
    • /
    • 2002
  • 컴포넌트 시스템은 잘 정의된 아키덱처를 기반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정확하고 엄밀하게 설계, 분석하기 위해서는 아키텍처 기술언어(ADL)의 사용이 필요하다. 컴포넌트 시스템의 아키텍처 모델링에 ADL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ADL로 기술된 명세 수준의 아키텍처 모델로부터 목표한 플랫폼에 부합하는 컴포넌트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C2 스타일의 아키텍처에 기반한 컴포넌트 합성을 지원하는 ADL을 설계, 구현한 결과와 이를 EJB 컴포넌트들의 조립을 지원하는도구의 아키텍처 기술 언어로 사용한 사례를 설명한다.

  • PDF

웹 기반 응용을 위한 직물 기반 접근 제어 시스템 모델 설계 (Design of a System Model for the Role-Based Access Control for Web-Based Applications)

  • 이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63-69
    • /
    • 2004
  • 본 논문의 목적은 안전한 직무 기반 접근 제어 모델을 웹 기반 응용 시스템에 통합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 모델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에 본보기로 활용할 수 있는 유저풀 방식의 시스템 아키텍처 모델을 제안하고, 이 시스템 아키텍처가 웹 기반 응용 시스템에서 실제로 어떻게 직무 기반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지를 보여주는 시스템 동작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 모델을 기존의 시스템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존 방식에 대한 개선 효과를 제시한다.

  • PDF

다중 관점 제품계열아키텍처의 가변성 관리 및 일관성 검사를 위한 특성 지향 접근방법 (A Feature-Oriented Approach to Variability Management and Consistency Analysis of Multi-Viewpoint Product Line Architectures)

  • 이관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6호
    • /
    • pp.803-814
    • /
    • 2008
  • 제품계열아키텍처는 제품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가변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아키텍처이다. 제품계열아키텍처부터 특정 제품을 위한 유효한 아키텍처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제품계열아키텍처 내의 가변요소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성모델과 제품계열아키텍처 모델간의 명시적인 대응관계를 통해서 제품계열아키텍처의 가변성을 관리한다. 하지만, 이들 모델 간의 대응관계가 올바르지 않거나, 제품계열 아키텍처의 구성요소들 간에 일관성이 없다면, 제품계열아키텍처의 가변성 관리가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제품계열아키텍처를 개념, 프로세스, 배치, 모듈의 네 가지 관점의 모델로 정의하고, 특성 모델과 이들 모델 사이의 대응관계를 정형적으로 정의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품계열아키텍처의 올바른 가변성 관리를 위해서, 제품계열아키텍처 모델의 일관성, 다른 관점의 아키텍처 모델간의 일관성, 특성모델과 제품계열아키텍처 모델간의 일관성 검사를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이러한 일관성 규칙은 제품계열아키텍처로부터 유효한 제품 아키텍처를 유도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아키텍처 모델 기반의 유닛 테스트 자동 생성 방법 (Method of Unit Test Oliver Automatic Generation Based on Architecture Model)

  • 윤석진;이승연;정양재;신규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388-390
    • /
    • 2005
  • 본 연구는 컴포넌트로 구성된 일반 아키텍처 모델에서 개별 컴포넌트의 기능성을 컴포넌트 개발 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유닛 테스트 기반의 테스트 드라이버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연구는 아키텍처 모델에서 컴포넌트의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아키텍처 설계자가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상 기대값, 컴포넌트의 상태 정보, 특정 시점에서의 인터페이스의 입력정보들을 입력하면 이 정보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기 전에 컴포넌트의 상대를 설정하는 테스트 준비 코드와 테스트를 수행한 후에 발생하는 결과값과 예상 기대값을 비교하여 확인하게 하는 테스트 악인 코드를 포함하는 테스트 드라이버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본 연구에 의하면, 아키텍처 설계 단계에서 아키텍처 설계자가 컴포넌트 개발자에게 테스트 드라이버 코드를 제공하게 함으로써 아키텍처 설계에서 요구하는 컴포넌트의 기능이 개별 컴포넌트 별로 제대로 개발되는지 개발시에 자동으로 검증하게 할 수 있다.

  • PDF

음성 데이터 전처리 기법에 따른 뉴로모픽 아키텍처 기반 음성 인식 모델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peech Recognition Model based on Neuromorphic Architecture of Speech Data Preprocessing Technique)

  • 조진성;김봉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69-74
    • /
    • 2022
  • 뉴로모픽 아키텍처에서 동작하는 SNN (Spiking Neural Network) 은 인간의 신경망을 모방하여 만들어졌다. 뉴로모픽 아키텍처 기반의 뉴로모픽 컴퓨팅은 GPU를 이용한 딥러닝 기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뉴로모픽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다양한 인공지능 모델을 지원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 데이터 전처리 기법에 따른 뉴로모픽 아키텍처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의 성능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푸리에 변환 기반 음성 데이터 전처리시 최대 84% 정도의 인식 정확도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뉴로모픽 아키텍처 기반의 음성 인식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클라우드 모델 기반의 자산 효율성 평가 (Cloud Model based Efficiency Evaluation of Asset)

  • 최한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229-234
    • /
    • 2019
  • 소프트웨어 시장은 모바일 시장 확장으로 다품종의 다변화된 서비스 요구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도메인 시장의 정형화된 아키텍처 자산을 기반으로 설계 도메인으로 확장하여 다양한 앱을 생산하고자 한다. 아키텍처 설계 정보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자산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자산 관리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된 자산관리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하기 위해 아키텍처 자산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아키텍처 자산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아키텍처 자산의 도메인 특성 값을 반영하기 위한 방법을 사용 하였다. 효율성 평가는 SQuaRE Series의 ISO/IEC 25010 표준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자산데이터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모델 부 특성을 구성하였다. 아키텍처 자산은 복합자산으로 구성되어 설계되었을 때 설계 도메인의 특성에 따라 평가 항목의 가중치를 부여한 부 특성의 필수적 평가요소와 선택적 평가요소를 적용하도록 하여 평가모델의 설계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