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델 그래프

Search Result 65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ndexing Mechanism for Efficient Semantic Query Processing (효율적인 시멘틱 질의 처리를 위한 인덱싱 기법)

  • Kim Hak-Soo;Cha Hyun-Seok;Son J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97-100
    • /
    • 2006
  • RDF 는 트리플의 집합으로서 그래프 데이터 모델로 표현되며, 사용자는 RDF 그래프 모델로부터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시멘틱 질의 언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최악의 경우 전체 그래프 데이터 모델을 검색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의 연구에서는 시멘틱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인덱스를 사용한다. 시멘틱 질의 언어(RDQL, SPARQL)의 핵심은 RDF 트리플에 대한 패턴을 기술함으로써 원하는 트리플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인덱스는 단일 트리플을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데 초점을 둔다. 거라나 트리플 패턴의 집합으로 질의가 표현될 경우에는 트리플 패턴 사이의 상관관계 때문에 조인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인덱싱 기법을 제안한다. RDF 그래프 모델에서 유지해야 할 정보를 줄이기 위해서 RDF 그래프 모델에 존재하는 유사한 서브 그래프를 하나의 서브 그래프로 병합한다. 병합절차를 마친 여러 서브 그래프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를 인덱스에 유지 함으로써 조인 비용을 제거한다.

  • PDF

A Hierarchical Graph Structure and Operations for Real-time A* Path finding and Dynamic Graph Problem (실시간 A* 길 찾기와 동적 그래프 문제를 위한 계층적 그래프 구조와 연산자)

  • Kim, Tae-Won;Cho, Kyung-Eun;Um, Ky-Hy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4 no.3
    • /
    • pp.55-64
    • /
    • 2004
  • A dynamic graph is suitable for representing and managing dynamic changable obstacles or terrain information in 2D/3D games such as RPG and Strategy Simulation Games. We propose a dynamic hierarchical graph model with fixed level to perform a quick A* path finding. We divide a graph into subgraphs by using space classification and space model, and construct a hierarchical graph. And then we perform a quick path fading on the graph by using our dynamic graph operators. With our experiments we show that this graph model has efficient properties for finding path in a dynamic game environment.

  • PDF

Next POI Recommendation based on Graph Neural Network of Augmented Graph (증강 그래프 기반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를 활용한 POI 추천 모델)

  • Hyun Ji Jeong;Gwangseon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6-18
    • /
    • 2023
  • 본 연구는 궤적 데이터(trajectory data)를 대상으로 증강 그래프 기반의 그래프 뉴럴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다음에 방문한 장소를 추천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전체 궤적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추출한 글로벌 궤적 플로우의 특성을 다음 방문할 POI 추천에 활용한다. 이때, POI 추천시 자주 발생하는 두 가지 문제를 추가로 해결함으로써 POI 추천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 번째 문제는 추천 대상 궤적 데이터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문제는 콜드-스타트 문제이다. 기존 POI 추천 모델은 매우 적은 방문 기록만 가지는 사용자 또는 POI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예측 성능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궤적 그래프에서 일부 엣지를 삭제하여 생성한 증강 그래프 기반의 궤적 플로우 특징 기반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짧은 길이의 궤적 데이터 및 콜드-스타트 사용자/POI에 대한 추천 성능을 높인다.

Learning Probabilistic Graph Models for Extracting Topic Words in a Collection of Text Documents (텍스트 문서의 주제어 추출을 위한 확률적 그래프 모델의 학습)

  • 신형주;장병탁;김영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265-26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문서의 주제어를 추출하고 문서를 주제별로 분류하기 위해 확률적 그래프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텍스트 문서 데이터를 문서와 단어의 쌍으로(dyadic)표현하여 확률적 생성 모델을 학습하였다. 확률적 그래프 모델의 학습에는 정의된 likelihood를 최대화하기 위한 EM(Expected Maximization)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TREC-8 AdHoc 텍스트 에이터에 대하여 학습된 확률 그래프 모델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로부터 찾아 낸 문서에 대한 주제어가 사람이 제시한 주제어와 유사한 지와, 사람이 각 주제에 대해 분류한 문서가 이 확률모델로부터의 분류와 유사한 지를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 PDF

Graph Classification using Co-occurrent Frequent Subgraphs (동시 발생 빈발 부분그래프를 이용한 그래프 분류)

  • Park, Ki-Sung;Han, Yong-Koo;Lee, You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109-111
    • /
    • 2011
  • 대부분의 빈발 부분그래프를 이용한 그래프 분류 알고리즘들은 빈발 부분그래프를 마이닝하여 개별적인 빈발 부분그래프의 포함 여부를 특징 벡터로 구성하는 단계와 기계학습 알고리즘들을 훈련시켜 분류 모델을 수립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그래프 분류 알고리즘들은 부분그래프의 개별적인 존재 여부만을 이용하여 특징을 구성하기 때문에 변별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빈발 부분그래프들이 동시 발생하는 특징 벡터의 변별력을 반영할 수 있는 특징선택 기법을 적용한 모델 기반 탐색트리 기법을 제안한다. 동시 발생 부분그래프를 특징으로 사용하여 변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델기반 탐색 트리를 사용하여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더 높은 그래프 분류 성능을 보이는 것을 입증하였다.

Improving Embedding Model for Triple Knowledge Graph Using Neighborliness Vector (인접성 벡터를 이용한 트리플 지식 그래프의 임베딩 모델 개선)

  • Cho, Sae-rom;Kim, Han-jo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6 no.3
    • /
    • pp.67-80
    • /
    • 2021
  • The node embedding technique for learning graph represen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obtaining good quality results in graph mining. Until now, representative node embedding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for homogeneous graphs, and thus it is difficult to learn knowledge graphs with unique meanings for each edge. To resolve this problem, the conventional Triple2Vec technique builds an embedding model by learning a triple graph having a node pair and an edge of the knowledge graph as one node. However, the Triple2 Vec embedding model has limitations in improving performance because it calc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iple nodes as a simple measur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feature extraction technique based on a grap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o improve the Triple2Vec embedding model.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the neighborliness vector of the triple graph and learns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ing nodes for each node in the triple graph. We proves that the embedding model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e existing Triple2Vec model through category classification experiments using DBLP, DBpedia, and IMDB datasets.

Integrating Transition-based and Graph-based Dependency Parsers using Dual Decomposition (Dual Decomposition을 이용한 전이기반 및 그래프 기반 의존 파서 통합 모델)

  • Min, Jin-Woo;Na, Seung-Hoon;Sin, Jong-Hun;Kim, Young-K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25-29
    • /
    • 2019
  • 딥러닝을 이용한 한국어 의존 파싱은 전이 기반 방식과 그래프 기반 방식으로 나뉘어 연구되어 왔다. 전이 기반 방식은 입력 버퍼와 스택으로부터 자질을 추출하여 모델을 통해 액션을 결정하고 액션에 따라 파스트리를 생성해 나가는 상향식(Botton-Up)의 지역적 모델이고 그래프 기반 방식은 문장 내의 모든 단어에 대해 지배소, 의존소가 될 수 있는 점수를 딥러닝 모델을 통해 점수화하여 트리를 생성하는 전역적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Dual Decomposition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전이 기반 파서와 그래프 기반 파서를 결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BERT 언어 모델을 반영하여 세종 데이터 셋에서 UAS 94.47%, LAS 92.58% 그리고 SPMRL '14 데이터 셋에서 UAS 94.74%, UAS 94.20%의 성능을 보여 기존 그래프 기반 파서의 성능을 더욱 개선하였다.

  • PDF

Graph Random Walk Analysis for Chat Messenger User Verification (채팅 메신저 사용자 검증을 위한 그래프 랜덤 워크 분석)

  • Lee, Da-Young;Cho, Hwan-Gu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79-84
    • /
    • 2021
  • 메신저 사용의 증가와 함께 관련 범죄와 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메시지 사용자 검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기반의 인스턴트 메세지 분석 모델을 제안하여 채팅 사용자를 검증하고자 한다. 사용자 검증은 주어진 두 개의 텍스트의 작성자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문제다. 제안 모델에서는 사용자의 이전 대화를 토대로 n-gram 전이 그래프를 구축하고, 작성자를 알 수 없는 메세지를 이용해 전이 그래프를 순회한 랜덤워크의 특성을 추출한다. 사용자의 과거 채팅 습관과 미지의 텍스트에 나타난 특징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모델은 10,000개의 채팅 대화에서 86%의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로 사용자를 검증할 수 있었다. 전통적인 통계 기반 모델들이 명시적 feature를 정의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이용해 통계 수치로 접근하는데 반해, 제안 모델은 그래프 기반의 문제로 치환함으로써 제한된 데이터 분량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내는 자동화된 분석 기법을 제안했다.

  • PDF

A Study on Hyper Parameters of Graph Neural Network (그래프 신경망 하이퍼 파라미터 연구)

  • Youn-A Min;Jin-Young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517-51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신경망의 하이퍼 파라미터들이 그래프 신경망 모델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규모 그래프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진 분류 문제를 예측하는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 모델(Graph Convolution Network Model)을 구현하고 모델의 다양한 하이퍼 파라미터 중 손실함수와 활성화 함수를 여러 가지 조합으로 적용하며 모델 학습과 예측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활성화 함수보다는 손실함수의 선택이 모델의 예측 성능에 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Query Model for Consecutive Analyses of Dynamic Multivariate Graphs (동적 다변량 그래프의 연속적 분석을 위한 질의 모델 설계 및 구현)

  • Bae, Yechan;Ham, Doyoung;Kim, Taeyang;Jeong, Hayjin;Kim, Dongyoo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6
    • /
    • pp.103-113
    • /
    • 2014
  • This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a query model for consecutive analyses of dynamic multivariate graph data. First, the query model consists of two procedures; setting the discriminant function, and determining an alteration method. Second, the query model was implemented as a query system that consists of a query panel, a graph visualization panel, and a property panel. A Node-Link Diagram and the Force-Directed Graph Drawing algorithm were used for the visualization of the graph. The results of the queries are visually presented through the graph visualization panel. Finally, this study used the data of worldwide import & export data of small arms to verify our model.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in the fact that, through the model which is able to conduct consecutive analyses on dynamic graph data, it helps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models which can only perform discrete analysis on dynamic data.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ture studies such as online decision making and complex network analysis, that use dynamic graph mod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