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델스캐너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omparative study on quality of scanned images from varying materials and surface conditions of standardized model for dental scanner evaluation (치과용 스캐너 평가를 위한 국제표준모델의 재료 및 표면 상태에 따른 스캔 영상 결과물 비교 연구)

  • Park, Ju-Hee;Seol, Jeong-Hwan;Lee, Jun Jae;Lee, Seung-Pyo;Lim, Young-Jun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4 no.2
    • /
    • pp.104-11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age acquisition ability of intraoral scanners by analyzing the comprehensiveness of scanned images from standardized model, and to identify problems of th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Cast models and 3D-printed models were prepar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set by ISO12836 and ANSI/ADA no. 132, which were then scanned by model scanner and two different intraoral scanners (TRIOS3 and CS3500). The image acquisition performance of the scanner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and the study was repeated with varying surface conditions of the models. Results: Model scanner produced the most accurate images in all models. Meanwhile, CS3500 showed good image reproducibility for angled structures and TRIOS3 showed good image reproducibility for rounded structures. As for model ingredients, improved plaster model best reproduced scan images regardless of the type of scanner used. When limited to 3D-printed model, powdered surface condition resulted in higher image quality. Conclusion: When scanning structures beyond FOV (field of view) in standardized models (following ISO12836 and ANSI/ADA 132), lack of reference points to help distinguish different faces confuses the scanning and matching process, resulting in inaccurate display of images. These results imply the need to develop a new standard model not confined to simple pattern repetition and symmetric structure.

Automatic Generation of 3D Models using ETRI- Moire Scanner (ETRI-모아레 스캐너를 이용한 3차원 모델의 자동생성)

  • 권대현;최이배;이의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1b
    • /
    • pp.47-52
    • /
    • 1999
  • The visualization of Moire or laser-scanned data has been explored by many researchers and has been an important issue on computer graphics research. In this paper, we present various techniques that handle tremendous amount of 3D range data which are generated by the ETRI- Moire Scanner. The techniques include constructing an efficient data structure, constructing triangle meshes and decimation and registration of multiple-view range images and textures.

  • PDF

Development of 3D Whole Body Scanner: 3D Model Studio (3차원 전신 스캐너 개발 : 3차원 모델 스튜디오)

  • 구본기;박종승;이민석;오광만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71-174
    • /
    • 2000
  • 실세계의 물체를 디지털화하는 다양한 작업들이 그래픽 모델링 분야 및 멀티미디어 응용 기술 분야에서 행하여 지고 있다. 이러한 물체의 디지털화 기술은 3차원 스캐너의 보급과 함께 급속도로 빠른 발전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Model Studio”라고 명명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인체대상의 3차원 전신 스캐너 시스템의 개발을 소개하고 그 구현 방법을 알아본다.

  • PDF

3D Road Shape Production Technique Using Composition of Laser Data and CCD Image (레이저 데이터와 CCD영상의 합성을 통한 3차원 도로형상 생성기법)

  • Rhee Soo-Ahm;Kim Tae-Jung;Jeong Dong-Hoon;Sung Jung-G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15-18
    • /
    • 2006
  • 도로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제작된 도로 안정성 조사 분석 차량(RoSSAV)은 도로의 3차원 정보를 취득하는 한 방법으로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한다. 레이저 스캐너로부터 취득된 도로의 3차원 정보는 많은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정보이나, 도로의 3차원 정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편집을 하게 되면, 현실감 있는 영상이 생성되기는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스캐너로부터 얻은 정보와는 별도로 CCD 카메라로 도로 전방 영상을 촬영하였고, 이 두 가지 데이터를 합성하여 현실감 있는 3차원 도로영상을 생성하는 기법을 연구 개발하였다. 레이더 영상과 CCD 영상의 합성은 레이저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3차원의 위치에 해당하는 CCD영상에서의 영상점을 찾아 이 점에서의 RGB 밴드의 밝기값을 찾아내어 이를 레이저 데이터에 기록, 적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영상간의 관계모델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직접선형변환(DLT)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 모델을 이용하기 위해 레이저 데이터를 영상으로 편집하였고 이 영상과 CCD영상과 일치하는 지점을 육안으로 찾아 각 영상별로 DLT센서모델에 필요한 개수의 기준점을 제작하여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영상은 기준점의 정확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합성 전의 레이저 데이터 영상에 비해 실세계에 가까운 색깔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 PDF

3D Scan Model Fitting by Using Statistics (통계를 이용한 3차원 스캔모델 맞춤 방법)

  • Soohyun Jeon;Hyewon Se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219-222
    • /
    • 2008
  • 3차원 인체 스캐너로부터 얻어진 인체형상데이터는 여러 인체에 대한 3차원 평균 모델을 만들어 내는 등의 통계적 분석이나 자세 변경을 위해 필요한 내부 골격 구조와 골격과 피부조직 사이의 관계 등을 계산해 내기 어렵다. 또, 이러한 통계적 분석을 위해서는 각 모델 간의 상응 관계가 확립되어야 하지만 스캐너로부터 얻어진 인체 형상 데이터들은 측정 환경이나 대상에 따라 각각이 서로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템플릿 모델을 3차원 인체데이터에 맞도록 변형함으로써 다수의 인체 형상에 대하여 토폴로지를 일치시키도록 한다. 3차원 인체 데이터에 대해 템플릿 모델이 가장 근사한 형상이 되도록 하는 변형을 자동으로 찾아내기 위해서 표면 위에 정의된 특징점들을 사용한다. 또한, 기존에 찾아둔 특징점군 및 변형정보 데이터가 충분히 많다면 새로운 변형을 계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이렇게 상응 관계가 확립된 모델들은 삼차원 벡터 공간의 점들의 집합으로 표현 및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An Affective 3D Facial Makeup Simulation Using a Multi-sensory Interaction (다중 감각 인터랙션을 이용한 감성적 3차원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 Kim, Jeong-Sik;Kim, Hyeon-Joong;Choi, Soo-M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00-506
    • /
    • 2007
  • 얼굴에 대한 시각적 인지는 오랫동안 인간에게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수 세기 동안 이루어져 왔던 미용 화장과 성형, 치아 교정 등의 다양한 연구는 사람의 얼굴을 감성적 측면에서 어떻게 하면 아름답게 만들 수 있는 가에 초점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휴먼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햅틱 장치와 스테레오 디스플레이를 혼합한 다중 감각 인터랙션 기반의 감성적인 3차원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본 연구는 3차원 스캐너 장비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모델을 추출하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urface elements 표현 기반의 3차원 얼굴 필터링 방법과 얼굴 메이크업을 지원하는 페인팅 방법을 개발한다. 우선 사용자의 얼굴 모델을 3차원 스캐너로 획득한 후, 전처리 얼굴 필터링을 수행하여 조명, 그리고 사용자 얼굴 피부 상태에 기인하는 에러 및 속성들을 보정하고 피부 톤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으로 변경한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햅틱 및 스테레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페인팅 표면 모델에 메이크업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surface elements 표현 기반의 그래픽 렌더링은 일반적인 메쉬 기반 페인팅의 문제점인 텍스쳐 왜곡 현상을 완화하고, 3차원 스캐너 장치에 기인하는 표면 에러를 보정한다. 그리고 전처리 얼굴 필터링과 메이크업 페인팅 방법은 사용자 중심의 감성적인 3차원 얼굴을 재구성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러한 기술들이 다중 감각 인터페이스 기반의 메이크업 시뮬레이터의 기본 프레임워크가 되어, 차후 메이크업이나 코디네이션 분야 등의 디지털 콘텐츠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intraoral scanner by three-dimensional analysis in single and 3-unit bridge abutment model: In vitro study (단일 수복물과 3본 고정성 수복물 지대치 모델에서 삼차원 분석을 통한 구강 스캐너의 정확도 비교)

  • Huang, Mei-Yang;Son, Keunbada;Lee, Wan-Sun;Lee, Kyu-Bok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7 no.2
    • /
    • pp.102-10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ree types of intraoral scanners and the accuracy of the single abutment and bridge abutment model.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a single abutment, and a bridge abutment with missing first molar was fabricated and set as the reference model. The reference model was scanned with an industrial three-dimensional scanner and set as reference scan data. The reference model was scanned five times using the three intraoral scanners (CS3600, CS3500, and EZIS PO). This was set as the evaluation scan data. In the three-dimensional analysis (Geomagic control X), the divided abutment region was selected and analyzed to verify the scan accuracy of the abutmen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alpha}=.05$). The accuracy of intraoral scanners was compared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and pos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Pairwise test. The accuracy difference between the single abutment model and the bridge abutment model was analyzed by the Mann-Whitney U test. Results: The accuracy according to the intraoral scann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 < .05). The trueness of the single abutment model and the bridge abutment mode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showed better trueness in the single abutment (P < .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cision (P = .616). Conclus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ccuracy of single and bridge abutments, the error of abutment scan increased with increasing scan area, and the accuracy of bridge abutment model was clinically acceptable in three types of intraoral scanners.

Development of SVDB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ecurity (보안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SVDB 개발)

  • 이원영;조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7-21
    • /
    • 2002
  • 네트워크 보안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많은 조직들이 다양한 보안 시 스템을 네트워크에 적용하고 있다. 침입 차단 시스템, 침입 탐지 시스템, 취약점 스캐너와 같은 보안 시스템들이 취약성 정보를 공유하게 되면 일관된 통합 보안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본 연구진은 통합 보안 시뮬레이션 환경의 구축을 위해 여러 보안 시스템 모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취약성 정보들을 집약시킴으로써 보안 시스템간의 정보 공유를 쉽게 할 수 있는 SVDB (Simulation based Vulnerability Data Base)를 구축하였다. 네트워크의 한 구성요소인 SVDB는 보안 시스템 모델의 구성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어 한 호스트나 네트워크가 갖는 취약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SVDB는 침입 탐지 시스템과 같은 보안 시스템이 존재하는 네트워크를 시뮬레이션 하는데 필요한 보안 정보를 제공한다. 보안시스템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은 DEVS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방법론을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이렇게 구축된 시뮬레이션 모델들이 SVDB와 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현하였다. 취약성 스캐너, 침입 탐지 시스템, 침임 차단 시스템이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공격에 효과적인 대응하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인다.

  • PDF

Comparison of digital models generated from three-dimensional optical scanner an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3차원 광학 스캐너와 콘빔CT에서 생성된 디지털 모형의 비교)

  • Kwon, Hyuk-Jin;Kim, Kack-Kyun;Yi, Won-Jin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2 no.1
    • /
    • pp.60-69
    • /
    • 2016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of digital models from 3 dimentional (3D) optical scanner an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terials and Methods: We obtained digital models from 11 pairs of stone casts using a 3D optical scanner and a CBCT, and compared the accuracy of the models. Results: The error range of average positive distance was 0.059 - 0.117 mm and negative distance was 0.066 - 0.146 mm. Statistically (P < 0.05), average positive distance was larger than $70{\mu}m$ and shorter than $100{\mu}m$, and that of negative distance was larger than $100{\mu}m$ and shorter than $120{\mu}m$.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accuracy of digital models generated from CBCT is not appropriate to make final prostheses. However, it may be acceptable for provisional restorations and orthodontic diagnoses with respect to the accuracy of the digitalization.

A Photogrammetric Approach to Create 3-Dimensional Models of Irregular-shaped Curves (부정형 곡선의 3차원 모델 제작에 대한 사진측량적 접근)

  • Chang, Ji Hong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0 no.6
    • /
    • pp.545-551
    • /
    • 2017
  • It is very important to effectively obta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uman body shape for user-centered design. The human body shape is a huge combination of various irregular curves and is typically obtained by a 3-D Scanner. 3-D scanners show high reliability; however, they are expnsive equipment with limited mobility. 3-D models of irregular-shaped curves were created by a photogrammetric approach and the errors between the original curve and the models were evaluated. 3-D models were created based on 160, 80, 40, 20, 10, and 5 marking points evenly located on the original curve. In the case of convex curve, low levels of residuals were observed in the models from 160, 80, 40, and 20 marking points (0.13% max). In the combination of convex and concave curves, relatively low levels of residuals were observed in the models from 160, 80, and 40 marking points (0.29%).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marking points should be placed at every 5% of overall length of a convex curve and at every 2.5% of overall length of a curve with convex and concave curve in order to maintain low levels of errors. A photogrammetric approach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or the 3-D scanners with advantages of low cost and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