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델기반

Search Result 19,255,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Text Classification using Cloze Question based on KorBERT (KorBERT 기반 빈칸채우기 문제를 이용한 텍스트 분류)

  • Heo, Jeong;Lee, Hyung-Jik;Lim, Joon-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86-48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KorBERT 한국어 언어모델에 기반하여 텍스트 분류문제를 빈칸채우기 문제로 변환하고 빈칸에 적합한 어휘를 예측하는 방식의 프롬프트기반 분류모델에 대해서 소개한다. [CLS] 토큰을 이용한 헤드기반 분류와 프롬프트기반 분류는 사전학습의 NSP모델과 MLM모델의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텍스트의 의미/구조적 분석과 의미적 추론으로 구분되는 텍스트 분류 태스크에서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의미/구조적 분석 실험을 위해 KLUE의 의미유사도와 토픽분류 데이터셋을 이용하였고, 의미적 추론 실험을 위해서 KLUE의 자연어추론 데이터셋을 이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MLM모델의 특성을 반영한 프롬프트기반 텍스트 분류에서는 의미유사도와 토픽분류 태스크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NSP모델의 특성을 반영한 헤드기반 텍스트 분류에서는 자연어추론 태스크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PDF

Experience in Model Driven Development of Embedded Software (모델 기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개발 경험)

  • 이정림;박사천;권기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400-402
    • /
    • 2004
  •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의 성공여부는 정점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쪽으로 비중이 옮겨지고 있다. 그런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은 하드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에 드는 비용보다 더 않은 비용으로도 효과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는 제한된 자원과 절러 가지 환경 변수를 고려해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모델기반의 개발 방법은 비용-효율적이고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논문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인 로봇 작동 프로그램을 모델기반으로 개발한 경험과 결과를 소개함으로써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쉽게 모델기반의 개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Surrogate Model-Based Global Sensitivity Analysis of Components of a Test Mock-Up Nuclear Containment Building subjected to Internal Pressure (내압을 받는 축소규모 원전 격납건물 구성요소의 대리모델 기반 전역 민감도 분석)

  • Son, Hoyoung;Lee, Jong-Ryun;Ju, Bu-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303-304
    • /
    • 2023
  • 확률론적 위험성 평가는 하중, 재료특성 등과 같은 불확실성 인자를 고려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법이지만 모든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원전 격납건물은 콘크리트, 철근, 라이너, 텐던이 복잡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역민감도 분석을 통해 격납건물의 불확실성 인자 검토하고 선정하는 작업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리모델을 기반으로 축소규모 원전 격납건물의 전역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고 격납건물의 주요 영향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유한요소 해석 모델을 기반으로 대리모델의 학습데이터를 생성하였으며 구축된 대리모델의 성능지표를 분석하였을 때 높은 회귀성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리모델을 기반으로 전역 민감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콘크리트의 인장균열이 발생하는 내압수준에서 민감도 지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높지만, 전체적인 내압 구간에서 민감도 지수는 텐던의 탄성계수 및 항복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verse Engineering of Embedded Software based on Model-Driven Development (모델 기반 개발방법에 기반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역공학)

  • Na, DongJin;Lee, Yongsoon;Kim, Heejin;Ryu, M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782-785
    • /
    • 2007
  • 모델 기반 개발방법은 개발자가 추상화된 모델만을 설계하는 것만으로도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현재까지의 모델 기반 개발방법론은 모델에서 코드를 변환하는 것은 다루고 있지만, 반대로 코드에서 모델로의 변환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모델이 아닌 기존에 작성된 C 언어 코드를 모델로 변환하는 역공학 기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역공학 기법을 사용하면, 새로운 모델을 작성할 때 기존의 코드로부터 모델을 얻어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모델을 작성하고 작성된 모델을 통해 생성된 최종코드를 수정하였을 경우 역공학을 통해 모델과 수정한 코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C 언어를 UML 로 변환하는 방법 및 변환된 모델의 효율적인 구성을 위한 모델 재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 PDF

Image Generation from Korean Dialogue Text via Prompt-based Few-shot Learning (프롬프트 기반 퓨샷 러닝을 통한 한국어 대화형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 Eunchan Lee;Sangtae Ah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447-45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대화 텍스트 방식의 입력을 주었을 때 이를 키워드 중심으로 변환하여 이미지를 생성해내는 방식을 제안한다. 대화 텍스트란 채팅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형식의 구어체를 말하며 이러한 텍스트 형식은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이 적절한 아웃풋 이미지를 생성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화 텍스트를 키워드 중심 텍스트로 바꾸어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의 입력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이미지 생성의 질을 높이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태스크에 적합한 학습 데이터는 충분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사전학습된 초대형 언어모델인 KoGPT 모델을 활용하며, 퓨샷 러닝을 통해 적은 양의 직접 제작한 데이터만을 학습시켜 대화 텍스트 기반의 이미지 생성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Improvement of Knowledge Retriever Performance of Open-domain Knowledge-Grounded Korean Dialogue through BM25-based Hard Negative Knowledge Retrieval (BM25 기반 고난도 부정 지식 검색을 통한 오픈 도메인 지식 기반 한국어 대화의 지식 검색 모듈 성능 향상)

  • Seona Moon;San Kim;Saim Sh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125-130
    • /
    • 2022
  • 최근 자연어처리 연구로 지식 기반 대화에서 대화 내용에 자유로운 주제와 다양한 지식을 포함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지식 기반 대화는 대화 내용이 주어질 때 특정 지식 정보를 포함하여 이어질 응답을 생성한다. 이때 대화에 필요한 지식이 검색 가능하여 선택에 제약이 없는 오픈 도메인(Open-domain) 지식 기반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오픈 도메인 지식 기반 대화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대화에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답변을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응답 생성 모델의 성능 뿐만 아니라, 내용에 어울리는 응답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적합한 지식을 선택하는 지식 검색 모델의 성능 향상도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 도메인 지식 기반 한국어 대화에서 지식 검색 성능을 높이기 위해 밀집 벡터 기반 검색 방식과 주제어(Keyword) 기반의 검색 방식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먼저 밀집 벡터 기반의 검색 모델을 학습하고 학습된 모델로부터 고난도 부정(Hard negative) 지식 후보를 생성하고 주제어 기반 검색 방식으로 고난도 부정 지식 후보를 생성하여 각각 밀집 벡터 기반의 검색 모델을 학습하였다.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전체 지식 중에서 하나의 지식을 검색했을 때 정답 지식인 경우를 계산하였고 고난도 부정 지식 후보로 학습한 주제어 기반 검색 모델의 성능이 6.175%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about Efficient Method for Training the Reward Model in RLHF (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 (RLHF)에서 보상 모델의 효과적인 훈련 방법에 관한 연구)

  • Jeongwook Kim;Imatitikua Danielle Aiyanyo;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245-250
    • /
    • 2023
  • RLHF(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 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 방법론이 최근 고성능 언어 모델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보상 모델과 사람의 피드백을 활용하여 언어 모델로 하여금 사람이 선호할 가능성이 높은 응답을 생성하도록 한다. 하지만 상업용 언어 모델에 적용된 RLHF의 경우 구현 방법에 대하여 정확히 밝히고 있지 않다. 특히 강화학습에서 환경(environment)을 담당하는 보상 모델을 어떻게 설정하는지가 가장 중요하지만 그 부분에 대하여 오픈소스 모델들의 구현은 각각 다른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상 모델을 훈련하는 큰 두 가지 갈래인 '순위 기반 훈련 방법'과 '분류 기반 훈련 방법'에 대하여 어떤 방법이 더 효율적인지 실험한다. 또한 실험 결과 분석을 근거로 효율성의 차이가 나는 이유에 대하여 추정한다.

  • PDF

Scorm-based Sequencing & Navigation Model for Collaborative Learning (Scorm 기반 협력학습을 위한 시퀀싱 & 네비게이션 모델)

  • Doo, Chang-Ho;Lee, Jun-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6
    • /
    • pp.189-196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orm-based Sequencing & Navigation Model for Collaborative Learning. It is an e-Learning process control model that is used to efficiently and graphically defining Scorm's content aggregation model and its sequencing prerequistites through a formal approach. To define a process based model uses the expanded ICN(Information Control Net) model. which is called SCOSNCN(SCO Sequencing & Navigation Control Net). We strongly believe that the process-driven model delivers a way of much more convenient content aggregating work and system, in terms of not only defining the intended sequence and ordering of learning activities, but also building the runtime environment for sequencing and navigation of learning activities and experiences.

A study on integration of semantic topic based Knowledge model (의미적 토픽 기반 지식모델의 통합에 관한 연구)

  • Chun, Seung-Su;Lee, Sang-Jin;Bae, Sang-Te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181-183
    • /
    • 2012
  • 최근 자연어 및 정형언어 처리, 인공지능 알고리즘 등을 활용한 효율적인 의미 기반 지식모델의 생성과 분석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의미 기반 지식모델은 효율적 의사결정트리(Decision Making Tree)와 특정 상황에 대한 체계적인 문제해결(Problem Solving) 경로 분석에 활용된다. 특히 다양한 복잡계 및 사회 연계망 분석에 있어 정적 지표 생성과 회귀 분석, 행위적 모델을 통한 추이분석, 거시예측을 지원하는 모의실험(Simulation) 모형의 기반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의미 기반 지식모델을 통합에 있어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도출된 토픽(Topic) 모델 간 통합 방법과 정형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도출되는 키워드 맵을 동치적 지식맵으로 변환하고 이를 의미적 지식모델로 통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키워드 맵으로부터 유의미한 토픽 맵을 투영하는 방법과 의미적 동치 모델을 유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통합된 의미 기반 지식모델은 토픽 간의 구조적 규칙과 정도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등 관계적 의미분석이 가능하며 대규모 비정형 문서의 의미 분석과 활용에 실질적인 기반 연구가 될 수 있다.

DNN-based Audio Compression Model Optimization Utilizing Entropy Model (엔트로피 모델을 활용한 심층 신경망 기반 오디오 압축 모델 최적화)

  • Lim, Hyungseob;Kang, Hong-Goo;Jang, In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54-5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심층 신경망 기반 점진적 다계층 오디오 코덱의 비트 전송률 효율 향상을 위한 엔트로피 모델 기반 양자화 방식을 제안한다. 최근 심층 신경망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신호 처리 이론 기반의 상용 오디오 코덱들을 대체하기 위한 오디오 압축 및 복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기존 상용 코덱의 성능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종단 간 오디오 압축 모델의 경우, 적은 정보량으로 높은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부호화기의 양자화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종단 간 오디오 압축 모델 중 하나인 점진적 다계층 오디오 코덱의 벡터 양자화기를 엔트로피 모델 기반 양자화기로 대체하고 전송률-왜곡 트레이드오프 관계를 활용하여 전송률을 다양한 형태로 조절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엔트로피 모델 기반 양자화기 도입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