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니터링 평가

Search Result 2,353,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Model Based on USN for Landslide Detection (산사태 감지를 위한 USN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Cheon, Dong-Jn;Kim, Jeong-Sub;Lee, Seung-Ho;Kwak, Dong-Kurl;Coi, Shin-Hyung;Lee, Bong-Sub;Jung, Do-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812-816
    • /
    • 2012
  • 본 논문은 산사태 감지 및 붕괴예측을 위한 현장에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을 적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USN기반의 상시모니터링시스템모델을 제작하고 실험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성능평가는 지표변위 센서모듈 동작특성 실험적 평가, USN은 Data 수집 전송 효율성 실험적 평가, 개발한 상시감시모니터링 프로그램 동작성능 실험적 평가 등을 수행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지표변위 측정센서모듈은 변위각도에 일치성을 확인하고, USN은 지표변위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Data를 상시모니터링시스템에 오류 없이 전송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개발한 상시모니터링 프로그램 동작기능은 실시간 모니터링 그래프, 임계동작 알고리즘, 위험성 통보 문자서비스(SMS)기능, 알람서비스기능, 현장 감시카메라 등 동작기능의 우수성을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산사태 감지 예측을 위한 USN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은 산사태위험성노출 지역에 원격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Hydraulical Monitoring of Osancheon River Environment Improvement Works (오산천 하천환경 정비사업의 수리학적 모니터링)

  • Kim, Seo-Jun;Kim, Ji-Hye;Hong, Sang-Jin;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75-1878
    • /
    • 2009
  • 최근 하천의 치수, 이수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자연 친화적인 하천을 조성하려는 노력들을 많이 하고 있다. 하지만 복원사업을 위한 설계 및 평가 기준이 명확히 정립되지 못하여 치수안전성 및 하도안정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복원 기법에 대한 복원 전, 중, 후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복원 후의 하천 변화를 예측하고, 실제 사업 시행 후 장기간의 모니터링을 통해서 적용 기법이 안정화 되어가는지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1년에 시작하여 2006년 12월에 복원 사업이 완료된 오산천 하천환경 정비사업에 대한 수리학적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복원 후에 대한 하천 변화를 살펴보았다. 오산천의 경우 정비사업에 따른 공사 전, 중, 후에 대한 모니터링이 과거에 수행되었지만 단기간의 모니터링이었기 때문에 하천의 안정화 과정을 확인하기에는 많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모니터링 자료를 기초로 하여 하천복원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하천이 적응관리 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리학적 모니터링을 하였다. 수리학 적 모니터링은 과거 수리 수문 자료를 바탕으로 호안 변화에 따른 하상 및 하도 변화와 하천 구조물의 영향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사항을 바탕으로 향후 하천의 수리학적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Hydraulic Monitoring for Stream Restoration Technique in the Osan River (오산천의 하천복원공법에 대한 수리학적 모니터링)

  • Kim, Ji-Hye;Kim, Seo-Jun;Lee, Jin-Ho;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58-1062
    • /
    • 2010
  • 최근 하천정비 사업은 하천의 치수, 이수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자연 친화적인 기능을 고려하여 하천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들을 많이 하고 있다. 그 결과 기존 콘크리트 호안을 자연형 호안으로 바뀌어 생태계 복원 및 접근성을 높이고, 직선형 하도를 사행하는 자연형 하도로 바꾸는 등의 다양한 하천복원 사업들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하천복원에 따른 유지관리를 위한 하천복원공법들에 대한 모니터링과 복원사업에 대한 효과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하천복원 전, 후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1년에 시작하여 2006년 12월에 복원 사업이 완료된 오산천 하천환경 정비사업에 적용된 복원 공법들의 수리학적 모니터링을 통해 복원 후의 효과 및 문제점들을 평가하였다. 우선 수리학적 모니터링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강우량 및 홍수량 측정, 하상변동 분석, 하상재료 분석 그리고 항공영상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복원 공법에 대한 수리학적 모니터링은 호안의 수리학적 안정성 평가, 어도의 기능 평가, 저수로내에 설치된 인도교 주변과 목교의 수리학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복원 후 일부 목교 주변과 자연형 호안 중 일부는 침식되었으며, 하중도 하류부에는 퇴적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금곡취수보에 설치된 어도는 자체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어류 소상을 위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류 하천정비로 인해 하류에 퇴적이 많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적용 공법별 수리학적 모니터링 결과는 복원 공법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를 위한 지침서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자율운항선박 육상원격모니터링 시스템 관한 연구

  • Ok, Gyeong-Seok;Lee, Gwa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48-49
    • /
    • 2020
  • 자율운항선박의 운항과 관련된 각종 센서들에 대한 정확한 분류 및 평가는 항해·충돌방지 자율운항 선박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원격 모니터링 설계를 위한 모니터링 대상의 개념, 구성 및 연관 기능에 대하여 분석하고 시나리오 기반의 평가방법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Nonpoint-Data Quality Assessment In Nackdong River (비점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자료관리시스템 연구)

  • Yu, Jae-Jung;Park, Jae-Beom;Kang, Du-Kee;Kal, Byung-Seok;Yoon, Young-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57-96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강우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의 모니터링시 측정되는 강우자료와 유출자료, 수질 자료에 대한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비점오염 모니터링 자료관리시스템(NP-DAQ, Nonpoint-Data Quality Assessment)의 구성요소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가지로 이루어진다. 비점오염원 분석이 요구되는 유역에서의 모니터링 유무 및 실시간 측정 장치의 유무를 확인하는 전처리단계, 선행무강우시간 및 강우지속시간, 강우강도를 평가하고 수질 측정 간격과 유출 수문곡선을 평가하는 품질관리 단계, 측정된 자료의 이상치 분석과 유출모형의 입력자료를 생성하는 후 처리 단계로 나눌수 있다. 본 연구의 적용 대상 자료는 낙동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으로 수집된 비점오염원 모니터링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된 자료는 지목별 지역별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자료관리시스템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결과 얻어진 강우 및 유출, 수질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자료의 신뢰성 평가 및 불확실성을 평가하여 보다 정확한 오염물질 유출 특성을 분석하는데 기초가 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PDF

Monitoring of Strength Development in Concrete Using Wireless Impedance Measurements (무선 임피던스 계측을 이용한 콘크리트 강도 발현 모니터링 기법)

  • Kim, Dong-Jin;Chang, Ha-Joo;Park, Jun-Hyun;Park, Seung-Hee;Park, Sun-Kyu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339-34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유/무선 임피던스 계측을 통하여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 모니터링 기법을 개발하였다.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강도 발현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건설 중 취성 파괴가 일어날 우려가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강도 발현 모니터링이 중요시 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콘크리트 강도 평가 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거나 복잡한 수학식을 통하여 이루어 졌기에 현장에서는 효율적으로 사용되기 힘들었다. 이에 압전 센서 기반 임피던스 측정을 통하여 콘크리트의 강도 발현을 모니터링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구조물의 임피던스는 구조물 손상이나 강도 변화와 같은 구조물의 물성 변화 발생 시 공진주파수가 이동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진주파수 변화를 관찰하여 대상 구조물의 강도를 모니터링하는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유/무선 임피던스 계측을 동시에 실시하여 무선 임피던스 측정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고강도 콘크리트에서의 적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계 강도 30MPa, 100MPa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유/무선 임피던스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무선 임피던스 계측을 이용하여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나 케이블 연결이 어려운 곳에서도 실시간으로 구조물의 강도 발현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Study of Monitoring Methods for Maintenance Management of Tailings Dams (광물찌꺼기 적치장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 연구)

  • Oh, Sam-Ju;Kim, Ki-Joon;Song, Jea-Yong;Choi, Uikyu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6 no.4
    • /
    • pp.473-484
    • /
    • 2016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monitoring method for managing the effective maintenance of tailings dams. The monitoring of a tailings dump area involves several parameters and their investigation through a selection of evaluation items. The extents of defects and progressive failures also need to be effectively estimated. Therefore, the monitoring items can be subdivided into categories relating to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concrete wall, reinforcing stone wall, mesh gabions) and general facilities (liner, covering soil, slope, tailings, rain protection facility, leachate, planting),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can then be conducted for each condition. In doing so, we developed a systematic monitoring method that assesses the dam maintenance condition with grades and scores.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monitoring method results showed it to provide a more detailed evaluation than existing monitoring methods: the method detected an additional 16 defects missed by conventional methods. The evaluation gave scores of 89.3, 22.2, and 27.8 to the Geumjang mine tailings dam, the Gupoong mine tailings dam, and the Hwachun mine tailings dam, respectively. The advanced method can provide quantitative evaluation and perform detailed monitoring of the dams. This quantitative evaluation can be used to decide on maintenance priorities, select the main management items, and establish schedules of maintenance.

Implementation of Wearable ECG Monitoring System based on User Activity Information (사용자 활동정보 기반의 착용형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Hwang, Woo-Jin;Noh, Yun-Hong;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631-63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의 부각에 따른 일상생활 중 건강 모니터링의 수요에 대응하는 사용자 활동정보 기반의 착용형 심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활동정보의 모니터링을 위한 가속도 센서와 신체에 부착이 가능한 착용형의 심전도 계측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가속도 센서와 은-염화은 전극을 사용하는 심전도 계측 모듈을 포함하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측정된 가속도와 심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모니터링과 부정맥 검출기능을 수행한다. 구현된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 피실험자 3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활동 상태에 따른 심전도를 측정하였으며, 활동정보 기반의 부정맥 검출 알고리즘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Real Time Monitoring of Mal-ordor Nitrogen Substances in the Air at Siwha Industrial Complex (시화공단 대기중 악취유발 질소화합물의 실시간 모니터링)

  • 이동수;김영훈;김영화;한진석;이석조;김덕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53-355
    • /
    • 2003
  • 시화공단에서 악취물질의 원인규명을 위한 공동연구가 실시된바 있다. 이 연구에서 본 연구팀은 주요 악취유발물질인 질소화합물과 카르보닐화합물의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을 소개한 바 있다. 이 연구의 후속사업으로 금년 6월부터 3개월에 걸친 장기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이 기술의 현장 적용성과 악취모니터링의 유용성을 평가한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질소화합물, 카르보닐화합물, 유황화합물에 대한 세 분석시스템을 평가하였다. (중략)

  • PDF

PRODUCTS SAFETY 제품안전: 리콜제도 -리콜모니터링 기업의 미래를 비꾼다!

  • 한국전기제품안전협회
    • Product Safety
    • /
    • s.211
    • /
    • pp.34-37
    • /
    • 2011
  • 리콜은 반드시 리콜플랜대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리콜이 어느 정도 유효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를 파악하기 위해서 리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러한 모니터링을 적절히 수행함으로써 실시 중인 리콜 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고, 소비자에 대한 제품사고 피해 가능성을 저감하도록 리콜 방법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리콜 모니터링 활동이 리콜 실시 사업자 및 관계자의 신뢰회복과 향후 충실한 제품안전관리체제와 결부되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