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명치(明治)정부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6초

일본 메이지기 [明治期] 문관대례복의 성립과 형태적 특징 (Establishment of Western-style Court Dress and its Formal Characteristics in the Meiji Period of Japan)

  • 이경미
    • 복식
    • /
    • 제60권5호
    • /
    • pp.71-87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nalyzing Japanese modern costume, through examining legislation process and the relics of Chickimkwan's and Juimkwan's court costu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ser of civil court costume, established in 1872, was Iwakura Mission dispatched to America and Europe. The Mission realized the importance of preparing western-style costume in civilization from experience wearing traditional clothing at ceremony of presenting credentials in America. Afterwards, the Mission proposed that the government accept western-style as civil court costume and became first wearers in Japanese in England.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ordinance and actual clothes worn by Iwakura Mission, occurred in process of legislation in 1872. That might be considered as trial and error in introducing different culture. The coexistence of England and French styles was unified into French style by the revision of civil court costume in 1886. Third, the pattern of paulownia embroidered on civil court costume was utilized as symbol of Japan. While the costume of Chickimkwan was embroidered by the pattern of 7 and 5 leaves paulownia, that of Juimkwan was 5 and 3 leaves expressing their grades. Fourth, relics research showed how formed manufacturer information and enacted design were in embroidery. The relics seemed to be manufactured in Japan, because emblem of Mitsukosi tailor was embroidered on inner part of the back of collar of Chickimkwan in Nara Women's University, Japan and that of Yamasaki on left inner pocket of Juimkwan in the Independence Hall, Korea. The embroider techniques comprised forming by filler particles according to the design, filling up coiled gold threads and expressing stem with gold threads and spangles. As preemptive study, establishment process of Japanese civil court costume in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form characteristics appeared in civil court costume act of Korean Empire.

19세기(世紀) 조선(朝鮮)의 수학(數學) 교과서(敎科書)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19th Century Chosun)

  • 오채환;이상구;홍성사;홍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4
    • /
    • 2010
  • 정부기관인 학부(學部)에 의하여 새로운 학교제도가 1895년 조선에 도입되면서 이를 위한 교과서들이 출판되었다. 이 논문은 학부(學部)에서 최초로 출판된 수학 교과서인 간이사칙문제집(簡易四則問題集)(1895), 근이산술서(近易算術書)(1895), 학부의 의뢰로 이상설(李相卨)이 편찬한 산술신서(算術新書)(1900) 등 세 권을 조사하여 이들이 교과서의 역할과 함께 서양 수학이 조선에 들어오는 경로중의 하나를 이루게 된 것을 밝혀낸다. 근이산술서(近易算術書)와 산술신서(算術新書)는 20세기에 출판된 조선의 수학 교과서들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일본 디자인 교육의 개황과 미래의 비젼 (An Outlook of Design Education in Japan and its Vision in the Future.)

  • 김명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81-88
    • /
    • 1998
  • 일본의 디자인 운동은 1870년대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제4기로 구분하는데, 그 중 제 1기를 명치시대(Meiji era)개국에서 제 1차 세계대전가지로, 제 2기를 제 2차 세계대전가지, 제 3기를 제 2차 대전 직후부터 고도경제성장기 직전인 1960년까지 그리고 제 4기를 1960년 이후로 구분한다. 일본의 디자인 교육은 이러한 시대구분 속에서 2차 대전 전에는 유럽에서 시작된 갖가지 근대디자인운동, 즉 윌리엄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 독일공작연맹, 바우하우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대전 후에는 미국의 인더스트리얼 디자인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일찍이 서구문명을 도입한 일본은 독자적인 디자인교육을 표방하여 1940년도에는 대학에 디자인 학과를 설립하기 시작했다. 그 후 정부의 디자인 정책에 힘입어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거품경제 붕괴 이후 일본의 전 대학에서는 교육개혁의 바람이 크게 일고 있다.

  • PDF

일본전통정원의 해외 보급 및 확산에 관한 역사적 고찰 - 1867년부터 1939년까지 만국박람회를 중심으로 - (A Historical Study on the Propagation and Diffusion of the Traditional Japanese Garden in Foreign Countries - Focused on World's Fairs between 1867 and 1939 -)

  • 윤상준;권진욱;홍광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7-179
    • /
    • 2014
  • 본 연구는 전통정원의 해외 보급 및 확산을 위한 기준점 마련과 기반 구축을 위한 기본연구로서 일본의 전통정원 보급 및 확산에 있어 초기 단계인 유럽과 미국에서 개최된 만국박람회 통한 조성내용과 파급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일본이 박람회를 처음 참가한 1867년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는 1939년까지 일본 정원이 조성된 박람회를 대상으로 조성된 정원을 파악하고 박람회 기간 중 그리고 폐막 이후 일본정원의 파급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문화적 측면에서 명치정부의 첫 박람회 참여에 있어 독일인 바그너의 충고에 따라 문화와 공예를 박람회 주제로 선정하고 정원을 전통 건축물과 하나의 단위로 인식하면서 국가적 정책으로 대외 홍보 수단으로 삼았다. 그 결과 만국박람회 일본관에 대표적으로 조성된 강호시대 회유식 정원 양식과 다정은 유럽과 미국 내에서 일본정원의 대표적 양식으로 인식되었다. 정치적 측면으로는 미국인에게 일본 정원은 도입된 '이국적 미'이자 '문화유산'으로 인식되면서 일본에 대한 친근감을 높이고 반일감정을 없애려는 일본 제국정부의 목적을 달성하였고 전통정원을 통해 유구한 역사를 가진 일본사회를 이상적으로 표현하여 서구 열강과의 차별성을 도모, '전통'과 '자연'을 키워드로 '영원한 평온'이라는 국가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사회경제적으로는 박람회 이후 존치된 일본정원은 지속적인 일본정원의 모델 역할을 하였으며 박람회의 일본관을 조성하기 위하여 정원과 관련된 많은 전문가가 일본에서 미국과 유럽으로 간 후 현지 정착하며 일본 정원이 현지에 녹아드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