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명시화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34초

잰킷 행렬을 이용한 저밀도 부호의 구성 (Low Density Codes Construction using Jacket Matrices)

  • 문명룡;이광재;;황기연;이문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8호
    • /
    • pp.1-1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대수 이론과 관련된 일반화된 치환 행렬로부터 저밀도 부호의 명시적 구성을 고찰하였으며, 순환공식과 치환행렬에 관한 재킷 역 블록 행렬을 설계하였다. 설계 결과로부터 제안 기법은 저밀도 부호를 얻기 위한 간단하며, 고속화된 기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pi$-회전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같은 구조화 LDPC 부호 역시 저밀도 재킷 역 블록 행렬임을 증명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컴퓨터과학 교육 실태 조사를 통한 컴퓨터 교육의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Sought Through A Study on the State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Teachers)

  • 이성래;김철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37-44
    • /
    • 2010
  • 현대 사회는 미래의 지식과 정보의 시대에 대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 컴퓨터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 이에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컴퓨터 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연간 34시간 이상 컴퓨터를 교육하도록 명시하고 있지만 가장 기초적이라 할 수 있는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이 교사들에 의해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컴퓨터과학 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정보통신윤리 개정 지침안에 대한 교사 교육이 의무화되어야 하며, 컴퓨터과학 교수학습 방법 및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기능 연수가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보통신기술 교재 교사용 지도서가 전문화, 체계화 되어야 한다. 셋째, 컴퓨터과학 교육을 수업 현장에서 쉽게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넷째,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 과정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 PDF

vrFlora : 스마트 홈 환경에서의 상호 작용 지향 지능형 미디어 콘텐츠 (vrFlora: Interactive and Intelligent Media Contents in Smart Home Environments)

  • 오세진;하태진;우운택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81-28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홈 환경에서의 사용자의 컨텍스트에 따라 지능적으로 반응하는 미디어 콘텐츠인 vrFlora 을 소개한다. 이는 사용자의 정적인 프로파일 및 간단한 조작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시적인 컨텍스트를 인지한다. 그리고 인지된 컨텍스트에 따라 vrFlora 의 자체적인 동기, 즉 감정과 욕구을 자율적으로 변화시키며 이에 따라 자발적인 반응을 표현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에 따라 동기의 변화 정도를 차별화 함으로써, 사용자에 따른 개인화된 반응을 나타낸다. 제안한 시스템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스마트홈 환경을 위한 테스트 베드인 ubiHome 에 vrFlora 를 구현하였다. 그리고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자연스럽게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형 홈 환경에서의 지능형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ATP/Draw를 이용한 GIL 모델링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GIL Modeling by ATP/Draw(EMTP))

  • 박흥석;장태인;강지원;김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307-308
    • /
    • 2008
  • 345kV 4복도체 이상의 가공선로를 GIL로 지중화 대치하기 위한 검토사항 중의 하나로서 GIL-가공선로 연계시의 과전압 접지방식 순환전류 등의 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GIL을 포함하는 승전계통을 EMTP로 모델링하여 실계통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현상 및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 전력계통 과도현상을 모의 할 수 있는 ATP/Draw(EMTP) 상에는 GIL을 모델링하기 위한 명시된 모델이나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현상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가공선로 중간의 일부구간에 GIL이 존재할 경우에 있어서 ATP/Draw(EMTP)를 이용한 GIL 및 가공송전선의 혼합선로 모델링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구체적으로 GIL에 대한 모델링 시 GIS 또는 Cable 모델을 이용한 모의방법을 비교분석하여 적합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블루투스의 이질적 특성을 이용한 스케터넷 형성 프로토콜 (Scatternet Format ion Protocol Using by heterogeneous characteristic of Bluetooth)

  • 유환석;박준희;김상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3)
    • /
    • pp.268-270
    • /
    • 2001
  • 현재 ad hoc의 연구 방향은 무천 기반의 패킷 라우팅에 관련된 것이 대부뿐 이러 네트워크 토폴로지 생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된 것이 없다. 현재 대부분의 ad hoc 네트워크는 대표적인 싱글 채널 방식인 broadcast 기반의 무선 미디어 방식을 물리적 계층을 사용하며, 이를 기반으로 이동 노드의 무선 범위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형태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형성한다. 블루투스(B1uetooth)는 frequency hopping(FH) 방식을 사용하므로 연결 설정 과정에서 동기화 과정이 반드시 요구되며, ad hoc 네트워크을 형성을 위해 다중 채널을 사용한다. 따라서 블루투스와 같이 다중 채널을 물리적 계층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는 싱글 채널 방식과 달리 명시적으로 토폴로지를 형성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채널과 블루투스가 탑재된 노드의 이질적 특성을 고려한 스캐터넷(Scatternet) 구성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본 메커니즘은 칵 노드의 전력 상태와 이동성 정보를 바탕으로 스캐터넷의 마스터와 브리지 노드틀 선택 함으로서 효율적인 네트워크 토플로지를 구성한다.

  • PDF

한국어 음절의 Entropy에 관한 연구 (Statistical Measurement of Monsyllable Entropy for Korean Language)

  • 이주근;최흥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5-21
    • /
    • 1974
  • 이 논문은 한국어의 3성음의 조직을 방정식화하고 그로부터 조직약적 상태 graph를 유도하여 정보원의 성질을 구명하고 나아가서 기본 요소의 통계량에 대한 Entropy와 Redundancy를 측정하여 서구어와 비교검토 하였다. 특히 한국어에서 정보원의 성질을 구명하기 위한 syllable의 상태 graph는 단일화된다는 것을 명시함으로서 타언어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 PDF

차세대 전기통신망 및 서비스 플랫포옴 구축방안 -지능망과 TMN-

  • 이병철
    • TTA 저널
    • /
    • 통권37호
    • /
    • pp.71-92
    • /
    • 1995
  • 통신망에 대한 고객의 요구는 음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기간통신망은 독점을 유지하였으나, 통신 모드(비음성, 데이터, 화상 등)에 대한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통신망은 개방과 경쟁이라는 새로운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전세계적으로 차세대 통신망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개념은 망요소(network element)를 기능화하고 서비스 빌딩블럭(generic service independent building block)의 집합에 의하여 다양한 미래 통신 서비스에 대한 유연하고(flexible), 일관성(uniform)있는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는 지능망 구조(Intelligent Network Architecture)와 미래 통신망 및 서비스를 운용, 조절, 유지보수에 필요한 일련의 지원시스팀(support systems) 이상의 관리기능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ITU-T의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이다. 본 연구는, 이 두 개념의 기본적 생각의 간결한 설명 후에, IN과 TMN의 공통점을 분석하고 일반적 통신망 환경에서 미래정보 네트워킹 구조를 위한 기초로써 제공되는 통합 망 및 서비스 관리에 대하여 가능한 통합분야를 명시할 것이다. 즉 지능망의 개념모형(INCM : In Conceptual Model)을 이용하여 TMN과의 상호 연계방안, 지능망 능력 증대 방안 그리고 ETSI 표준화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지능망 사업 및 통신망 관리 운용 시스팀 구축을 통한 차세대 전기통신망 및 서비스 플랫포옴 구축방안 연구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PDF

법령과고시(3) - 지방계약법 시행령 개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93호
    • /
    • pp.98-99
    • /
    • 2014
  • 지방자치단체의 계약업무에 기초가 되는 지방계약법 시행령이 지난 11월 24일 공포되어 시행에 들어갔다. 이번 지방계약법 개정은 지난 해 12월 30일 개정된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68조와 동일하게 제77조를 신설하여 '하자책임 구분이 용이하고 공정관리에 지장이 없는 공사에 대하여 기계설비공사와 같은 '설계서가 별도로 작성되는 공사로 명시함으로써 공공공사의 분리발주 활성화를 유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로써 지방계약법에도 분리발주 허용 대상을 구체화 하고 발주기관의 장이 공사의 예산편성과 기본설계 등 사업의 계획단계부터 분리발주의 가능 여부 검토 조항이 명문화 됨으로써 지자체 분리발주가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앞서 대한설비건설협회는 분리발주 법제화를 정부, 국회, 제18대 대선후보 등에 지속적으로 건의한 결과 박근혜 정부가 공공공사의 분리발주 법제화가 포함된 40대 중점 국정과제를 확정하고 공공공사의 분리발주 허용 대상과 활성화 조문이 포함된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68조를 지난해 12월 30일 개정, 시행에 들어간 바 있다.

  • PDF

클러스터 컴퓨팅 환경에서 자원 스케줄링의 최적화 (An Optimization of Resource Scheduling in the Cluster Computing Environment)

  • 이훈순;김창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6-5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컴퓨팅 환경에서 가용한 자원의 추이를 고려한 자원 스케줄링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스케줄링 방법은 데이터 인텐시브 응용의 특성인 자원 추가에 따른 처리 성능의 선형적 확장성을 활용하는데, 사용자가 작업 수행을 위해 명시한 자원이 가용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 자원이 가용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가용한 자원 상황 추이를 고려하여 융통성 있는 자원 할당을 하게 함으로써 자원 조각화를 최소화한다. 시물레이션을 통한 실험으로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 방법에 비해 자원 활용률과 처리량 측면에서 우수함을 검증하였다.

과학영재와 인문영재의 영재성 타당화 연구

  • 심재영;김언주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1-108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암묵적 방법에 의해 도출된 영재성과 명시적 이론간에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둘째, 과학 분야와 인문 분야에는 어떤 영재성 요인들이 있는가\ulcorner 셋째, 분야별로 영재성의 요인구조 어떤 차이가 있는가\ulcorner 연구의 방법은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첫 단계는 과학자, 학부모, 교사, 대학생을 대상으로 암묵적 이론 접근으로 영재 의미를 구명하였다. 연구의 두 번째 단계는 자연계 영재 집단 469명, 인문계 영재집단 285명에 대하여, 암묵적 이론 접근에 의해 밝혀진 영재의 특징들은 과학영재와 인문영재를 구분하는 준거가 되는지의 여부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세 번째 단계는 검증된 자료를 가지고 인문계 영재 집단과 자연계 영재 집단 간의 영재성 요인 구조상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