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명당

Search Result 27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Pungsu Landscape of the Myungdang Tomb Sites in Andong Area (안동의 풍수경관 연구 - 음택 명당을 중심으로 -)

  • 옥한석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1
    • /
    • pp.70-86
    • /
    • 2003
  • This study aimes to describe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Myungdang tomb sites in Andongs Area by conducting field trips and analyzing on topographic maps. Most Myundang sites are concentrated around hills, mountains, and tributaries that collectively are located in a northern parts of Nakdong river. The river and the mountain, which the principle of Pungsu, so called Jangpung and Duksu, is applied to, constitute the various forms. They provide the sites with physical settings for Myungdang that can be said to commonly retain such properties as semi-openness, multi-surroundedness, stability, harmony, balance. It can be further argued that those properties of Myungdang sites offer criteria for human settlement and sustainable land development in the current world.

안동지역에서의 풍수경관

  • 옥한석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95-98
    • /
    • 2002
  • 본 연구는 안동지역에 있어서 이른바 명당이라고 하는 음택 풍수 경관을 조사하여 그 형태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안동문화원에서 펴낸 $\boxDr$안동의 분묘$\lrcorner$ 에 나오는 분묘를 대부분 조사하고 이를 형기론적 입장에서 형국으로 분류하였다. 태백산에서 소백산을 잇는 낙동정맥 살의 문수산(1206m)에서 하나의 지맥이 남쪽으로 흘러 태자산, 박달산, 오적산, 학가산(870m), 보문산(643m), 검무산(331m)을 이루어내어 안동의 서쪽 산줄기를 형성하며, 태백산에서 백병산, 일월산, 주방산(주왕산), 보현산, 황학산, 오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우측을 이루어내어, 이들 우백호와 좌청룡이 안동군 풍천면의 구담리에서 마주하게 된다. 그 사이로 안동군, 예안현 등이 입지하였다. 이러한 안동의 산세에 따라 낮은 구릉, 완만한 사면 및 높은 배후 산지가 전개되며 낙동강 본류와 지류가 흘러 다양한 형국이 나타나게 된다. 안동의 경우는 날짐승(봉, 학, 꿩), 꽃(모란, 연꽃, 칡넝쿨), 길짐승(닭), 들짐승(거북, 뱀), 물건(등잔, 가마솥, 밥상), 용, 달 등이 33개가 나타난다. 이들의 분포를 살펴보면 크게 낙동강 본류 이북 쪽에 집중한다. 이들 명당은 고도 상으로 해발고도 200미터 부근에 대부분 입지한다. 무릇 명당이란 안산과 조산을 넘어 득수가 잘 이루어져야 하므로 낙동강 본류를 중심으로 하고 그 지류를 향하여 분포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들 명당의 형태와 공통된 특징을 살펴본 결과 명당은 반개방성, 중첩성, 안정성, 조화성, 균형성의 5가지 특징이 나타나는 곳이다. 이러한 명당의 특징은 태조산, 중조산, 소조산를 거쳐 주산 아래 산이 겹겹이 에워싸게 되고, 계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 PDF

Engineering Approaches of Characteristics for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with the Construction of Multiple Tombs for the Propitious Sites (명당의 다중음택터 조성에 따른 발복특성의 공학적인 접근)

  • Kim, S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61-96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1혈장 2음택터의 조성이 발복특성에 미치는 공학적인 접근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하나의 혈장에서는 하나의 음택터를 조성하여 왔다. 그러나 특반급에 해당하는 몇몇의 명당들은 2개의 음택터를 조성한 경우를 알 수 있다. 조선시대 광산김씨 허주 김반대감의 음택터의 경우 특반급에 해당하는 명당으로 1혈장에 2음택터가 조성되어 있다. 본 허주 김반대감 음택터의 공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다중음택터의 발복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Is it one of $8^{th}$ Propitious Sites for the Grave of Lee, Dang originated from Gwangju Lee's Family in Chosun Dynasty (광주이씨 이당 대감 음택터는 조선시대 8대 명당 중 하나일까 ?)

  • Kim, S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45-2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광주이씨 시조이신 이당 대감 (?-1369) 음택터의 공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인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당 대감은 고려말에 국자감 생원시에 합격되고 조선시대에 들어서 자헌대부 (資憲大夫) 이조판서 (吏曹判書)겸 지의금부사 (知義禁府事)에 증직되었으며, 이당 대감 음택터의 경우 조선시대 8대 명당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조선시대에 정승 5명, 대제학 2명, 청백리 5명, 공신 11명을 배출한 명문집안이다. 따라서 이당 대감 음택터의 혈장을 비롯하여 각 사격을 검토하여 광주이씨 문중의 발복을 음택터의 영향으로 평가내릴 수 있는 공학적인 분석의 정성적 및 정량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과연 조선시대 8대 명당 중 하나에 해당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 PDF

TB 정보마당 - 2010년 결핵 신고 신환자 현황 및 2009년 결핵 사망률

  • 대한결핵협회
    • 보건세계
    • /
    • v.58 no.2
    • /
    • pp.36-39
    • /
    • 2011
  • 2010년 결핵정보통합관리시스템(TBnet)에 신고된 결핵환자 신고수는 56,257건으로 전년대비 1,310건, 2.4%(2009년 54,947건) 신고가 증가하였음. 이 중 신고 신환자는 실 인원 기준으로 36,305명, 10만 명당 74.3명으로 전년대비 460명 증가하였고, 10만 명당 기준으로 1.1%가 증가하였음.

  • PDF

The Prevalence of Cancer in Kangwha County (강화지역 암의 유병률)

  • Yi, Sang-Wook;Lee, Kang-Hee;Kim, Suk-Il;Kang, Hyung-Gon;Jee, Sun-Ha;Ohrr, Hee-Chou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32 no.3
    • /
    • pp.333-342
    • /
    • 1999
  • Objectives: Most descriptive studies of cancer have focused either or cancer incidence or mortality. Cancer prevalence has rarely been estimated. Cancer prevalence data can be used as a measure of the economic and social burden of cancer and are also useful for health care planning. This study attempts to estimate cancer prevalence in Kangwha county. Methods: This investigation is based on data of Kangwha cancer registry. The data include all cases of cancer diagnosed from 1983 through 1992. We define 'prevalent cases' as cancer patients who is alive as of January 1, 1993. For each five-year age group, the number of 'known prevalent cases' is added to the number of 'estimated prevalent cases'. Prevalence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se sums by the populations of Kangwha County on December 31, 1992(derived from Kangwha Statistics Annual). Results: Crude prevalence of cancel among males and females are 536.7 and 601.1 per 100,000 respectively. Gastric cancer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neoplasm(213.2 per 100,000, crude prevalence) among males. It is followed by lung cancer(45.1 per 100,000), liver cancer(32.8 per 100,000), rectal cancer(25.4 per 100,000) and colon cancer(25.4 per 100,000). Cervical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201.9 per 100,000, crude prevalence) and is fellowed by gastric cancer(91.5 per 100,000), thyroid cancer(64.8 per 100,000), breast cancer(57.2 per 100,000) and rectal cancer(32.7 per 100,000) among females. Conclusions: We tried to estimate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angwha cancer registr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estimation of cancer prevalence based on a population-based cancer registry will be more correct and useful as the data accumulate. We will make another estimation in the near future.

  • PDF

Analyses on Related Factors with Fire Damage in Korea (한국에서의 화재 피해 관련요인 분석)

  • Chang, Eunmi;Kang, Byungki;Park, 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0 no.3
    • /
    • pp.355-373
    • /
    • 2015
  • In this study the factors of fire damage are analyzed through previous research reviews. Local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those factors attributed to fire damage (number of fire events, number of injured, number of death, economic loss) were selected to compose mutual relationship model. In order to verify this relationship model, official statistics concerning fire damage were collected from 228 local governments and compared with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 As a result of this comparison four dependent variables and 22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fire damage were analyzed. Independent variables are divided into human vulnerability factors, physical vulnerability factors, economic vulnerability factors, mitigating factors and local characteristics. To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we applied a semi-logarithm model and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22 independent variables, the number of the weak to disaster, social welfare service workers,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number of workers in restaurants and bars per 10,000 people show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fire incidence. The number of death from fir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wo variables which are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service workers per 10,000 and the ratio of commercial area. Damage cost is significantly dependent on the property taxes per 10,000 people. These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as vulnerability factors (human, physical, economic) and mitigating factors and local characteristics, and the validity of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e result could contribute to fire-fighting resource allocation in Korea or they can be utilized in establishing fire prevention policy, which will enhance the national level of fire safety.

  • PDF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방지와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20, 30대를 중심으로

  • 변승남;안병준;정성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329-338
    • /
    • 2002
  • 우리나라의 자동차 대수는 이미 1.300만대를 넘어섰고, 국민 4명당 1대의 비율로 우리나라도 이제 자동차 대중화시대에 접어들었다. 작년 한해동안 교통사고는 290,481건이 발생하여 10,236명이 사망하였고, 426,984명이 부상당하였다. OECD가입국 중에서 인구대비 자동차사고의 사망비율이 1위이며,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인구 10만 명당 24.84명으로 OECD가입국 중에서 2위를 차지하였다(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l).(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