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 활성화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21초

산수국 잎의 대식세포 활성화를 통한 면역증진활성 (Immune-Enhancing Activity of Hydrangea macrophylla subsp. serrata Leaves through Macrophage Activation)

  • 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7-87
    • /
    • 202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mune-enhancing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Hydrangea macrophylla subsp. serrata (WE-HML). WE-HML increased cell viability and production of immunomodulators, which contributed to activating phagocytic activity in RAW264.7 cells. Inhibition of JNK and NF-κB reduced the production of immunomodulators by WE-HML. ROS inhibition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immunomodulators, and the activation of JNK and NF-κB signaling by WE-HML. TLR4 inhibition attenuated the production of immunomodulators, and activation of JNK and NF-κB signaling by WE-HML. In the immunosuppressed mouse model, WE-HML increased the spleen index, the levels of the cytokines, the numbers of white blood cells, lymphocytes, and neutrophils. However, WE-HML inhibited LPS-mediated over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RAW264.7 cells, which indicated that WE-HML may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y under excessive inflammatory conditions. Taken together, WE-HML may be considered to have immune-enhancing activity and expected to be used as a potential immune-enhancing agent.

  • PDF

KU812세포에 의한 쌀 알레르겐 특이적 IgE항체 합성의 유도 (Induction of Rice Allergen-Specific IgE Synthesis by KU8l2 Cells)

  • 심선엽;요시노리 카타쿠라;시라하타 사네타카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492-1496
    • /
    • 2007
  • CD40L를 발현하는 KU812세포와 CD40를 발현하는 항원 특이적 B 세포의 배양을 통해 IgE 클라스 스위치가 유도된다. 본 연구자는 체외면역법에 의해 건강인의 말초혈액을 이용하여 쌀 알레르겐 특이적 IgM 항체를 생성하는 B 세포주를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U812세포에 의한 쌀 알레르겐 특이적 IgE 항체의 유도를 시도하였다. 배양 전, 쌀 알레르겐 특이적 B 세포주, RA9G11과 PMA와 ionomycin을 6시간 처리하여 활성화된 KU812세포에서 CD40와 CD40L 발현량을 flow cytomerty를 통화여 각각 확인하였다. RA9G11세포와 활성화된 KU812세포는 높은 수준의 CD40와 CD40L를 각각 발현하였다. 쌀 알레르겐 특이적 IgE항체 합성 유도를 위해, 여러 가지 농도의 IL-4 존재하에, RA9G11세포와 활성화된 KU812세포를 12일 동안 배양하였다. IgE 정상영역의 mRNA 발현량과, 쌀 알레르겐 특이적 IgE 항체 생성 세포가 모든 조건에서 확인되었으며, 특히 50U의 L-4 농도 하에서 같은 비율의 RA9G11과 활성화된 KU812세포를 배양했을 때, IgE 합성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활성화된 KU812세포에 의한 쌀 알레르겐 특이적 IgE 합성은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관한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UIP 환자에서 c-Jun N-terminal Kinase (JNK) 활성화에 관한 연구 (The Activity of c-Jun N -terminal Kinase (JNKb) in Patients with UIP)

  • 김기업;이영목;김도진;문승혁;어수택;김용훈;박춘석;김현조;염욱;황정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5호
    • /
    • pp.437-447
    • /
    • 2001
  • 배 경 : TNF-$\alpha$는 UIP 환자의 폐 섬유화에 관계하는 cytokine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폐 섬유화를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TNF-$\alpha$에 의해 AP-1(c-jun N-terminal kinase, JNK의 하부 신호 전달체계) 같은 전사 인자가 활성화되고 이들에 의해서 PDGF 나 IGF-I fibrogenic cytokines의 전사가 관계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더구나 방사선에 의한 폐 섬유화 과정에서 JNK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UIP 환자에서 JNK의 활성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UIP 환자의 폐 조직과 대조군으로 이용된 폐암 환자의 정상 폐조직에서 phosphorous JNK (p-JNK), 대식세포의 표현자인 CD68, 그리고 cytokeratin을 이용하여 면역화학검사를 시행하였다. JNK의 in vitro kinase assay는 UIP 환자와 호흡기 증상이 없는 정상인에서 기관지 폐포세척술로 획득한 대식세포를 이용하였다. 결 과 : 면역조직화학검사에서 UIP 환자의 대부분의 폐포 대식세포는 p-JNK를 발현하였지만, 폐암 환자의 정상조직에서는 UIP 환자보다는 p-JNK 발현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폐포 대식세포를 이용한 in vitro JNK kinase assay에서는 UIP 환자와 정상인 모두에서 JNK 활성도를 관찰할 수 없었다. 더구나 10 ng/mL의 TNF-$\alpha$로 자극하여도 JNK 활성도는 관찰할 수 없었다. 결 론 : UIP 환자의 폐 조직에서 JNK가 활성화되어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고, 추후 이들 활성화된 JNK와 fibrogenic cytokines과의 관계는 더 연구되어져야 할 과제로 생각된다.

  • PDF

심부통증이 흰쥐 중뇌에 미치는 c-Fos 면역반응성의 변화와 아스피린의 효과 (Changes of c-Fos Immunoreactivity in Midbrain by Deep Pain and Effects of Aspirin)

  • 정진아;유기수;황규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7호
    • /
    • pp.695-701
    • /
    • 2003
  • 목 적 : 근육과 관절 등에서 유발된 심부통증(deep pain)이 척수상위로 전달되는 신경로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최근 일부 연구자들은 피부에서 유발된 천부통증(superficial pain)과는 달리 중뇌의 PAG에 위치한 신경원에 침해 자극이 전달되어 자율신경계와 행동양식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보고하였다. 또한, 비스테로이드성의 항염증성 약품들은 말초조직에서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방해하여 진통효과를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는 척수와 뇌간에서도 진통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자는 포르말린으로 체성 심부통증을 유발시켜 중뇌의 어느 부위에서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는지를 c-Fos 단백의 발현으로 확인하고 또한 비스테로이드성의 항염증성 약품인 아스피린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방 법 : 실험 I군에서는 생리식염수를 흰쥐 꼬리에 미리 피하주사한 뒤 포르말린을 이용해 체성 심부통증을 유발시켰고, 실험 II군은 아스피린을 주사한 후 포르말린으로 체성 심부통증을 유발시켰다. 정상군에서는 통증자극을 주지 않았다. 실험 I군과 실험 II군의 흰쥐는 통증을 유발 시킨 뒤 30분, 1, 2, 6, 24시간에 희생시켜 뇌를 적출하여 뇌절편을 만들었다. 뇌절편으로 냉동 연속조직절편을 제작하여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c-Fos 단백의 출현여부를 확인하였다. Interaural 1.00-1.36 mm를 통과하는 관상 뇌절편의 연속조직표본에서 나타난 양성면역반응성을 토대로 중뇌의 VLPAG와 DMPAG를 관찰하였고, 단위면적($0.2mm^2$)당 면역양성반응을 보인 신경세포를 계수하고 통계 처리하였다. 결 과 : c-Fos 양성면역반응 신경세포 수는 DMPAG에서 보다 VLPAG에서 현저하게 많았다. DMPAG와 VLPAG에서 통증유발 2시간 후 c-Fos 양성면역반응 신경세포 수는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아스피린을 투여한 군의 c-Fos 양성면역반응 신경세포 수는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전시기에 걸쳐 적었다. 결 론 : 이 연구결과는 포르말린에 의해 유발된 체성 심부통증의 기전과 아스피린의 효과를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robiotics로서의 젖산균주의 특성 및 면역활성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Potential Probiotics)

  • 서재훈;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81-687
    • /
    • 2007
  • Probiotics로서의 사용을 위한 우수 젖산균주 선발을 위해 김치 및 발효유 제품으로부터 분리한 젖산균과 공시 젖산균주를 대상으로 내산성, 내담즙성, 장내 점착능, 병원성균 억제능 등의 probiotics 특성과 장관면역활성, mitogenic activity 및 대식세포 활성화 등의 면역활성을 검토하였다. 내산성 실험의 결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 Lb. plantarum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sp. mesenteroides ATCC 8293의 경우 생존률이 5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Lb. acidophilus DDS-1과 Lb. acidophilus B-3208의 경우에는 70% 정도의 높은 생존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젖산균주의 담즙산 내성에서는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TCC 7962를 제외한 모든 균주가 3% oxgall이 함유된 MRS배지에서도 성장이 가능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젖산균주의 장내 점착능 면에서 볼 때, Lb.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과 Bifidobacterium bifidum KCTC 3357의 장내 점착능이 실험에 사용된 다른 젖산균주와 비교하여 우수하다고 관찰되었으며, 특히 Lb. acidophilus DDS-1과 B-3208의 장내점착능이 높게 나타났다. 젖산균주의 병원성균 억제능 실험의 결과, Lb.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 및 B. bifidum KCTC 3357은 Staphylococcus aureus를 제외한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5, Listeria monocytogenes ATCC 59414, 그리고 Salmonella enteritidis ATCC 49313에 대해 높은 증식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젖산균의 세포질 획분과 세포벽 획분을 대상으로 면역활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장관면역 활성은 젖산균의 세포질 획분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LPS와 같은 수준의 면역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Lb. acidophilus속 균주들의 세포벽 획분의 장관 면역활성이 다른 균주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젖산균주의 세포질과 세포벽 성분에 대한 비장 림프구의 증식능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게 관찰되었으나, 이들의 대식 세포증식능은 세포벽 및 세포질 모두의 획분에서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특히 세포벽 획분의 경우에는 양성대조군인 LPS 보다 높거나 유사한 정도의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 균주 중에서 Lb. acidophilus 균주인 DDS-1과 B-3208이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요구되는 조건을 충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균주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5가지 (고들빼기, 돌미나리, 메밀, 톳, 생강)혼합식품 물 추출물의 마우스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Effects of Plant Water Extract Mixture Ixeris Sonchifolia Hance, Oenanthevjavanica, Fagopyrum Esculentum Moench, Hizikia Fusiforme, Zingiber Officinale Roscoe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Ex vivo)

  • 류혜숙;김현숙;김정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2호
    • /
    • pp.141-146
    • /
    • 2008
  • 생체 내 (ex vivo) 실험에서 혼합 (고들빼기, 돌미나리, 메밀, 톳, 생강)시료의 물 추출물을 4주간 격일로 마우스 체중 kg 당 0, 50, 500 mg/kg B.W.의 농도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후 비장세포 증식능, LPS에 의해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beta}$, IL-6, $TNF-{\alpha}$)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혼합시료의 물추출물은 ConA나 LPS로 자극하지 않은 경우 50 mg./kg B.W.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비장 증식능을 보였다. LPS에 의해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IL-1{\beta}$, IL-6, $TNF-{\alpha}$의 분비량은 마우스 체중 kg 당 50 mg/kg B.W. 농도의 투여군에서 높은 생성량을 보여주었으나, 500 mg/kg B.W.의 농도 투여군에서는 IL-6 분비량은 대조군에 비해 높은 반면 $TNF-{\alpha}$의 분비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비장세포 증식능과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검색한 결과 고들빼기, 도미나리, 메밀, 톳, 생강을 혼합한 혼합시료의 추출물 50 mg/kg B.W. 농도 투여가 면역 세포와 면역 기관의 주요기능을 증진시키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혼합식을 통한 기능성 식품 개발에 기초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식세포에서 MAPKs 및 PI3K/AKT 신호전달계 활성을 통한 괴각 추출물의 prostaglandin E2 및 tumor necrosis factor-α 생성의 촉진 (Fructus Sophorae Enhances the Production of Prostaglandin E2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hrough Activation of MAPKs and PI3K/AKT Signaling Pathways in Murine Macrophages)

  • 강영순;한민호;이문희;홍수현;박흥식;정재철;이정래;이은우;강경화;김철민;김병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397-1403
    • /
    • 2013
  • 괴각(Fructus Sophorae)은 회화나무(Styphnolobium japonicum L.)의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전통 한의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약재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murine RAW 264.7 대식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괴각 추출물 (Fructus Sophorae extracts, FSE)이 면역 조절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한 대식세포 활성과 연관된 면역 반응 parameter로서 prostaglandin $E_2$ ($PGE_2$)와 tumor necrotic $factor-{\alpha}$ ($TNF-{\alpha}$)의 생성에 미치는 FS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FSE는 대식세포의 활성을 유도하였고, $PGE_2$$TNF-{\alpha}$의 생성을 촉진하였으며, 이는 cyclooxygenase-2 (COX-2)와 $TNF-{\alpha}$ 유전자의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의 활성화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FSE 처리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cytokine 발현의 증가를 cytokine array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RAW 264.7 대식세포의 활성화에는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및 phosphatidylinositol-3-kinase (PI3K)/Akt 경로 활성화가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괴각 추출물이 면역 증강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한다.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에 의한 질환과 검출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Associated Diseases and Detection)

  • 권선영;장인호;이기종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61-167
    • /
    • 2015
  • 정상인에서 장내세균은 숙주의 면역이나 영양 흡수를 돕지만, 때로는 기회감염균으로서 그들을 위협하기도 한다. 그 중 절대 혐기성 세균인 Bacteroides fragilis는 분비되는 장독소(enterotoxin)인 Bacteroides fragilis toxin (BFT)의 유무에 따라 non-enterotoxigenic B. fragilis (NTBF)와 enterotoxigenic B. fragilis (ETBF)로 나뉜다. ETBF는 가축 및 사람에서 설사 질환 및 대장 질환을 유발한다 그러나 때때로 ETBF를 가지고 있으나 증상이 없는 사람도 존재한다. ETBF는 염증성 설사 질환, 여행자 설사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되어 주목 받고 있다. 또한, 몇몇 연구를 통해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나 대장염 및 대장암 환자에서 ETBF가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 C57BL/6 마우스 및 germ-free 마우스, multiple intestinal neoplasia (Min) 마우스, 토끼, Mongolian gerbil 등 여러 동물 모델에서 ETBF가 IBD나 대장염, 대장암을 유발 또는 촉진한다는 것이 발표되었다. ETBF의 유일한 병원성 인자인 BFT는 E-cadherin의 분절을 유도하여 장상피 세포의 투과성을 높인다. 이어서 ${\beta}$-catenin 신호전달계가 활성화하여 장상피세포의 증식이 증가한다. 또한 ETBF의 감염은 일반 마우스에서 급성이나 만성의 대장염을 일으키고 Min 마우스에서 종양 형성을 촉진한다. 이는 Stat3에 의존한 $T_H17$ 면역반응의 활성화를 통해 일어난다. 현재 ETBF의 검출 방법에는 크게 BFT toxin assay와 몇 가지 PCR 방법이 있다. 최근 real-time PCR과 같은 분자진단학적 기법의 발달로 일반적인 PCR보다 더 정확한 ETBF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것을 이용하여 앞으로 실제 임상에서 ETBF와 대장염 및 대장암의 발달 관계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

Toll-like receptor 2, 3, 4의 신호전달체계 조절을 통한 curcumin의 항암${\cdot}$항염증 효과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urcumin by the Modulation of Toll-like Receptor 2, 3 and 4)

  • 강순아;;윤형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5-180
    • /
    • 2007
  • TLRs는 병원균이 숙주의 몸 속에 들어 왔을 때, 병원균들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구조를 인식하여 선천성 면역반응과 뒤이어 후천성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는 이번 실험을 통하여 curcumin이 선행연구에서 밝혀낸 TLR4 뿐만 아니라 TLR2와 TLR6 그리고 TLR3를 또한 분자학적인 타깃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Curcumin이 MALP-2(TLR2,6 agonist)에 의해서 유도된 IRAK-1 degradation을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curcumin의 분자학적인 타깃이 IRAK-1위에 놓여 있으며, TLR2와 TLR6가 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curcumin은 viral 자극제인 poly[I:C](TLR3 agonist)에 의해서 유도된 IRF3나 $NF-{\kappa}B$ 활성화를 억제하였지만, TRIF에 의해서 유도된 IRF3 활성화는 억제시키지를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 또한 TLR3 자체가 curcumin의 분자학적인 타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때, curcumin의 분자학적인 타깃이 $IKK{\beta}$ 이외에 모든 TLRs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결과는 curcumin이 그람음성균 뿐만이 아니라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 여러 병원균들로부터 유도되는 염증반응이나 만성적인 질병들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겠다.

한국산 고등 균류의 성분 연구(제67보) -영지버섯 자실체의 항암성분- (Studies on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 (LXVII) -Antitumor Components of the Basidiocarp of Ganoderma lucidum-)

  • 현진원;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18권2호
    • /
    • pp.58-69
    • /
    • 1990
  • 담자균류인 영지 Ganoderma lucidum의 자실체를 열수추출한 후 얻은 단백 다당체를 DEAE cellulose 이온교환수지와 Sepharose CL-4B 젤 여과법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한 분획들을 각각 CR, IN, IA, GL과 GH로 명명하였다. 각각의 성분을 20mg/kg/day 용량으로 투여하였을 때 sarcoma 180 고형암에 대하여 Fr. GL이 81%의 가장 높은 종양 억제을을 나타냈으며 그 분자량은 47,000 dalton이었다. 그 구성성분은 82% 다당류, 8% 단백질 및 0.9% hexosamine 이었다. 그 다당류를 구성하는 단당류를 분석한 결과 glucose, galactose, mannose, fucose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항암작용의 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마우스의 면역에 미치는 항암 성분의 영향을 연구한 결과 활성화된 마크로파지에서 분비되는 superoxide anion 양을 1.6배로, 그리고 hemolytic plaque assay에서의 용혈반 형성 세포수를 6배로 각각 증가시켰다. 이 결과로 항암작용은 고형암에 직접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면역세포를 활성화 혹은 강화시키는 작용임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