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면역 조직화학 염색

Search Result 33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expression of mast cell and macrophage in irritation fibroma (자극성 섬유종에서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

  • Han, Hye-Yeon;Kang, Nam-Kyu;Ryu, Mi-H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13 no.1
    • /
    • pp.174-180
    • /
    • 2013
  • 연구목적 : 자극성 섬유종은 만성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구강내 증식성 병변이다. 상처치유의 초기 과정에서는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가 섬유모세포의 이주, 증식, 아교질합성 등에 연관되어 있는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자극성 섬유종을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세분하고, 각각의 조직학적 아형에서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발현을 조사하여 자극성 섬유종의 발생 기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82예의 자극성 섬유종을 조직 소견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자극성 섬유종과 10예의 정상 구강점막에 톨루이딘 블루 염색과 CD 68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계화하여 자극성 섬유종의 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분포 정도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 통계 결과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분포는 자극성 섬유종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Spearman 상관계수는 0.693이었다. 결론 : 조직의 섬유화에 관여하는 비만 세포는 자극성 섬유종의 cellular type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식 세포도 자극성 섬유종의 모든 아형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자극성 섬유종의 형성 과정에는 비만 세포와 대식 세포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Clinical and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lignant Aortic Body Tumor in a Pekingese Dog (페키니즈에서 발생한 악성 대동맥체 종양의 임상양상과 면역조직화학적 특성)

  • Kim, Won-Jung;Kim, Seung-Gon;Lee, Chang-Min;Kim, Dae-Young;Park, Hee-Myung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31 no.5
    • /
    • pp.407-411
    • /
    • 2014
  • A 12-year-old castrated male Pekingese dog was presented with weakness, exercise intolerance, and an episode of coughing started 2 weeks earlier upon presentation.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a grade II/VI left systolic heart murmur. Echocardi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a pericardial effusion and a mass at the heart base located beside the left atrium. The mass beside the left atrium was also visible on the thoracic radiograph after drainage of the pericardial effusion. An aortic body tumor was definitely diagnosed based on postmortem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specific markers. The dog lived 234 days after diagnosis with only medical management and without recurrence of the pericardial effusion.

전뇌 허혈성 뇌졸중 (Global Ischemia) 동물 모델 Mongolian Gerbil에 대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이식효과

  • 김광수;심인섭;김은영;정길생;이원돈;박세필;임진호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69-269
    • /
    • 2004
  • 배아줄기 세포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수단으로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풍 동물모델에서 수중미로 학습을 이용하여 중풍 치료제로서 인간배아줄기 세포의 인지 및 기억력 장애에 대한 기능 회복의 효능을 검토하였고, 인간배아줄기 세포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해마내의 세포사멸을 측정하였으며, 인지 및 기억증진의 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중략)

  • PDF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the Grolwth Hormone-like Substance in Sparganum of Spirometra erinacei (고충(Sparganum)에서 성장호르몬 유사물질의 면역조직화학적 검출)

  • 김명옥;최완성김창환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2
    • /
    • pp.173-182
    • /
    • 1992
  • 흰쥐에 Spirometro rrinoce측 제3기 유충(고충 sparganum)이 감염되었을때 유충에서 생성된 성장호르몬 유사물질이 흰쥐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감염 기일이 경과에 따라 흰쥐의 뇌하수체와 유충의 체내에서 성장호르몬 분비세포를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검색하였다. 유충의 표피와 표피성 근육층 및 근질 근육층에서 면역반응성을 띄는 성장 호르몬이 동정되었으며 감염시기의 경과에 따라 성장호르몬 분비세포의 수가 점차 증가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흰쥐의 뇌하수체에서는 성장호르몬 분비세포의 수가 감염 기일의 경과에 따라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점차 감소 하였으며, 감염후 3개월이 경과되면 다시 증가하여 정상대조군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유충에 감염된 기일의 경과에 따른 횐쥐의 혈중 성장호르몬 농도변화를 dot-ELISA 방법으로 추정한 결깍 정상대조군의 성장호르몬의 양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유충의 체내에서 생성된 성장호르몬 유사물질이 전이숙주인 흰쥐의 성장을 유도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nd MR Features in Glioma (신경교종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도와 자기공명영상 소견의 상관관계)

  • 김범수;신경섭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1 no.1
    • /
    • pp.125-129
    • /
    • 199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and MR findings in the brain glioma. Materials and Methods: MR features including edema, margin, necrosis, heterogeneity, hemorrhage and contrast enhancement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with preoperative MR images in 41 patients with proven brain gliomas (8 low grade astrocytomas, 12 anaplastic astrocytomas, 21 glioblastoma multiformes).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EGFR was done and their expressions were graded by both stained distribution and intensit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MR features and EGFR expressions was done. Results: Peritumoral edema was correlated with both distribution (r=0.71, p=0.00) and stain intensity (r=0.69, p=0.00) of EGFR expression. Other MR features showed no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EGFR expression. Conclusion: MRI is useful in evaluation of brain glioma, and peritumoral edema is useful finding that suggests EGFR expression as well as malignant histopathologic grade of the tumor.

  • PDF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herb-acupuncture on cell proliferation and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dentate gyrus of alcohol-intoxicated rats (오가피(五加皮) 약침(藥針)이 알코올 중독(中毒) 흰쥐의 치상회(齒狀回)에서 신경세포생성(神經細胞生成) 및 NOS 발현(發顯)에 미치는 영향(影響))

  • Kim Jong-Chul;Lee Eun-Yong;Kim Ho-Hyun;Kim Ee-Hwa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0 no.2
    • /
    • pp.67-76
    • /
    • 2003
  • 목적 : 오가피 약침이 알코올에 의해서 중독된 Sprague-Dawley(S-D)계 흰쥐의 해마 치상회에서 새로운 신경세포 생성 및 NOS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 S-D계 흰쥐에 알코올을(2g/kg) 3일간 연속으로 투여한후, 5일간 인체의 중완혈에 상응하는 부위에 오가피 약침(30mg/kg)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 BrdU-면역조직화학 염색법 및 NADPH-d-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 알코올 처치군에서는 BrdU-양성세포수 및 NADPH-양성세포수가 모두 정상군에 비해서 감소한 반면에 알코올 처치후 오가피 약침으로 치료한 군에서는 BrdU-양성세포수 및 NADPH-양성세포수 모두 알코올 처치군에 비해서 증가하였다. 결론 : 오가피 약침치료가 알코올에 의해서 중독된 S-D계 흰쥐 해마 치상회에서 새로운 신경세포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기전으로 산화질소가 관여할 것으로 사려된다.

  • PDF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Cerebral Ganglion of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아프리카 왕달팽이(Achatina fulica) 뇌신경절의 면역조직화학적 구조)

  • 장남섭;한종민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5 no.1
    • /
    • pp.1-11
    • /
    • 1999
  • An immunohisochemical study on the cerebral ganglion of the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AB/AY staining and the avidin-bovine-peroxidase complex staining method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out the study. The cerebral ganglion of Achatina fulica is an ellipsoidal body of 2 x 1 mm in size, which is connected by the cerebral commissure of 1 mm in diameter. The cross-section through the cerebral ganglion, shaped like a butterfly, is divided into the medio-dorsal parts, the latero-dorsal parts, the caudo-dorsal parts, and the lateral lobes. In the medio-dorsal and latero-dorsal parts, the LG cells and the DG cells are found mixed, although the LG cells are dominant. In lateral lobe, however, the Y cells are quite dominant, while the LG cells and the DG cells are seldom found. The LG cells are 20-70 $\mu\textrm{m}$ in sizes and circular or ellipsoidal in shapes. They are stained light green with the AB/AY. 1 - 3 nucleoli are found in karyolymph, where granular chromantins are evenly distributed. In cytoplasm, it is found that the secretory granules are evenly developed.

  • PDF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36 and 29 kDa proteins in sparganum (면역조직염색법으로 관찰한 스파르가눔 층체에서의 36, 29 kDa 항원 단백질의 생성위치)

  • Kim, Lee-Su;Kong, Yoon;Kang, Shin-Yong;Cho, Seung-Yul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0 no.1
    • /
    • pp.25-32
    • /
    • 1992
  • Antigenic proteins of 36 and 29 kDa were localized in Spirometra mansoni plerocercoid (sparganum) immunohistochemically by avidin biotin complex (ABC) staining. When polyclonal antibodies such as BALB/c mouse serum immunized with crude saline extract of sparganum or confirmed sparganosis sera were reacted as pri-mary antibodies, the positive chromogen (3-amino, 9-ethylcarbazole) reactions were recognized at syncytial tegument, tegumental cells, muscle and parenchymal cells and lining cells of excretory canals. A monoclonal antibody(MAb) which was reacting to 36 and 29 kDa proteins in the extract of the worm was localized at the syncytial tegument and tegumental cells.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the potent antigenic proteins of 36 and 29 kDa in sparganum were produced at the tegumental cells and transported to the syncytial tegument.

  • PDF

Staining patterns of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larynx by monoclonal anti-cytokeratin antibodies (Monoclonal anticytokeratin antibodies 에 의한 후두편평세포암의 발현양상)

  • 도남용;전세영;이성재;최봉남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88-88
    • /
    • 1993
  •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keratin proteins may be useful as a diagnostic parameter in head and neck neoplasm. Our study evaluates the keratin antibody staining properties of normal tissues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vocal folds from surgical procedures performed on 27 cases. In normal epithelia, low molecular weight cytokeratins were strongly positive in basal layer but apparently reduced in suprabasal layers and completely negative in superficial layer. In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s, low molecular weight anti-ck Ab were positive in all carcinoma cells of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s. On the other hand, high molecular weight anti-ck Ab were positive in almost carcinoma cells of well differentiated carcinom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