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면역효과

검색결과 1,751건 처리시간 0.022초

유근피(楡根皮)로부터 단백다당체의 분리 및 항암 면역활성 연구 (Separation of Glycoprotein and its Anticancer Immunostimulating Activity from Dried Barks of Slippery Elm [Ulmus parvifolia])

  • 양영렬;김영주;김경화;오유진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547-55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민방이나 한방에서 천연 약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유근피)로부터 수용액 추출물을 분리하여 이 중 단백다당체를 분리하여 성분분석 및 단백다당체가 갖고 있는 면역활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실험적으로 제시하였다. 느릅나무 추출물 당단백질의 화학적 조성을 보면 총당함량은 55.8∼72.1%였고, 총산성당 함량은 30.0∼30.5%, 총단백질 함량은 5.0∼6.1%으로 수용성 고분자이며, 50 내지 500 kDa 범위의 분자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단백다당체를 구성하는 주요 당성분으로는 글루크론산, 람노스아라비노스, 글루코스, 갈락토스 등이었다. 단백다당체의 면역활성 검정에 따르면 면역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mitogen 역할을 하며, 특히 T세포에 의한 면역증강 효과를 나타내었다 B16 흑색종 이식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면역활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조사한 결과 유의성 있는 항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느릅나무 추출물인 단백다당체가 3mg/kg 군에서 가장 강한 항암효과를 나타내어 용매대조군에 대해 약 140% 생존연장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느릅나무로부터 분리된 Enterobacter sp. SSYL[KCTC 0687P]이 생산하는 당화합물의 항암 면역활성 연구 (Immunostimulating Exopolysaccharide with Anticancer Activity from Enterobacter sp. SSYL[KCTC 0687BP] Screened from Ulmus parvifolia)

  • 양영렬;김영주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554-56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에서 분리한 신규 균주인 Enterobacter sp. SSYL(KCTC 0687BP)을 사용하여 세포밖 당화합물(exopolysaccharide, EPS)을 생산하여, EPS의 면역활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실험적으로 제시하였다. EPS는 총당함량이 43.0% 내지 70.8%였으며, 총산성당 함량은 7.1% 내지 11.4%, 총단백질 함량은 19.3% 내지 20.6%로, 분자량은 100,000에서 1,000,000 Da의 당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다. EPS의 당구성성분을 보면 glucuronic acid (46.7%), fucose(10.8%), fructose (0.2%), glucose(29.9%), galactose(11.0%)이었고, 이외 미지의 성분이 1.3% 정도였다. EPS의 면역활성 검정에 따르면 EPS는 면역세포의 증식을 자극하는 mitogen역할을 하며, 특히 T 세포에 의한 면역증강효과를 나타내었다. B16 흑색종 이식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면역활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관찰한 결과 유의성 있는 항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천연물인 유근피 추출 단백다당체의 결과(3 mg/kg에서 약 140%의 생존연장효과를 보임)와 비교해 볼 때 1/10의 농도인 0.3mg/kg에서 약 138.1%의 비슷한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해조류 첨가사료가 돌돔의 성장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김병기;원경미;유병서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80-81
    • /
    • 2003
  • 양식 생물의 질병 제어는 예방과 치료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항생제의 오ㆍ남용으로 인하여 약제 내성균의 증가와 치료 효과가 감소하고, 나아가 식품안전성 문제로 양식생물의 소비를 위축시켜왔다. 따라서 질병이 발생한 후에 시행하는 화학약품 치료법은 이미 한계에 달하였다. 이에 따라 사전에 질병을 차단하는 예방법인 vaccine이나 질병에 대한 저항능력을 키우는 비특이적 면역 증강물질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해조류에는 다량의 lectin이 포함되어 있는데, Lectin은 당에 결합하는 단백질의 총체적인 이름으로, defence molecule로 작용하여 어류가 섭취할 경우 외래 항원으로 인식하여 지속적으로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돌돔사료에 kelf meal을 첨가하여 공급한 후 이들의 성장과 비특이적 면역기구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사료는 상업용 kelf meal을 0%, 2%, 5% 첨가하고, 2반복으로 500L FRP 탱크에서 8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어류는 40g 내외의 돌돔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료공급 4주 및 8주에 각 실험구의 돌돔을 대상으로 비특이적 면역기구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체액성 면역 조사로는 혈청 및 점액 lysozyme 활성과 Escherichia coli에 대한 혈청 내 보체의 살균 능력을 조사하였고, 세포성 면역 조사는 전신 식세포의 NBT 환원 실험과 말초혈액의 식세포 식균능을 측정하였다. 식균능 시험은 Escherichia coli FKC (formalin killed cell)에 대한 식균율 및 식균지수로 나타내었다. 나아가 돌돔 말초혈액의 혈구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적혈구 5,000 세포당 임파구, 전구, 호중구의 수를 계수하였다. 8주간의 사육결과 사료계수는 각각 1.20, 1.25, 1.42로 대조구와 2% 첨가구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5% 첨가구는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섭취량은 kelf meal의 첨가량이 늘어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비특이적인 면역 기구에 대한 자극 효과는 체액성 면역의 지표로 측정한 lysozyme의 활성도는 혈청과 점액 모두에서 대조구보다 실험구에서 활성이 높았고, 혈청 lysozyme 활성은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혈청 내 보체의 살균능은 실험구간 차이가 없었다. 세포성 면역의 지표로 측정한 전신 식세포의 $O_2$ 생성능(NBT 환원능)은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말초 혈액의 식균능은 식균율과 식균지수 모두 실험구에서 높았고, 특히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말초 혈액 혈구조성의 변화는 임파구와 전구의 경우 실험구에서 높았으나 호중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양식 돌돔에 kelf meal을 2% 첨가하는 것이 사료계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돌돔의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을 적절히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나, 돌돔의 기능성 사료 첨가물로서 이용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침자가 LPS를 주입한 흰쥐 시상하부 방실핵의 신경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upuncture on the Neuronal Activation of Paraventricular Nucleus of Hypothalamus in Lipopolysaccharide-injected Rats)

  • 손양선;박히준;김승태;임사비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9권1호
    • /
    • pp.57-6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침의 면역조절작용을 통한 염증반응 억제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내독소를 주입한 흰쥐의 시상하부에서 염증반응의 중추인 방실핵의 신경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흰쥐의 미정맥에 LPS와 생리식염수를 각각 주입하고 군에 따라 양측 소부(HT8)나 족삼리(ST36)에 1분간 침치료를 각각 시행하였다. C-Fos는 신경활성을 자극하는 초기단계에 발현되는 유전자로서 신경계의 특정부위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침자극이 LPS로 인한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의 방법을 이용하여 대뇌 시상하부의 방실핵에서 c-Fos 면역활성을 측정하였다. LPS를 주입한 군의 방실핵에서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군에 비해 c-Fos 면역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소부에 자침했을 때 LPS에 의해 증가된 c-Fos 면역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족삼리에 자침한 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소부 침치료는 LPS로 인해 증가된 방실핵의 신경활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고 이는 침의 면역조절 및 탁월한 염증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일 뿐 아니라 침의 인체 항상성 유지를 통한 치료기전에 대한 향후 연구의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주고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유청 단백질에서 유도되는 생리활성 펩타이드에 관한 연구

  • 윤승섭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1996년도 추계 제43회 유가공 심포지움
    • /
    • pp.18-29
    • /
    • 1996
  • 1. CWPC중의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의 검색 Mouse 임파세포의 증식효과를 지표로 하는 면역기능을 검토하여 CWPC중의 면역 부활작용을 갖는 새로운 성분의 검색을 실시하였다. CWPC를 여러 가지 분획법으로 분획하여 mouse 임파세포의 증식효과를 지표로 면역 활성성분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gel filtration, 음이온교환법을 사용하여 분획한 당을 다량 포함한 부분에 강한 면역부활담당세포에 대하여 증식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발견하였다. 이 물질은 SDS-PAGE상에서 분자량이 약 16kDa에 위치하여 Ca, P 및 당쇄를 포함한 물질이며, 이것을 GPP로 하였다. GPP에는 우유케이신의 trypsin분해물이며 Ca와 무기인을 풍부하게 포함하는 ${\beta}$-CPP와 유사한 phosphoserin 영역을 갖는 성분과 갖지 않는 성분의 2종류가 존재하며, 각각의 면역 부활활성이 인정되었다. 각 성분의 아미노산 분석, 당 분석의 결과에서 지금까지 보고된 우유중의 면역 담당세포에 대한 증식활성을 갖는 물질과는 상이한 성분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이 활성물질 (GPP)은 PP cell에서도 동등한 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CWPC중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면역 부활물질이 존재하며, 그 성분에는 CPP와 유사한 phophoserine 영역이 존재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N-글리코실 결합의 당쇄가 존재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이 성분은 전신면역의 지표인 비장세포에 대해서만이 아니고, 장관면역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PP cell에서도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전신 및 국부적인 면역기능의 부활성분으로서 응용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2. GPP의 면역담당세포에 대한 증식활성의 메카니즘의 검토 CWPC중의 GPP의 면역담당세포증식활성의 메카니즘을 해명하기 위해 먼저 이 성분중의 어느 부분이 활성에 관여하는지를 pronase 분해 및 phophoserine 영역을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pronase 분해처리에서도 활성의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활성에는 당이 필수 불가결하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또한 phosphoserine 영역을 인식하는 항체에 의해서도 활성은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phosphoserine 영역이 세포증식활성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분획한 면역담당세포에 대한 증식활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 성분의 표적면역담당세포를 동정하여, B세포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증식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개불 (Urechis unicinctus)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의 항암효과 및 면역활성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ical Activity of Glycoprotein from Urechis unicinctus)

  • 류홍수;이종열;문정혜;서재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917-923
    • /
    • 1999
  • 개불 당단백질의 sarcom 180 cell 고형암 성장 저지능은 4mg/kg에서 43.63%로 나타났으나, 20mg/kg이상의 농도에서는 고형암 성장 저지능을 보이지 않았다. Sarcom 180 cell에 대한 수명 연장 실험에서도 2mg/kg와 4mg/kg의 저농도에서는 상당한 수명연장 효과를 보였으나, 2Omg/kg 이상의 고농도 투여군에서는 수명연장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개불 당단백질의 sarcoma 180 cell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 독성 효과는 농도의 증가에 따라 약간의 종양세포 살해효과를 보였으나, 그 효과는 미약하였다. 개불 당단백질의 면역능 증진효과는 체중에 대한 간과 비장의 중량비 증가, 총 복강세포수의 증가 그리고, 당단백질을 고농도 투여시 30.78%~46.30%정도의 백혈구 수 증가 등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서 개불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의 항암효과는 면역활성의 증진과 면역자극의 효과라고 볼 수 있었으나, 전반적인 면역활성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sarcoma 180 cell에 대한 고형암 성장 저지실험과 수명연장실험에서 고농도로 투여시에는 오히려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개불 당단백질의 최적투여 농도와 고농도 투여시의 부작용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개불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의 면역자극에 의한 항종양 활성을 확인 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항암 화학요법제와 더 불어 병행될 수 있는 면역증진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 PDF

결핵균이 감염된 대식세포의 면역반응을 통한 유향(Frankincense)의 항결핵효과 (Anti-tuberculosis effects of frankincense through immune responses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infected macrophages)

  • 손은순;이선경;조상래;박해룡;이종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56-760
    • /
    • 2021
  • 현재 시판되는 항생제 및 항결핵약제 대부분은 균의 성장을 저해하는 기전에 맞추어 개발되었고, 지금도 새로운 약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약제들은 사용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발생적으로 약제내성이 출현하게 되고, 약제 내성 결핵의 경우 치료가 더 어려울 뿐만 아니라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인체 면역을 활성화시켜 결핵을 치료하는 방법이 결핵균을 직접적으로 사멸시키는 방법보다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면서 탐식구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항결핵 효과는 검증되어 있지 않은 FRM에 의한 항결핵효과를 검증하였다. 유향의 세포독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TT reduction assay를 실시하여 31.3, 62.5 ㎍/mL의 농도에서 독성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서도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의 면역 작용기전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인 cytokine TNF-α, IL-1β의 발현양의 변화를 통해서 면역반응을 확인하였다. 결핵균이 감염된 대조군에서는 이 cytokine들의 발현이 증가한 반면, FRM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발현이 감소하였고, 결핵균 또한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FRM이 necrosis를 감소시키면서 apoptosis로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결핵균 제거 효과를 보여주었다. 현재 치료가 힘든 다제내성결핵, 광범위내성결핵에서 유향이 대식세포의 면역력 활성화를 통한 항결핵효과를 나타내는 치료제로서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만, 추가적인 항결핵효과의 검증 및 면역기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크립토스포리디움에 실험적으로 감염된 송아지의 면역요법 (Immunotherapy in calve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cryptosporidium parvm)

  • 위성환;주후돈;이정길;김종택;강영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66-370
    • /
    • 1998
  • 7일령의 송아지 4마리에 실험적으로 크립토스포리디움을 감염시키고 면역혈청, 면역초유 그리고 단크론항체(C6)을 투여하여 이들의 면역요법제로서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크립토스포리디움 감염후 4일째부터 3일간 하루 2회(200~500ml)씩 3종의 면역요법제를 송아지 1마리씩 각각 경구로 투여하였으며, 나머지 한마리의 대조송아지에는 인산 완충액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크립토스포리디움에 감염된 송아지들은 설사를 나타냈는데 대조송아지의 경우 감염후 3일째부터 9일간 설사증상을 나타냈다. 면역혈청, 면역초유 그리고 C6로 치료한 송아지들은 치료후 각각 3일, 2일, 5일째부터 정상에 가까운 분변을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면역혈청과 면역초유로 치료한 송아지들의 경우, 분변으로 배출되는 오시스트의 수가 대조송아지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실험에 제공된 면역요법제중 면역초유나 면역혈청이 크립토스포리디움에 감염된 송아지의 설사증상과 오시스트의 배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 PDF

Bordetella bronchiseptica의 감염면역(感染免疫)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Protective Immunity Against Bordetella bronchiseptica Infection)

  • 강병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60
    • /
    • 1978
  • 돼지의 전염성위축성비염(傳染性萎縮性鼻炎)의 주요한 병원균(病原菌)이라고 생각되는 Bordetella bronchiseptica(이하(以下)B균(菌)) 자연감염돈분리유내균주(自然感染豚分離由來菌株)를 사용하여 mouse 비강내정착성(鼻腔內定着性)에 관(對)한 사균면역(死菌免疫)의 효과(效果)를 검토하고자, 먼저 상변리(相變異)에 따르는 균(菌)의 독역(毒力)과 감염방어성(感染防禦性)을 비교함과 동시에, I 상균불활화예방액(相菌不活化豫防液)의 면역원성(免疫原性)에 관(對)한 기초적인 검토를 실시하였고, 이에 계속하여 생균비강내접종(生菌鼻腔內接種)에 따르는 균(菌)의 정착성(定着性)과 혈중응집(血中凝集) 항체(抗體)의 경시적(經時的)인 추이(推移)를 검토하였다. 얻어진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B균(菌) I 상균(相菌)(W-1029주(株))의 독역(毒力)은 III 상균(相菌)(H-969주(株))에 비하여 독역(毒力)이 강하였으며, I 상균(相菌)은 감염방어성(感染防禦性)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III 상균(相菌)은 감염방어성(感染防禦性)이 전혀 없었다. 2. B균(菌) I 상균사균면역(相菌死菌免疫)에 있어서 formalin과 merthiolate 처리(處理) 및 불활화온도(不活化溫度)($0^{\circ}C$$37^{\circ}C$)간(間)에는 현저한 면역원성(免疫原性)의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3. 사균면역(死菌免疫)을 실시한 mouse 군(群)에 생균(生菌)의 경비접종(經鼻接種)에 의하여 경시적(經時的)으로 균(菌)의 호흡기도내(呼吸氣道內)의 정착성(定着性)과 혈중응집항체가(血中凝集抗體價)의 추이(推移)를 보았던 바, 비면역대조군(非免疫對照群)에 비하여 면역군(免疫群)은 현저한 면역효과(免疫效果)를 나타내었으나, 면역군(免疫群)에서 간헐적(間歇的)인 배균(排菌)이 상당기간에 걸쳐 인정되었으며 또한 응집항체가(凝集抗體價)의 상승에 따르는 비강내정착균(鼻腔內定着菌)의 완전소실(完全消失)은 다소 곤난함이 인정되었다. 이상(以上)의 성적(成積)으로 B균사균항원(菌死菌抗原)을 사용하여 고도(高度)의 면역(免疫)을 시킴으로서 비강내(鼻腔內)에 있어서의 B균(菌)의 정착(定着)을 조지(阻止)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이 시사(示唆)되나 항체가(抗體價)의 상승(上昇)에 따르는 균(菌)이 비강내(鼻腔內)에서 완전 소실(消失)이 다소 곤난한 점은 본균(本菌)과 호흡기도점막감염(呼吸器道粘膜感染)의 실태(實態)를 시사(示唆)하는 것으로 보아진다.

  • PDF

생쥐의 면역계에 미치는 인삼 사포닌의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Mouse Immune System)

  • 김미정;정노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30-135
    • /
    • 1987
  • 인삼 saponin이 면역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에 단백질 항원(암닭의 ${\gamma}$-globulin)으로 면역시킨 후 1차 면역후 10일, 2차 면역후 10일에 각각 채혈하여 혈청내의 항체가를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method로 측정하였고, 또한 같은 항원으로 면역시킨 생쥐에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여 생쥐의 면역제를 억제시킨 후 그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같은 방법으로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인삼 saponin을 투여한 실험군(10mg/ kg/day)은 개체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같은 조건의 생리식염수 투여군보다 각각 훨씬 높은 항체가를 나타내었고, 면역억제제에 의한 면역억제의 회복에 있어서도 유의성있는 회복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면역작용에 미치는 인삼saponin의 영향은 정확한 기작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인삼 saponin이 혈청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키는 효과와 함께 일종의 면역자극제(immunostimulator)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